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환경24 강원도 토양의 위기 겨울철 텅빈 비탈밭에 강한 비바람이 쏟아졌고, 그 결과 하천은 토양침식으로 쓸려온 흙탕물로 더러워졌다. 그렇게 쓸려간 겉흙을 다시 회복하려면 엄청나게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아니, 애초부터 건강한 겉흙은 없었을지도 모르지. https://news.v.daum.net/v/20200108151351885 2020. 1. 8. 유럽 농업보조금의 추악한 비밀 지난 7월, 프랑스 브르타뉴의 본 마브리Bon Abri 해안에 널린 조류. 2017년 봄, 유럽연합의 환경운동가, 학자, 로비스트 단체가 친환경 농업 관행에 대해 기술적인 토론을 하고 있을 때, 화면에 지도가 나타났다. 순간, 방 안은 쥐죽은 듯이 조용해졌다. 농업 로비스트가 반대했다. 관료들은 그.. 2019. 12. 27. 흙의 역습, 지구의 경고 2019. 12. 6. 농생태학 -12장 환경의 복합성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12장 환경의 복합성 이전 장에서는 작물에 대한 개별 환경 요인들의 분리된 영향을 탐구했다. 2부에 있는 장들에서 빛, 온도, 강수, 바람, 토양, 토양 수분, 불 등 환경의 비생물적 요인을 살펴본 다음, 11장에서는 작물에 대한 환경의 영.. 2019. 3. 13. 농생태학 2부 환경의 식물과 비생물적 요인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2부 식물과 환경의 비생물적 요인 광합성이 없다면, 지구상의 생명은 단세포 화학적 영양 박테리아의 식민지로만 구성될 것이다. 육지에서 광합성의 걸출한 전문가는 고등(즉, 유관속) 식물이다. 거의 모든 다른 생명체가 의존하는 생산자.. 2019. 1. 11. 계절풍 농경권의 사람들과 식물 유라시아 농경사 권1 서장 계절풍 농경권의 사람들과 식물 들어가며 왜 지금 농경인가 인간은 왜, 농경이라 하는 '귀찮은' 일을 시작한 것일까? 그 전의 생업인 '수렵채집'과 어째서 결별하게 된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답은, 사실 필요 없다. 여러 가지 가설은 있지만 모두 '넘고처지어' 결.. 2018. 3. 27.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