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담/읽을거리

조선반도의 농법과 농민 -벌교 답사

by 雜것 2008. 5. 14.
반응형

보성관寶城館에 가다


1939년 10월 18일. 하늘은 가을답게 높고 푸르다. 다카하시 노보루 씨는 오늘도 어김없이 아침 7시에 일어나, 씻고 아침을 먹었다. 그러고 나서 8시 반쯤 보성관을 나서 농가 조사에 나섰다.

기억하실지 모르겠지만, 지난 42호 맨 끝머리에 보성관이란 조선인 여관의 상차림을 소개한 적이 있다. 지난해 7월 중순 수소문 끝에 직접 보성관에 다녀올 기회를 얻어 실제로 눈앞에 보성관을 맞닥뜨리고 나니, 뭐라 말할 수 없는 감회에 사로잡혔다. 눈은 물론 땀구멍 하나하나에 건물의 숨결이 와 닿는 것 같았다.


그림 1) 아직도 벌교읍에 가면 볼 수 있는 보성관. ?��태백산맥?��의 유명세에 덩달아 남도여관이 되었다. 이 건물이 있는 거리, 옛 본정통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지은 다양한 건물들을 볼 수 있어 살아 있는 역사의 현장이다. 벌교에서 주먹 자랑하지 말라는 말은 이 거리를 중심으로 나왔다.

현재 보성관은 소설 ?��태백산맥?��의 후광을 입어, “남도여관”이란 이름으로 더 유명하다. 소설을 읽으신 분들 가운데, 빨치산 토벌대가 머물며 바로 옆에 붙어 있는 학교 운동장에서 군사훈련을 하는 장면이 기억나는 분이 계실지 모르겠다. 바로 그 주요 무대가 보성관이다. 우리네와 함께 숨을 쉬며 사람들의 피땀이 고스란히 밴 그 건물은, 문화재청에서 ‘근대문화유산’으로 등록해 놓았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그런 제도를 만들어 참 다행이다. 그동안 개발이란 이름으로 쓰러져 간 유산들이 얼마나 많은지 모른다.


이제 보성관은 여관으로는 쓰지 않는다. 학교 정화 구역이 되면서 1988년에 간판을 내렸기 때문이다. 1988년은 서울 올림픽만이 아니라, 우리 사회에 참 많은 변화가 있던 때였다. 학교 정화 구역이란 법도 그런 영향으로 만들었을 것이다. 그때 험한 파도를 헤치며 꿋꿋하게 자신의 자리를 지켜 온 모든 분들께 고마울 뿐이다. 올해도 큰 파도가 밀려오지 않을까 싶다. 지난 1월 중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는 농촌진흥청을 폐지하고 민간으로 위탁하겠다는 발표를 했다. 물론 민영화가 모두 나쁜 것은 아니다. 민간에 넘길 것은 넘기고, 정부에서는 그 관리와 감독 등에 더 힘쓰는 것이 좋은 분야도 있다. 하지만 나라의 뿌리가 되는 것들은 좀 더 신중하게 생각하고 결정했으면 좋겠다. 요즘 이 문제를 다시 논의한다고 하지만, 어쨌든 농업을 포기하겠다는 상징이어서 몹시 씁쓸하다. 농업과 관련된 단체나 개인 말고 농촌진흥청 폐지안에 반대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이제 우리 시대는 농업에 별 관심이 없다. 그것이 더 가슴을 아리게 한다.


아무튼 현재 건물의 1층은 가게들과 살림집으로 쓰고, 사진에서 보이는 2층은 텅 비어 있다. 1층에는 방이 모두 10개이고, 지금은 비어 있는 2층에는 큰 다다미방이 4개가 있다. 이 정도 규모였으니, 다카하시 노보루 씨가 이 여관에서 묵으며 벌교에서 가장 좋은 여관이라고 했던 말은 거짓이 아닐 것이다. 건물은 ‘ㄷ’자 구조인데, 대문을 들어서면 일본식 정원이 한가운데 자리하고 있다. 그 왼쪽과 오른쪽에는 온돌방이 있고, 안채로 쓰는 건물 위에다 2층을 올렸다. 이 건물을 지키고 있는 건 나종필(73), 유보임(72)이라는 노부부이다. 벌교에서만 8대째 사는 토박이이시다. 이 분께서 1979년에 이 건물을 5만원에 샀다고 한다. 그 덕분에 보성관은 지금도 훼손되지 않고 역사를 증언하며 살아남았다.


