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두얼굴의 잡초(최종).pdf




잡초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25만여 종의 식물 중 인간이 이용하고자 하는 목적 이외의 식물을 통틀어 이른다.
2~3천종의 식물이 잡초로 간주되며, 이 중 농업에 큰 피해를 주는 것은 약 200여종이다.


농경지에 발생하는 잡초는 작물의 생산량과 품질을 떨어뜨리며, 병해충의 월동, 서식처로서의 구실도 하고,
농작업을 방해하기도 한다. 일상생활에 있어서, 잡초는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에게 재채기, 코막힘 등을 유발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진단 비용만으로 최소 15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고속도로 주변에 발생하는 잡초를 제거하는 비용으로 연간 360억 원이 들어가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가시박, 미국 자리공 등의 외래 잡초가 유입되어, 국내 생태계에 교란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잡초와 인류의 갈등은 인류의 농경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농경이 발달하면서 잡초의 제거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농사에 적용되었다. 잡초방제의 역사에서 가장 획기적인 사건은 유기합성 제초제의 출현이다. 2, 4-D는 세계 최초로 널리 사용된 합성 제초제로, 만들기 쉽고 저렴하여 현재도 쓰이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잡초를 한 번에 방제가능한 제초제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제초제에 저항성을 가진 잡초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생태계의 균형을 고려한 종합적 방제의 개념이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다. 지금까지 잡초는 쓸모가 없을 뿐 아니라 농업이나 생활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식물로만 인식되었다.


그러나 최근 잡초의 다양한 활용도가 밝혀지면서 우리의 생활에 이용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한의학, 민간요법에서 사용되던 잡초의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약재, 의약소재, 건강식품과 별미음식으로 재탄생하고 있다. 또한 공기 등의 환경정화, 향기를 즐기는 관상·방향 식물, 천연염색, 경관, 압화공예 등에도 활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잡초로 잡초를 잡기 위한 생물적 방제의 소재로 사용하기도 하고, 
차세대 바이오에너지의 원료, 토양보존, 사막화 방지를 위한 자원으로 이용하고 있다.


향후 잡초가 주는 해악을 최소화하고, 이점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1) 먼저 잡초를 경제활동에 방해가 되는 식물로서만 보지 말고, 
세계 유수의 제약회사들처럼 미개발된 식물자원으로 인식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2) 잡초의 위해성과 기능성을 모두 고려하는 전방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우리 땅에서 수천 년간 자생식물로 활용했던 전통지식을 발굴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3)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지역마다 잡초의 분포와 부르는 이름이 다른 점을 활용하여, 
스토리텔링과 연계한 문화산업 소재로의 개발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두얼굴의 잡초(최종).pdf
2.27MB
728x90
728x90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weeds resistant to current applications, companies are developing new generations of seeds genetically modified to resist multiple herbicides. This continual insertion of more genes into crops is not a sustainable solution to herbicide resistance,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Over-reliance on glyphosate-type herbicides for weed control on U.S. farms has created a dramatic increase in the number of genetically-resistant weeds, according to a team of agricultural researchers, who say the solution lies in an integrated weed management program.

"I'm deeply concerned when I see figures that herbicide use could double in the next decade," said David Mortensen, professor of weed ecology, Penn State.

Since the mid-1990s, agricultural seed companies developed and marketed seeds that were genetically modified to resist herbicides such as Roundup - glyphosate - as a more flexible way to manage weeds, Mortensen said. About 95 percent of the current soybean crop is modified by inserting herbicide-resistant genes into the plants.

"We do understand why farmers would use the glyphosate and glyphosate-resistant crop package," Mortensen said. "It is simple and relatively cheap, but we have to think about the long-term consequences."

The researchers said that increased use of herbicider is leading to more species of weeds that also are resistant to the chemicals.

They report their findings in the current issue of BioScience, noting that 21 different weed species have evolved resistance to several glyphosate herbicides, 75 percent of which have been documented since 2005, despite company-sponsored research that the resistance would not occur.

"Several species have developed amazing biochemical ways to resist the effects of the herbicide," said J. Franklin Egan, doctoral student in ecology, Penn State. "If weed problems are addressed just with herbicides, evolution will win."

One way the weeds develop resistance is to make an enzyme that is insensitive to the herbicide, but still maintains cellular function, Egan said. Weeds have also developed ways for the plant to move the herbicide away from targeted enzymes.

"For instance, glyphosate-resistant strains of Conyza canadensis - horseweed - sequester glyphosate in leaf tissues that are exposed to an herbicide spray so that the glyphosate can be slowly translocated throughout the plant at non-toxic concentrations," Egan said. "To the horseweed, this controlled translocation process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taking many shots of whiskey on an empty stomach versus sipping wine with a meal."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weeds resistant to current applications, companies are developing new generations of seeds genetically modified to resist multiple herbicides. This continual insertion of more genes into crops is not a sustainable solution to herbicide resistance,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They add that companies are creating a genetic modification treadmill similar to the pesticide treadmill experienced in the mid-20th century, when companies produced increasingly more toxic substances to manage pests resistant to pesticides.

"Specifically, several companies are actively developing crops that can resist glyphosate, 2, 4-D and Dicamba herbicides," said Mortensen.

"Such genetic manipulation makes it possible to use herbicides on these crops that previously would have killed or injured them. What is more troubling is that 2,4-D and Dicamba are older and less environmentally friendly."

Egan said there are several problems with the treadmill response. First, weeds will eventually evolve combined resistance to Dicamba, 2,4-D and glyphosate herbicides. Globally, there are already many examples of weeds simultaneously resistant to two or more herbicides.

