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잡초23

컨자의 뿌리 컨자kernza의 뿌리가 토양을 개선하는 모습을 봅니다. 인간이 잡초라 부르는 풀들도 이런 일을 한다고 합니다. 농경지에서 풀을 어느 선까지 배제시키고, 어느 선까지 허용할지가 중요하겠습니다. 2019. 9. 30.
제초 로봇 제초 로봇 기술이 여기까지 왔다. 언젠가 상용화가 되겠구나 싶네. 2019. 7. 12.
자연과학에서 본 벼의 기원 유라시아 농경사 권1 제3장 자연과학에서 본 벼의 기원 이시카와 류지石川隆二 벼의 기원과 분류 일본에 퍼진 벼 일본인인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먹고 있는 쌀은 벼, 학명으로는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를 재배하여 수확한 것이다. 세계에서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즉 고위도 .. 2018. 4. 15.
유기농업의 김매기 일본의 한 유기농 농부가 발명한 "호킹"이란 제초 방법. 호킹은 빗자루(ほうき)라는 일본어에 현재진행형을 나타내는 영어의 'ing'를 붙여서 만든 단어이다. 그러니까 한국어로 옮기자면, "비질"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제초법으로 논밭에서 벼와 밀, 보리, 잎채소 등의 그루가 자라고 있는 .. 2018. 4. 11.
북미의 원주민은 무얼 먹고 살았는가 미국의 오하이오주가 지금은 옥수수와 대두로 뒤덮인 농업지대가 되었지만, 아주 오랜 옛날 이곳에 살던 원주민들은 섬프위드와 명아주, 메이그라스, 명아자여뀌 같은 걸 주로 먹고 보리를 아주 조금 이용했다는 고고학의 이야기. 그러니까 지금은 잡초로 취급되는 것들이 주식이었단다.. 2017. 8. 25.
돌려짓기의 효과 아래 사진은 미국에서 장기 프로젝트로 진행된 연구결과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똑같은 밭에 똑같은 농사법으로 사탕무를 심었는데, 위는 풀이 덜한 반면 아래는 풀에 덮여 사탕무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이다. 아, 아니다. 똑같은 농사법이 아니다. 위는 작부체계가 옥수수-대두-봄밀-.. 2017. 6.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