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담/雜다한 글

제주에는 '올레길', 안산에는 '소금길'이 있다.

by 石基 2009. 10. 16.
반응형

안산은 원래 유명한 포구가 있던 곳이었습니다. 얼마나 유명했는지 왕실에서는 안산어소라는 곳을 설치하여 어물과 소금을 안산에서 가져다 먹었습니다. 지금 그런 흔적을 찾으라고 한다면, 성포동의 성포가 포구의 이름이라는 것과 안산에 오래 사신 분들의 머릿속에나 남은 사리포구의 기억과 얼마 전 수자원공사에 항의해 농성하신 별망성 포구의 분들 ... 등등입니다. 이제는 간척 사업과 공단이 들어서면서 모두 싸그리 사라졌지만 말이죠.

그래도 그나마 남은 문헌자료와 그림이나 사진으로 그때의 흔적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그 가운데 아주 유명한 것으로는 단원 김홍도의 '매해파행'이란 아래의 그림이 있습니다. 매해파행은 한글로 풀면 젓갈 팔러 가는 여인네들입니다. 

 

 

그런데 그림을 자세히 보면, 항아리를 이고 가는 여인도 있는가 하면 광주리를 이고 가는 여인도 있고, 태반은 뭔가 다른 걸 이고 갑니다. 아무튼 이로 미루어 매해파행은 꼭 젓갈만 팔러 가는 여인들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생선이나 소금도 팔러 가는 여인을 통틀어 말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러한 것들을 보면 모두 바다에서 나오는 것이니, 그걸 콕 집어서 소금이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그래서 그네들이 다니던 길을 '소금길'이라고 이름을 붙였습니다.

그럼 그 길을 따라가 보겠습니다.

 

당시 장사꾼들이 여러 곳으로 여러 길을 따라 갔겠지만, 저는 군포로 가는 길을 택했습니다. 귀농운동본부의 본부장이신 정용수 선생님의 말씀에 따르면, 어렸을 적 안산에서 소금장수나 어물장수가 고개를 넘어 본인의 집에도 많이 왔다고 합니다. 군포나 안양으로 나가 장사하다가 다 팔지 못하고 안산으로 돌아가는 길에 종가집에 들러 짐을 부리고 가는 사람도 있는가 하면, 아예 처음부터 종가집을 목표로 오는 사람도 있었다고 하네요. 그러면 어머니께서는 그 사람들을 소홀히 대하지 않고 다 받아주셨다고 합니다. 그런 이야기를 듣다보니 자연스레 고개 넘어 군포 쪽으로 가는 길을 생각하다가, 특히나 전국귀농운동본부가 군포로 이사까지 와서 겸사겸사 한 번 걸어가자고 했습니다. 마침 오늘 그런 기회가 되어 개를 데리고 집을 나섰습니다.

참, 여러 길 가운데 선택한 곳은 집에서 가까운 점성고개입니다. 이곳 말고 제가 아는 곳은 바람고개가 있는데, 바람고개는 텃밭과 수암 사이에 있는 고개입니다.

 

 

점성고개로 가려면 먼저 중앙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중앙병원 뒷산이 바로 점성고개입니다. 

 

 

중앙병원 정문을 바라보며 왼쪽을 보면 월강사라는 절이 있습니다. 그곳을 향해 뚜벅뚜벅 걸어갑니다.

 

 

월강사를 왼쪽에 놓고 조금 오르면 오른쪽으로 중앙병원을 끼고 도는 길이 있습니다. 그리로 접어들면 점성고갯길로 들어섭니다.

 

 

길을 따라 가다보면 조금 가파른 언덕길을 만납니다. 이 길은 중앙병원에 입원하신 분들도 자주 산책을 하고, 등산객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산악자전거를 타는 사람들도 어쩌다가 만날 수 있지요. 아, 그리고 산속에 만들어 놓은 텃밭도 볼 수 있지요.

 

 

가파른 언덕을 헉헉 대며 몇 분 오르면 그것도 끝이 납니다. 그럼 곧 정상에 다다르게 되지요.

 

 

사진에 환자분들이 걸어 올라오는 길이 중앙병원에서 오는 길입니다. 검은 옷을 입은 분이 내려가는 길로 올라가면 정상 쪽이지요. 고갯길 정상에는 이정표가 하나 서 있습니다. 상록수역 근처 가스공사로 가는 길과 텃밭과 너구리산을 지나 수암봉으로 가는 길, 그리고 반월저수지로 넘어가는 길, 사방으로 갈 수 있는 점성고개 정상입니다.

 

 

오늘은 반월저수지로 넘어가는 길로 갑니다. 가파르다고는 하나 쉬엄쉬엄 10분이면 오를 수 있습니다. 중앙병원에서 오르는 길은 안산시에서 콘크리트로 포장도 하고 이래저래 관리하여 아무렇지도 않으나 고개를 넘어 반월저수지 쪽으로 가는 길은 전혀 관리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난 여름 폭우에 푹 패인 길이 그대로 방치되어 있습니다.

 

 

이 길을 따라 조금 내려가다 보면 산골짜기에 만들어 놓은 두 배미의 논이 보입니다. 그 아래로는 한우를 키우는 축사가 있지요. 그래도 생각보다는 냄새가 많이 나지는 않았습니다. 참, 유럽과 FTA가 체결되었다고 하네요. 이번에는 축산을 하는 분들에게 큰 피해가 예상된다고 합니다. 핸드폰과 자동차를 팔아서 먹고 사는 나라의 운명일까요?