그림 2) 건물 마당은 일본식 정원이다. 저 방 어디에선가 다카하시 노보루 씨가 묵었을 것이다.


벌교읍 회정리廻亭里의 박응렬朴應烈 씨


그는 회정리에 사는 박응렬이란 분을 찾아간다. 그곳에 가려면 지금은 부용교라고 부르는 ‘소화다리’를 건너야 한다. 이 다리는 일제강점기인 1931년(소화 6년)에 놓았다고 그렇게 불렀다. 원래 다리에는 난간이 없어서, 한창 빨치산을 토벌할 때 다리에 무릎 꿇린 다음 그대로 처형하면 바로 강바닥에 떨어져 강물이 시뻘겋게 되었다. 태백산맥에서는 이를 이렇게 묘사했다. “소화다리 아래 갯물에고 갯바닥에고 시체가 질펀허니 널렸는디, 아이고메 인자 징혀서 더 못 보겠구만이라…. 사람 쥑이는 거 날이 날마동 보자니께 환장허겄구만요.” 물론 이 일은 다카하시 노보루 씨와는 크게 상관없는 훨씬 이후의 일이다.


박응렬 씨의 식구는 모두 8명이었다. 본인(40), 아내(35), 어머니(60), 학교 다니는 맏아들(15), 둘째아들(10), 셋째아들(7)과 4살·3살짜리. 소도 1마리 있고 닭은 10마리라고 하니, 웬만큼 살았을 것이다. 논은 1마지기에 250평인데 모두 15마지기를 짓고, 밭은 800평 있다. 거기에 대숲 900평을 관리한다.

이렇게 조사하던 1939년에는 우리나라에 엄청난 가뭄이 있었다. 그 까닭은 지나치게 발달한 북태평양고기압 때문이라고 한다. 여름 내내 뙤약볕만 내리쬘 뿐 비 한 톨 내리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1년 평균 강수량이 보통 1250㎜ 정도 되는데, 그때는 20세기 100년 동안 가장 적은 양인 754㎜의 비만 왔다. 이 때문에 박응렬 씨도 올해는 모내기를 아예 하지도 못했다. 그래서 조사 내용은 자연히 지난해의 것으로 채웠다. 그 내용 가운데 뒷갈이로 보리를 기르는 방법을 살펴보자. 이곳은 남도답게 한 논에서 두그루부치기를 할 수 있다. 보리를 심는 곳은 정확히 나오지 않는데, 기록의 행간으로 유추하면 아마도 자신이 주인으로 있는 8배미 200평짜리 땅의 일부에 심는 것 같다.



뒷갈이 보리 기르기


먼저 벼를 거둔 다음 20일 뒤에 자신이 쟁기질을 한다. 싹갈이를 하는데, 저녁까지 끝낸다. 싹갈이는 두둑을 짓거나 하지 않고 밭 전체를 그냥 다 갈아엎는 방법이다. 지난해에는 벼를 9월 말에 거뒀으니, 아마 10월 중순쯤 싹갈이했을 것이다. 그러고 나서 5일 뒤에 써레질을 한다. 논 써레와는 달리 그림처럼 소나무로 짠 것이다. 이걸 소에 달고 다니며 땅을 고르게 만든다. 써레질은 오전 한나절에 끝내고, 오후에는 땅을 말려 그 다음날(11월 10일쯤) 두둑을 짓고 보리씨를 뿌린다.

그림 3) 소나무로 짠 써레

보리를 심는 날에는 자신이 소를 부려 두둑을 짓고, 그밖에 아내와 머슴, 남자 일꾼 4명과 여자 일꾼 3명이 함께 일한다. 이 마을에서는 머슴에게 1년에 나락 3섬과 두세 벌의 옷을 주는데, 50원 정도 된다. 그리고 놉의 품삯은 남자 80전(밥 없이), 여자 50전이다.

