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농업13 국내 친환경농업의 윤작 실태 국내친환경농업윤작실태와올바른방향설정을위한연구.pdf 2012. 7. 16. 유기농업 영농활용 메뉴얼 농촌진흥청 영농활용 메뉴얼.pdf 2012. 7. 13. 지역 단위 물질순환과 친환경농업의 발전 방향 지역단위 물질순환과 친환경농업 발전방향.pdf 2012. 7. 13. 우렁이 농법 왕우렁이 농법 ■ 왕우렁이 넣기 왕우렁이 넣는 시기에 따른 제초 효과 시기모낸 직후모낸 후 7일모낸 후 15일제초 효과(%)96.0%98.6%69.4% - 왕우렁이를 적당한 때에 넣는 것이 중요하다. 써레질하고 3~4일 뒤 모내기를 하고, 그 다음 일주일 뒤 모가 안전하게 뿌리를 내렸을 즈음(활착) 우렁이를 넣는 게 자연스러운 순서다. 일주일이 중요한 게 아니라 모가 뿌리를 내리는 게 중요하므로 빨리 뿌리를 내리고 모가 꼿꼿이 서면 우렁이를 넣어주어도 된다.- 써레질로 풀을 일단 잡았어도 보름이 지나면 피가 또 올라오기 때문에 써레질을 하고 나서 열흘 안에는 반드시 우렁이를 넣어야 한다. 써레질해 놓고 물을 담았는데 불가피한 사정으로 모내기를 일찍 못했다면 모내기 전이라도 우렁이를 넣어야.. 2012. 7. 1. 작물 면역력 높이는 친환경 미생물 개발 작물의 생육을 촉진시키고, 병에 대한 면역력을 높여주며, 추위에도 잘 견디게 해주는 일석삼조의 친환경 미생물이 개발됐다. 5월 중에 기술이전을 앞둔 이 미생물이 상용화되면 앞으로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 유용하게 활용될 전망이다.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식물의 뿌리 주변 토.. 2012. 5. 16. "자연퇴비로 키운 배, 값 5배 더 나가… 美 시장도 공략" 유기농업이란 방식도 시장에 급속히 흡수되어 그 정신은 희미해졌음을 엿볼 수 있는 씁쓸한 기사... 유기농업이 퍼지긴 퍼졌지만 정신은 사라지고 껍데기만 남았다. [한미 FTA발효] <6> 친환경은 선택 아닌 필수 처음엔 비용 대비 효과 적지만 난관 뚫고 나가면 고소득 결실 전체 6%뿐인.. 2012. 3. 26.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