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099

농사직설農事直說 조선 세종 때의 문신인 정초(鄭招)·변효문(卞孝文) 등이 왕명에 의하여 편찬한 농서. 1책. 1429년(세종 11)에 관찬(官撰:정부에서 편찬한 책)으로 간행하여 이듬해 각 도의 감사와 주·부·군·현 및 경중(京中)의 2품 이상에게 널리 나누어 주었다. 이 책은 그 뒤에도 판을 거듭하여 1492년(성종 23)에 내.. 2008. 5. 15.
촬요신서撮要新書 조선 전기의 문신 박흥생(朴興生)이 찬술한 가정지침서. 2권 2책. 목활자본. 태산(胎産)·관혼·상관(上官)·흥조(興造)·출입·경상(耕桑)·제병(祭病)·상장(喪葬)·양점(禳占 : 점으로 액운을 물리침) 등의 방위(方位)·일시·의기(宜忌)·길흉을 논하였다. 처음에 12권 3책으로 저술하였다. 권1∼10까.. 2008. 5. 15.
사시찬요초四時纂要抄 1960년 일본에서 조선시대인 1590년(선조 23)에 판각한 ≪사시찬요≫(995년 송 태종 때 중국본의 복제)가 발견되어 1961년에 그 영인본이 야마모도서점(山本書店)에서 간행된 적이 있다. 이 영인본의 해제도 지적하고 있듯이 당나라시대의 농업기술과 농촌민속을 살피는 데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 2008. 5. 15.
가정양계신편전家庭養鷄新編全 신규식(申圭植)이 역술한 양계지도서. 1권 1책. 인쇄본. 1908년 황형수(黃瀅秀)가 편집간행한 국한문혼용체이다. 가정에서의 양계의 필요성, 계사(鷄舍)의 구조, 닭의 종류와 선택법, 사료, 관리, 짝짓기, 번식법, 병아리 키우는 법, 닭의 병과 치료방법, 양계 연중행사 등의 내용을 담았다. ≪참고문헌≫ .. 2008. 5. 15.
감저경장설甘藷耕藏說 연대·작자 미상의 고구마 재배에 관하여 기술한 책. 뒷부분에는 ‘구황보유방救荒補遺方’이라는 제목 아래 ≪구황촬요救荒撮要≫와 ≪구황보유방≫ 중에서 적절히 초록한 것이 첨기되어 있다. 일설에는 이 책은 ≪종저방種藷方≫과 같으며, 1813년(순조 13)에 서경창徐慶昌이 엮은 것이라고 하나, .. 2008. 5. 15.
감저보甘藷譜 1766년(영조 42) 강필리姜必履가 고구마의 재배·이용법에 관하여 기술한 책. 우리 나라 최초로 고구마의 재배·이용법을 기술한 책이다. 조선 후기 문헌에 인용되고 있는 ≪강씨감저보姜氏甘藷譜≫를 가리킨다. 유중림柳重臨의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 권1 치농治農에 부록된 ≪감저종식법甘.. 2008. 5.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