 

 

걷다보면 금방 축사까지 이릅니다. 그런데 축사 옆에는 열대 식물이 하나 자라고 있어 이채롭습니다. 저게 겨울을 날까요? 어떻게 여기 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축사를 지나면 위로 고속도로가 지나갑니다. 그 아래로 난 굴다리 아닌 굴다리를 지나야 합니다.

 

 

굴다리를 지나면 왼쪽으로 기독교 계통에서 하는 공동묘지가 있습니다. 이렇게 시끄럽고 차가 쌩쌩 달리는 곳에 묘지라... 죽어서도 편히 쉴 것 같지 않은 곳이지만 도로가 거미줄처럼 뻗고 있는 실정이니 어딘들 편안한 곳이 있을까요. 고속도로를 타고 가다 보면 옆으로 무덤이 참 많이 보입니다. 풍수가 다른 게 아니라 산맥과 수맥이 제대로 뻗는 것이라고 본다면, 지금 우리나라에서 제대로 된 명당이 어디 있을까 싶습니다.

 

  

조금 내려가면 착한고기라는 상호의 고깃집이 하나 보입니다. 그 아래에는 한옥 형식으로 건물을 새로 짓고 있는데 그곳도 고깃집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런 구석에 고깃집이 있네요. 축사에서 소를 잡아 바로 여기에 낼까요? 이제는 어디를 가든 고깃집 천지입니다. 이 고기들이 다 어디서 오나 모르겠습니다. 제가 나이는 많이 먹지 않았지만, 어렸을 때 생각하면 삼겹살은 언감생심이고 명절이나 생일날 고깃국에 뜬 고기 조각 몇 점이나 먹었지 지금처럼 고기를 먹은 적이 없습니다. 촌에 살아서 그럴까요? 산 하나 넘어 양계장에 가서 죽은 닭을 싸게 사오거나 양동이를 들고 가 조심스레 낑낑 대며 달걀을 가지고 오던 기억, 아니면 닭발을 사다가 집에서 양념해서 먹은 기억, 도랑에서 메기나 미꾸라지를 잡아 먹거나 붕어나 빠가사리, 모래무지 같은 걸 잡아 먹은 기억, 벌집을 갖다가 애벌레를 볶아 먹은 기억, 가재를 잡아다 아궁이에 구워먹던 기억, 겨울이면 꿩이나 토끼를 올무와 농약 묻힌 콩으로 잡아다 먹은 기억, 둠벙에서 개구리를 잡아 먹은 기억이 전부입니다. 이렇게 고기가 넘치는 세상이 될지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아무튼 계속 길을 갑니다.

 

 

고깃집을 지나 내려가면 왼쪽으로 군포시 대야동이란 표지판이 서 있습니다. 그리고 그 뒤로는 반월저수지의 수문이 보입니다.

 

 

반월저수지를 끼고 쭉쭉쭉 걸어갑니다. 저 멀리 태을봉의 레이다 기지가 보입니다. 저 멀리 보이는 길의 굴다리 아래로 지나면 수리사 쪽으로 가는 길입니다. 그리로 가도 귀농본부까지 갈 수 있고, 그냥 반월저수지를 끼고 쭉 걸어가도 귀농본부까지 갈 수 있습니다. 시간 여유가 많거나 더 좋은 경치를 바라시거나 먹을거리를 바라시는 분은 굴다리 아래쪽을 지나 가시면 모두 만날 수 있습니다. 저는 시간이 없어 그냥 반월저수지를 끼고 쭉 걸어갔습니다. 참, 이 길은 자전거로 가셔도 정말 좋습니다. 예전에 흙먼지 풀풀 날리는 2차선 길에서는 느낄 수 없는 편리함 같은 거시기가 있지만, 그때는 이곳에 포장마차도 많고 그랬던 기억이 나서 꼭 좋지만은 않습니다. 그래도 아직 반월저수지 주변이 이런저런 음식점이 많이 있으니 지나가다 목이 마르시면 들러서 한 잔 하셔도 좋을 겁니다. 

 

 

그렇게 걸어걸어 갈치저수지 쪽으로 방향을 잡으면 곧 귀농본부로 가는 길을 만납니다. 아래 사진에 보이는 작은 로타리 건너편은 군포 개울건너밭입니다. 오른쪽의 기찬오리 쪽으로 방향을 잡고 걸어가시면 종갓집 바깥채에 자리 잡은 전국귀농운동본부를 찾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정도로 소금길을 마치겠습니다. 저는 아직 가보지는 않았는데 이곳에서 고개를 또 넘으면 군포 시내로도 나가고 안양으로도 나가고 한답니다. 그곳은 여기 살지 않아서 따로 시간을 내지 못했지요. 언제 기회가 되면 안산에서 함께 모여 점성고개 넘어 속달로, 속달을 지나 안양으로, 안양을 지나 수리산을 넘어 안산으로 돌아오는 여정을 떠나볼까요?

 

 

월강사-반월저수지 30분

반월저수지-귀농운동본부 40분(수리사 쪽으로 갈 경우 40분 정도 더 걸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