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기질22 압구정에서 쟁기질하는 모습 한국에서는 압구정에서 쟁기질하는 모습이 도시화가 진행되던 대표적인 풍경이라면... 미국에서는 뉴욕시에서 100년 전 말 쟁기질하는 모습이 그런 사례이지 않을까 싶다. 2024. 12. 16. 갈다 -괭이와 쟁기 4부 제6장 말쟁기질 교사가 남긴 것 시작하며 에도시대의 농경도 말이나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초기에 걸쳐 찍은 농사 풍경에는 종종 '코잡이'나 '입잡이'를 하는 2인 말쟁기질 모습이 나와 있습니다. 쟁기를 누르는 '쟁기꾼' 역할 외에 입 근처의 재갈에 대나무 장대를 묶어 말을 유도하는 '코잡이' 역할이 있었습니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말을 똑바로 걸어가게 하거나, 방향 전환을 시키거나 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코잡이'는 써레질이나 흙덩이 부수는 작업에도 많이 행해졌는데, 이는 말이 얼마나 쟁기나 말괭이 등의 견인식 농기구에 대한 길들여지지 못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겁니다. 바꾸어 말하면, 이러한 농기구 사용은 사람에게도 말에게도 쉬운 일이 아니고, 나름의 수련이 필요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후 쇼와 중기.. 2024. 3. 22. 고대 수메르의 쟁기질 고대 수메르인들이 제작했다는 청동상이다. 먼저 소를 이용했다는 게 눈에 들어온다. 그리고 쟁기의 형태가 매우 흥미롭다. 멍에도 없이 소에게 짊어지게 하고, 또 성에와 쟁기술의 각도가 직각에 가깝다. 그것은 즉, 이곳의 흙이 매우 부슬부슬한 상태였는가 추측하게 만든다. 너무 재밌.. 2018. 6. 21. 깊이갈이와 수확량의 관계 깊이갈이가 수확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를 종합한 결과. 깊이갈이를 하면 수확량은 미미하게 6% 정도 증가한다. 선택은 본인의 몫이다. 이러한 결과는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른바 쟁기바닥층이 존재하는 농경지에서는 수확량이 20% 정도 높아진다. 그러니 흙이 다져진 곳에서는.. 2017. 10. 24. 유기농업의 토양 경운 요약토양의 경운에는 쟁기질, 갈이, 파기, 괭이질, 써레질 등과 같이 토양을 느슨하게 하고 뒤집거나 뒤섞는 모든 기계적 조치가 포함된다.신중한 토양 경운은 토양의 보수력, 통기성, 침투력, 온기, 증발산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토양 경운은 침식과 부식질의 분해를 촉진시켜 비.. 2017. 3. 25. 가축을 이용해 쟁기질하는 농사 이런 종류의 책이 한국에서도 출간될 수 있으면 좋겠다.우린 말이 아니라 소가 되겠지. 그래서 이런 외국도서를 번역해서 출간하기가 힘든 것이다. 참고하는 수준은 되겠지만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자와로 서르 사맛띠 아니할쌔"와 같은 경우랄까. 아무튼 아래의 두 책은 참 재미나.. 2015. 12. 23.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