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품종41 전통 채소를 기르던 사람들, 종자상의 근대사 -1장 1장 일찍이 '종자상'이라 불리는 사람들이 있었다 각지에서 재검토가 진행되는 '전통 채소'. 그 종자는 '고정종'이라 부르고, 이른바 재래종과도 현재 주류인 F1 품종과도 다르다.이 고정종이 탄생하게 된 배경에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태평양 전쟁 전기에 걸쳐 채소 종자의 육종, 생산, 유통에 관여한 '종자상'이라 불리는 사람들이 있었다. 1. 일본의 채소 생산을 지탱하던 '종자상' 1) 지금 ,주목받는 전통 채소 전통 채소는 고정종 채소요즘 '전통 채소'가 주목을 모으고 있다. '전통 채소'란 각지에서 옛날부터 재배되던 채소 가운데 지방의 자치체나 생산·유통에 관련된 사람들이 재배 지역이나 재배력 등에 독자 조건을 마련해 그들의 보존과 특산품화를 목표로 할 경우에 이와 같은 명칭으로 부른다. 아.. 2025. 1. 23. 일본 벼의 이력서 양조에 대하여, 원료가 점하는 위치는 기술 및 경제의 모든 면에서 크다. 필자는 교토 우메노미야 타이샤梅宮大社의 '신대벼神代稲'를 접하고 벼의 이력에 흥미를 가졌다. 새로운 양조용 원료 쌀의 육종이 추천되고 있는 요즘, 한번 원점으로 돌아가 '벼'의 흔적을 찾아가는 길을 필자와 함께 돌아보지 않겠는가? 2024. 5. 5. 딸기 품종의 탄생 프랑스의 공병이자 수학자, 그리고 탐험가이자 스파이이기도 했던 아메데 프랑수아 프레지에Amedee-Francois Frezier. 그가 1712년 프랑스 정부의 지령을 받고 페루와 칠레의 해안선 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남아메리카로 파병이 된다. 당시 그 지역은 스페인의 식민지였기에 대놓고 다닐 수가 없.. 2020. 2. 7. 벨기에 블루라는 소 품종 인간의 육종이 낳은 울끈불끈 근육질의 소 벨기에 블루Belgian Blue. 유전자변형 같은 기술을 쓴 게 아니라 전통적인 교배육종 과정에서 나타난 자연적인 돌연변이라고 한다. 그런데 새끼도 일반적인 소에 비해 크기 때문에 제왕절개를 하고 그런다는데... 과연 송아지 때부터 울끈불끈한 기.. 2019. 12. 31. 일본의 수박 정확히 언제 찍은 사진인지 모르겠지만, 마루에서 수박을 먹는 모습이 흥미롭다. 특히 수박이 그렇다. 지금 우리가 먹는 수박보다는 무등산 수박 쪽에 가까운 품종 같다. 2019. 12. 28. 기후변화에 따른 연도별 벼 불임률 재미난 지도를 보았다. 기후변화에 따른 연도별 벼 불임률 지도. 지도를 보면, 그러니까 2060년 정도 되면 지금과 똑같은 벼 품종으로는 농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이야기이다. 농사가 되긴 되는데 평균 20% 정도는 이삭이 제대로 맺히지 않는다는 뜻이다. 저 북쪽이나 현재의 고랭지에.. 2019. 11. 18. 이전 1 2 3 4 ···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