가장 먼저 물 빠짐 고랑을 낸다. 논의 둘레와 한가운데를 소로 2번 갈아서 24㎝(8寸) 너비의 고랑을 낸 뒤, 삽으로 고랑을 다듬는다. 이 일에 자기와 소, 놉 1명이 한나절 걸린다. 다음으로 씨를 뿌릴 골을 탄다. 먼저 쟁기로 2번 갈아서 대충 골을 타고, 그 다음 쇠스랑이나 괭이로 골을 깔끔하게 친다. 이 일은 자기 혼자 한나절 걸린다. 골을 탄 뒤에는 따로 써레질을 하지 않는다. 쟁기질 할 수 없는 논의 양쪽 끝부분은 괭이로 골을 탄다. 그런 다음 그 다음날 보리씨를 뿌린다. 씨를 뿌리는 날에는 소를 부리지 않는다. 그리고 씨를 다 뿌리고 난 뒤에는 둘레의 물 빠짐 고랑을 가장 마지막으로 깔끔하게 다듬는다.

그림 4 점선이 물 빠짐 고랑

두둑 너비는 45㎝(1尺5寸)이고, 쌀보리인 죽하종竹下種이란 이름의 보리를 1말 5되 심는다.

씨뿌리기는 자기 혼자 바가지에 담아 두둑 위로 걸어가면서 고랑에 손으로 뿌린다. 씨를 뿌리는 사람은 보리씨 한 움큼으로 1.8m(1間)를 심는다. 보리는 18㎝(6寸) 너비에, 간격은 3㎝(1寸) 정도 되게 뿌린다. 이를 보아 점뿌림이나 줄뿌림이 아니라 흩뿌림에 가깝다. 그 뒤를 따라 1명이 소쿠리에 유조硫曹 8호라는 화학비료(1가마니 3원, 37.5㎏<10貫>)를 담아 보리씨 위에 뿌린다. 다시 그 뒤에 남자 3명이 소쿠리에 똥재를 담아 한 번에 12m(5尋)씩 15지게 분량을 준다. 거름을 다 준 다음에는 남녀가 함께 쇠스랑이나 괭이로 흙을 덮고, 따로 밟아 주지는 않는다. 특히 이듬해 여기에 목화를 사이짓기하려고 한다면, 보리 두둑의 너비를 81~84㎝(2尺7~8寸)로 넓게 만든다. 이렇듯 작부 체계에 따라서 쟁기질이나 두둑을 짓는 방법부터 씨를 심는 방법까지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모든 농사는 봄에 어떻게 계획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말이 새삼 떠오른다.


씨뿌리기를 마치고 10일 뒤에는 처음으로 웃거름을 준다. 이때 사람 오줌을 15장군 주는데. 장군 하나 분량으로 90m(50間)를 줄 수 있다. 원래 오줌만 4장군인데, 여기에 개숫물을 섞어 15장군을 만들었다. 오줌을 줄 때는 그림과 같은 ‘구뎅이’라는 것을 쓴다. 대부분 나무로 만드는데, 오지그릇으로 만든 것도 있다. 이건 당시 1개에 80전이고, 1년에 수선비로 20전을 들여 3~4년을 썼다. 구뎅이 5개가 장군 1개의 양과 맞먹는다. 박응렬 씨의 식구 8명이 오줌을 누면 4일에 1장군을 채운다. 그래서 오줌 4장군이 되는 보름마다, 15장군으로 만들어 웃거름을 준다. 이렇게 음력 정월 전에 다섯 번쯤 웃거름을 준다.

다음으로 웃거름을 줄 때는 음력 3월 초쯤인데, 이때는 배합비료를 장군 1개에 5홉 정도 넣고 물에 섞어서 준다. 이 무렵 보리는 9~12㎝(3~4寸) 정도 자라, 3포기쯤 새끼를 쳤다. 배합비료 1가마니로는 50장군 정도 웃거름을 만들 수 있다.


그림 4) 다른 말로 구댕이, 구대동이, 귀때동이라고도 한다. 주로 논밭에 져다 놓은 오줌이나 똥, 재 같은 거름을 거름통에서 덜어 여기저기 뿌리는 데 쓴다. 한쪽에 귀때를 붙여 액체를 따르는 데 편리하다.

