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외국에서 핵무기를 개발하니 우리도 어서 빨리 핵무기 개발과 실용화에 착수해야 한다"는 내용과 다를 바 없는 기사. 어떻게 GMO를 핵무기와 비교할 수 있냐고 따지신다면, GMO가 미칠 영향력은 지금 아무도 예상할 수 없다고 말씀드리고 싶다. 나중에 핵무기보다 더 큰 악영향을 미친다면 지금 상용화를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하는 당신이 책임질 것인가? 그저 모든 일을 '돈'의 가치로만 평가하다가는 나중에 걷잡을 수 없는 피해가 생길 수도 있다는 점을 명심 또 명심하시길...
아무튼 현재 한국에서는 여러 실험과 개발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상용화 -상업적 재배- 는 허용되지 않고 있다. 그러니까 판로 -시장-이 없어 개발자, 연구자 들이 애를 먹는단 말씀. 그리고 기업에서는 호시탐탐 상용화를 노릴 것이다. GMO 판매는 곧 돈으로 이어지는데, 단지 상품을 판매해서만 그런 것이 아니라 마치 마약처럼 GMO를 재배하는 사람들은 GMO만 재배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현대 농산업의 가장 큰 특징이다.
하지만 이 기사의 지적처럼, 한국에 수입산 GMO는 들여와서 먹고 마시면서 왜 국내에서 재배하는 건 막느냐, 그건 외국에게만 좋은 일을 시키는 것이니 어서 빨리 규제를 풀라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서는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다. 국내에 수입되는 GMO는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수입을 막으면, 가격이 치솟을 건 뻔히 내다보이는 상황이다. 천상 비GMO 작물의 국내 재배를 늘릴 수밖에 없는데, 현재 농업 구조상 그도 쉽지 않은 것이 사실...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안전성 검증 절차 복잡. 수년째 '제자리걸음'
작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환경오염 물질도 정화할 수 있는 유전자변형 작물(GMO)의 국내 상용화가 몇 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어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2일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에 따르면 국내에서 다양한 유전자변형작물이 연구·개발되고 있지만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사례는 단 한 건도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는 유전자변형작물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지만 안전성 검증 절차가 복잡하고 규제가 많아 현실적으로 상용화가 늦어지고 있어 문제라는 지적이다.
■토종 GMO 170여 종 달해
국내에서 연구되는 유전자변형작물은 벼, 고추, 콩, 토마토, 잔디 등으로 다양하다. 농촌진흥청에서는 벼의 에이즈라고 불리는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을 나타낸 GM 벼와 아토피 피부염과 당뇨 증세를 완화시키는 GM 벼를 개발했다. 포스텍에서는 빈혈 치료에 효과가 있는 벼를 개발했으며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는 대장균과 콜레라균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GM 벼를 개발해 특허를 출원했다. 이외에도 A형 간염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는 토마토, 각종 재해저항성을 나타내는 고구마, 바이오연료생산용 유채 등 여러 유용한 유전자변형작물들이 활발하게 연구·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는 한국농업생명공학안전성센터에서 환경위해성 심사를 요청해 현재 심의를 진행하고 있는 작물도 있다.
■수입은 되지만 국내 생산은 NO!
국내에서 이처럼 다양한 유전자변형작물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는 사이 수입산들이 대거 들어와 우리 안방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대표적인 유전자변형작물 식품으로는 식용유가 있다. 국내 콩 생산량으로는 소비량을 충당할 수 없어 미국과 브라질에서 주로 콩을 수입하고 있는데 이들 국가의 콩은 각각 94%, 83%가 유전자변형 콩이다. 수입되는 콩의 대부분이 유전자변형작물인 셈이다. 우리나라는 콩을 수입할 때 용도별로 구분하는데 두유, 두부와 같이 콩 전체를 섭취하는 식용은 주로 일반 콩을, 콩기름이나 사료 등의 원료로 쓰이는 가공용 콩은 대부분 유전자변형 콩을 사용한다.
이처럼 수입 유전자변형작물은 시중에 상업적으로 유통되고 있지만 국내 자체기술로 개발한 유전자변형작물은 안전성을 이유로 상업적 생산이 금지되고 있어 문제라는 지적이다.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각종 규제장치들이 GM기술 국내 상업화를 가로막고 있기 때문이다. 또 GM작물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을 갖고 있는 국민 정서도 무시할 수 없다. 관련 정부부처에서는 안전관리 체계 자체가 확립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국민 합의가 있어야 상용화를 시킬 수 있다는 입장이다.
과학계에서는 전 세계에서 식량수급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GM기술을 발전시기고 있는 사이 우리나라만 도태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안전성 우려가 있지만 안전관리에 대한 과학적인 안전기준을 마련해 하루빨리 상업화가 진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true@fnnews.com 김아름 기자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의 GM 학살: 유전자조작 목화와 인도 농민의 자살 (0) | 2013.01.28 |
---|---|
퀴노아의 성공과 볼리비아의 당혹스러움 (0) | 2012.12.20 |
유전자조작 BT옥수수와 슈퍼곤충 (0) | 2012.12.07 |
소규모 종자체계가 식량안보의 핵심 (0) | 2012.12.05 |
유전자조작 먹을거리는 무엇인가 (0) | 2012.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