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6일 캄보디아농업개발연구센터(CEDAC)는 현재의 쌀 생산량을 두 배로 늘릴 수 있는 전략을 제안했다.

CEDAC는 이 방법이 성공적으로 적용될 경우 연 1,200만톤~1,300만톤 생산이 가능하며 국내 소비량을 제외한 7~800만톤 수출이 가능, 캄보디아가 세계 2대 또는 3대 쌀 수출국으로 부상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수출금액은 연 40~50억달러에 이른다.

 

CEDAC가 제안한 방법은 식량 혁명을 꿈꾸는 미국의 한 과학자의 재배법으로 현재 미 코넬대의 석좌교수인 노먼 업호프는 쌀 재배법을 바꿔 국제 식량위기를 해결하는 것에 앞장서고 있다.

 

업호프 교수는 농부들이 일찍 파종하고 벼가 자랄 충분한 공간과 햇볕이 확보되도록 파종 간격을 넓히고 논에 물을 채우지 않는 재배법을 쓰면 수확이 통상 배로 늘어난다고 말하고 있다.

 

‘쌀 강화 시스템(SRI)'으로 불리는 이 방법은 벼의 양보다는 질을 강조하는 것으로, 물의 사용과 종묘 비용을 줄이면서도 벼의 뿌리와 잎을 강화해 수확을 늘린다는 것이다.

 

지난 10년간 이 재배법은 기존의 쌀 과학자들의 강력한 반대에 직면하면서도 막연한 이론에서 국제적 추세로 이어져 업호프 교수는 현재 100만명의 쌀 재배 농부들이 이 방식을 채택했고, 향후 몇 년 안에는 그 수가 1천만명으로 늘어나 쌀 수확을 더 늘릴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의 재배법은 코넬대 동료 과학자 뿐 아니라 종자 개량에 주력하는 필리핀의 국제 쌀연구소 등 기존 과학자들의 회의론 속에도 확산되고 있다.

 

그는 자신의 재배법이 사용되는 28개 국가중 캄보디아를 포함하여 인도,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을 가장 많이 쓰는 국가로 평가하고 있다.

 

캄보디아의 짠 싸룬 농림부 장관은 지난 4월 농업박람회에서 SRI가 많은 쌀 수확을 보장한다고 농부들에게 권장했으며 인도 남부 타밀나두 주의 비라판디 아루무감 농업장관도 최근 이 재배법을 혁명적이라고 호평했고 세계은행연구소는 그의 재배법을 확산시키기 위해 DVD로 만들고도 있다.

 

그러나 비판론자들은 업호프 교수의 방식을 단지 망상이라고 폄하하고 있다.

 

국제쌀연구소의 아킴 도버만 소장은 SRI를 채택한 농부들은 알려진 것보다 적다면서 이 방법은 현실에서 너무 많은 일손을 필요로 한다고 비판했다.

 

업호프 교수가 SRI를 연구하면서 직면했던 문제도 물을 쓰지 않는데 따라 잡초가 많이 자라는 것으로, 이는 곧 잡초 제거를 위한 일손을 많이 필요로 함을 의미했다.

특히 가난한 여성의 잡일을 늘리는 후진적인 방식이라고 비난하고 있으나 업호프 교수는 이는 편견에 따른 것이자 SRI를 실제로 모르기 때문이라면서 농부 대부분의 노동력을 줄여준다고 설명하고 있다.

 

현재 캄보디아 전체 농민 가운데 60~65%가 쌀 재배와 직간접적인 관련이 있어 향후 이 농법이 어떤 방식으로 캄보디아에 접목될지 관심을 끌고 있다.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의 전통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다  (0) 2010.12.22
쿠바의 생태농업 1  (0) 2010.12.10
정치운동이 되어 가는 생태농업 2  (0) 2010.10.25
지금 되살아나는 제국의 농법  (0) 2010.10.20
제국의 농사법  (0) 2010.10.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