김매기는 음력 정월까지는 따로 하지 않고, 두 번째 웃거름을 주기 20일 전에 애벌매기를 한다. 여자 6~7명과 자신이 하루에 끝낸다. 그때 나오는 풀의 양은 10지게인데, 이 풀들은 모두 두엄을 만들려고 집으로 나른다. 품삯은 여자 1명에 하루 20전과 두 끼를 준다. 호미는 일하러 오는 사람들이 알아서 가지고 온다. 다음으로 보리가 15㎝(5寸) 정도로 자라면 두벌매기를 한다.

그뒤 음력 3월 말(양력 5월 상순)이면 이삭이 팬다. 그러고 음력 5월에 보리를 거둔다. 자신과 머슴 1명, 놉 남자 1명이 하루 걸려 다 베고, 그 뒤 3일 동안 말린 다음 자신과 머슴이 지게로 20지게를 져서 집으로 나른다. 집으로 나른 그날 탈곡기(打麥機)로 마당질을 끝낸다. 탈곡기를 빌리는 값은 보리 1가마니(5말들이)를 떠는 데 보리 2되이다. 이걸로 하루 30가마니 정도는 떨 수 있다. 이렇게 마당질하여 보리는 1섬 5말, 보릿짚은 5지게가 얻었다. 보리는 1섬에 30원, 보릿짚은 1지게에 10전 정도 한다.



벌교를 떠나며


지금까지 벌교의 보성관과 그곳에 살던 박응렬 씨의 농사를 들여다보았다. 다들 아시다시피, 1930년대 말은 참 살기 힘든 때였다. 밖으로는 중일전쟁이 일어나 사회는 전시체제로 들어섰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극심한 가뭄 같은 자연재해가 끊이지 않았다. 도무지 살 수가 없었다. 견디다 못한 사람들은 머나먼 간도로 떠나 힘겹게 새로 땅을 일구었다. 그렇다고 남은 사람들도 편하게 살지는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다카하시 노보루는 조선 반도를 다니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 안정된 식량 생산으로 제국에 충성하고자 했을지, 아니면 조선인들이 불쌍하다고 여겼을지, 솔직히 그가 무슨 생각을 했는지 알 수도 없고 별로 알고 싶지도 않다. 그보다 그로부터 70년이 지난 2008년 지금의 상황은 어떠한가를 짚어 볼 뿐이다. 끝으로 유승규 씨가 1957년에 쓴 ?��빈농?��에 나오는 보리 탈곡기와 관련한 이야기로 마치고자 한다.


“아버지 저희 생각 같아서는 타맥기 사 놓으신다는 거 구만두시넌 게 좋을 것 같어유.”

삼형제 중에서 중학교라도 다닌 가운데 정현이가 형제간의 의사를 대표해서 말하자, “이놈들아 네놈들이 뭘 안다구 얘기여. 애비가 어련히 알아서 할까 바 …… 너희들은 농촌 기계화돼 가는 것을 통 모르는 얘기구나. 벌써 딴 동네서는 몇 년 전부터 보리타작하는데 도리깨나 자리개질을 안 한단 말여.…. 다 너희들 편하게 살라고 사 놓자넌 게다. 그라구 건넌말 송서방, 양지말 박서방들은 벌써 작년 저작년부터 타맥기를 사놔서 상당히 수지를 맞춰 사는데, 그래 우리 한가들이 그자들한테 뒤져서야 되겠냔 말이다. 사람이란 무슨 일이구 선각을 해서, 과감하게 박력있게 밀고 나가야지. 농공병진 시대여던 에헴.”

“허지만 우리 형편으론 불가능하단 말에요. 그네들은 그만한 경제적 여유가 있어서 기계화를 하지만 남의 빚을 얻어 한다는 것은 거 아무래도.”

… 중략 …. 그렇게 큰소리 삥삥 쳐가며 고집부려 사들인 타맥기 운영이 어찌 되었느냔 말이다. 결국 2년간 건넌말 송씨네와 양지말 박씨네 세 집이 치열한 경쟁을 벌여 보았지만, 결과는 뻔한 일이 아니냐. 보리 한 가마 타맥해 주는 데 한 말씩 받던 삯을 아홉 되, 여덟 되, 일곱 되 이렇게 서로 싸우다가 결국 송씨 박씨네는 닷 되씩을 받고, 타작을 해 주게 되었으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