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풀32 컨자의 뿌리 컨자kernza의 뿌리가 토양을 개선하는 모습을 봅니다. 인간이 잡초라 부르는 풀들도 이런 일을 한다고 합니다. 농경지에서 풀을 어느 선까지 배제시키고, 어느 선까지 허용할지가 중요하겠습니다. 2019. 9. 30. 제초 로봇 제초 로봇 기술이 여기까지 왔다. 언젠가 상용화가 되겠구나 싶네. 2019. 7. 12. 유기농업의 김매기 일본의 한 유기농 농부가 발명한 "호킹"이란 제초 방법. 호킹은 빗자루(ほうき)라는 일본어에 현재진행형을 나타내는 영어의 'ing'를 붙여서 만든 단어이다. 그러니까 한국어로 옮기자면, "비질"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제초법으로 논밭에서 벼와 밀, 보리, 잎채소 등의 그루가 자라고 있는 .. 2018. 4. 11. 호밀 - 콩 농법의 효과 입증 요즘 미국에서 유전자변형 대두, 특히 제초제 저항성 대두를 심으면서 가장 골치 아픈 것이 바로 풀이라고 한다. 그동안 열심히 글리포세이트 계통 제초제를 살포한 결과 그에 내성이 생긴 풀들이 우후죽순처럼 발생해서 그렇다고 한다. 특히 명아주 종류들이 질긴 생명력을 자랑한다.이.. 2017. 11. 21. 풀을 억제하는 덮개작물 농지에 건강한 토양을 위한 농법을 도입할 때는 전체 체계를 고려해야 한다. 덮개작물 같은 것을 포함시키면서 생각하지도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병해충을 옮기거나, 곡물과 토양의 물, 온도 조건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전체 체계에 혜택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2017. 7. 18. 돌려짓기의 효과 아래 사진은 미국에서 장기 프로젝트로 진행된 연구결과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똑같은 밭에 똑같은 농사법으로 사탕무를 심었는데, 위는 풀이 덜한 반면 아래는 풀에 덮여 사탕무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이다. 아, 아니다. 똑같은 농사법이 아니다. 위는 작부체계가 옥수수-대두-봄밀-.. 2017. 6. 23. 이전 1 2 3 4 ···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