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종자37 인도의 토종종자 보전 운동 인도 오디샤(Odisha) 주에 종자은행을 건설하고 있는 과학자이자 생태학자이며 농부인 Debal Deb 씨는 전통농법으로 920품종의 토종 벼를 보존하고 있다. 지역사회와 최선을 다해 협력하여, 대기업과 유전자변형 작물에 대항해 농민들을 돕고, 그들이 지역의 토종 품종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 2013. 7. 2. 옛날 무와 배추는 어떤 모습인가? 요즘 사람들에게 김치 하면 떠오르는 것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아마 대다수가 단번에 무와 배추를 떠올리지 않을까? 그만큼 무와 배추는 우리의 현재 식생활에 깊숙하게 들어와 있고,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제는 무와 배추를 빼놓고 한국 음식을 논한다는 것 자체가 힘들 정도라.. 2012. 12. 2. <토종 곡식> 씨앗에 깃든 우리의 미래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75278859 토종 곡식 씨앗에 깃든 우리의 미래 농부가 세상을 바꾼다 귀농총서 | 32 백승우 , 김석기 지음 | 들녘 | 2012년 11월 30일 출간 목차여는 말_ 잡곡이 살아야 농업이 산다 _5 1부 농사꾼이 들려주는 토종 씨앗 이야기 _백승우 대표적인 불량식품, 밀 _12.. 2012. 11. 29. 다양성의 씨앗 에티오피아에서 농민들은 엄청나게 다양한 토종종자를 재배한다. 농민이 원하는 씨앗의 종류가 무엇인지 정보를 모으고, 농민과 국가가 풍부한 유전자원을 보존하는 것을 돕는 것이 왜 필수인가. 2012. 11. 29. 100년 만에 부활한다는 제주의 토종 조 '삼다찰' 자고로 조는 척박한 제주의 농사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작물이라서 제주민의 중요한 곡식으로 재배가 되었다. 지금도 명맥을 잇고 있는 오메기떡이니 오메기술이니 하는 것들이 모두 조를 원료로 만드는 것으로서 그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조와 관련된 용어만 해도 엄청나.. 2012. 11. 26. <토종곡식> 맺음말 유엔 식량농업기구의 발표에 따르면, 1900년 이후 농업에서 작물의 유전적 다양성이 약 75% 감소했다고 한다. 이는 곧 그만큼에 해당하는 토종종자 및 가축들이 사라지고, 그 자리를 다수확 등을 목적으로 하는 신품종이 대신하게 되었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육종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고 .. 2012. 11. 14. 이전 1 2 3 4 ···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