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미4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2장 2장 농민이 쌀농사에 열심이지 않다면 그럴 까닭이 있다  쌀이 벌이가 되는 작물이라면 생산은 금방 늘어난다일본에서는 1960년대 중반에 쌀 부족을 염려한 정부가 정부의 현미 매입 가격을 약 10% 인상했다. 당시, 쌀은 정부가 전면적으로 관리하여, 생산한 쌀은 정부에 의하여 전량 매입되었기에, 그 가격 인상은 그대로 농민의 소득 증대로 이어졌다. 쌀이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돈벌이가 된다는 것을 안 농민은 논뿐만 아니라 밭에까지도 펌프를 설치해 물을 대고, 심지어 숲이 있는 땅이나 뽕나무밭의 뽕나무까지 뽑아내면서까지 벼를 심으며 온갖 수단으로 쌀농사에 광분했다. 그 결과, 쌀의 생산량은 금세 증가해 불과 몇 년 안에 지금까지의 쌀 부족에서 완전히 바뀌어 과잉이 되었다. 정부미 비축 창고에는 쌀이 넘치게 .. 2025. 3. 10.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1장 1장   일본에서만 행해지는 쌀농사 방법  세계에서 유일한 현미 유통-쌀의 증산과 품질 개선의 요인16~17세기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수백 년 동안 일본의 쌀농사 농가는 수확한 벼를 정선한 현미로 만들어 팔아 넘기고, 국내의 쌀 생산·유통·저장·수송 등은 모두 현미 형태로 행해졌다. 이는 '현미 유통'이라 부르고, 일본에서 '쌀의 양'이라 하면 주석이 없는 한 현미의 양으로 표시되어 있다. 물론, 소매나 소비의 단계에서는 소비자의 필요에 응하여 현미는 여러 정도의 '백미'가 된다(그림1).  그림1  벼이삭, 나락, 현미, 백미출전: 星川清親 『解剖図説イネの生長」 18쪽, 288쪽, 298쪽을 고침  쌀(현미나 백미)의 양은 현재에는 중량(정확히는 질량)으로 킬로그램이나 톤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이는.. 2025. 2. 25.
유전자 편집 기술로 내한성 밀을 육종하려는 시도 Чёрный хлеб. 러시아 하면 떠오르는 검은 빛깔의 빵을 가리키는 말이라 한다. 러시아나 북유럽, 동유럽, 그리고 독일 북부 지방 같은 경우 겨울이 너무 추워서 -그렇다고 한국처럼 살을 에이는 듯한 추위와는 다를 테지만- 다른 유럽 지역과 달리 밀 농사가 어렵다고 한다. 그래서 선택하는 것이 바로 호밀 농사, 그리고 그로 만든 빵이 검은 빛깔의 빵이다. 호밀로 만든 이 흑빵의 경우 현미와 비슷한 특성이 있다고 보면 된다. 흰쌀은 입에서 사르르르 녹고 부드럽게 씹히는 점을 내세울 수 있다면, 쓿지 않은 쌀인 현미는 섬유질 등이 많아 좀 거칠고 뻑뻑한 식감인 반면 흰쌀이 갖지 못한 여러 양분을 공급할 수 있단 특성이 있지 않은가. 밀과 호밀의 차이도 그와 비슷하다고 한다. 밀은 부드러운 식감의 고운 빵.. 2020. 6. 26.
맛있는 쌀 고르는 방법 쌀 소비량이 줄어든다는 기사가 떴다. 1985년 1인당 1년에 약 128kg을 소비하다가, 30년 뒤인 2015년에는 그 양이 약 63kg으로 줄었다는 분석이다. 기사에서는 쌀 소비량이 줄어든 요인으로 살찐다고 안 먹는 게 한 요인이라고 지적하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을 것이다. 긴 노동시간과 공부시간으.. 2016. 6.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