Increased use of 2,4-D and Dicamba applied over the growing corn and soybean means much more of these herbicides will be applied at a time of year when many sensitive crops like tomato and grapes are most vulnerable to injury. Such injury results when these herbicides move from the targeted field during or following an application.

Overuse of chemical weed killers may increase chances that farmers will use the herbicide during inappropriate or non-recommended weather conditions, leading to herbicides drifting from the targeted area and killing or harming other plants and crops.

Egan also said that if farms become too reliant on herbicides, farmers will find it more difficult to use integrated weed management approaches.

Integrated weed management includes planting cover crops, rotating crops and using mechanical weed control methods. Farmers can use herbicides in this management approach, but must use them in a targeted, judicious fashion.

The researchers, who also worked with Bruce D. Maxwell, professor of land resources and environmental sciences, Montana State University, Matthew R. Ryan, post-doctoral student, Penn State, and Richard G. Smith, assistant professor of agroecology, University of New Hampshire, said that in previous studies, integrated weed management had lowered herbicide use by as much as 94 percent while maintaining profit margins for the operations.

"Integrated weed management is really the path forward," said Egan. "We believe these methods can be implemented, and we already have a lot of show that they're effective and straight forward to incorporate."


728x90
728x90

전통농업의 방법 - 잡초 관리

 

 

 

 

 

 

풀 투성이 옥수수밭

 

 

멕시코 푸에블라주Puebla州의 농민들은 7000년이나 옥수수를 재배하며 다양한 경험을 축적해 왔다. 그들이 재배하는 옥수수는 토종인데, 국제 옥수수·밀 개선 센터와 정부에서 제공하는 품종보다 뛰어나 남아 있다. 호박과 콩을 섞어짓기하여 대규모 단작보다 수확량이나 영양도 좋으며, 반 리넨Van Rheenen(l981) 등에 따르면 옥수수와 섞어짓기하여 콩에 병해가 생기지 않는다고 한다.

 

 

토종 옥수수는 이삭이 아래로 구부러지며(doblando la mazorca) 늘어진다. 웨더왁스Weatherwax(1954)는 이 품종을 썼던 16세기 아즈텍 농업의 기록을 찾아냈다. 1529년 멕시코를 방문한 수사 사하곤Sahagun은 아즈텍족 농민들의 모습을 이렇게 기록했다.

 

 

“옥수수를 심은 구멍에 흙을 덮고, 어린 싹의 둘레에 북을 주며 풀을 뽑거나 솎는다. 잘 자라도록 작은 이삭은 따 버린다. 그리고 줄기가 성숙하여 말랐을 때 옥수수를 수확하여, 이삭을 묶든지 줄기와 이삭을 함께 모아 집으로 가지고 돌아와 보존한다. 그리고 이삭이 없는 줄기는 부수어 바람으로 말끔히 한다.”

 

아래를 향한 옥수수는 기묘하게 생각된다. 아래를 향하여 옥수수의 알곡은 비에 젖지 않고, 이삭에 붙은 채 햇빛에 말리는 것이 격납하는 쪽보다 쥐나 새에 먹히는 일이 적으며, 수분의 양도 줄이기에 보관하면서 질이 나빠지는 것도 막을 수 있다. 게다가 몬토야Montoya와 쉬버Schieber(1970)는 과테말라에서 아래로 구부러지는 옥수수를 견본·추출하여, 보통 옥수수의 균류 피해가 평균 14.5%인 데 비해 알곡의 피해가 1.0%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혔다.

 

 

그런데 이 농민들이 일하는 옥수수밭의 수확철의 모습은 온대의 옥수수 산지와는 좀 다르다. 밭이 잡초 투성이다. 멕시코의 과학자들에 따르면, 농민들은 약 90일 동안이나 밭에 풀이 자라게 놔두는데, 김을 매도 수확량 차이가 별로 없고 또 풀을 건기에 가축의 먹이로 쓰기에 그렇다고 한다. 농민들은 “밭에 풀이 있으면 바람과 물로 토양이 침식되는 것도 줄어든다”고도 한다. 그뿐만 아니라 에프라임 에르난데스Efraim Hernandez X.는 멕시코의 옥수수밭에 있는 약 40종의 풀은 약향초(Herb)로 농민들이 먹기도 한다고도 지적한다. 사실 그 가운데에는 일부러 씨를 뿌린 풀조차 있다.

 

 

 

 

섞어짓기로 생긴 그늘로 풀을 막는다

 

 

물론 전통적인 농민들도 풀을 관리하고 있다. 쓰는 방법은 갈아엎기와 불지르기, 덮기 등이다(Altieri and Whitcomb 1978). 예를 들면 태국 동부에서는 건기의 끝자락에 몇 번이나 밭을 갈아엎어서 땅콩의 잡초를 줄이고 있다. 표면이 마르면 풀의 발아와 성장이 멈춘다. 마늘의 잡초는 볏짚으로 덮어서 막고 있다. 농사짓기 전에 불을 지르는 곳도 있다. 예를 들면 태국 북동부에서는 밭의 풀을 볏짚을 태워서 관리하고 있다. 코스타리카의 부대밭 농업에서도 겉흙의 풀 씨앗을 50% 이상 줄인다는 사실이 관찰되었다(Ewel et al. 1981).

 

 

손으로 김을 매는 것도 전통농법에서는 일반적인데, 노동력과 조정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태국 북동부의 카사바 재배에서는 건기가 시작될 때 괭이(호미)로 풀을 뽑고서 덮개식물로서 그대로 놔둔다. 같은 시기에 벼농사를 준비하기 시작하기에 카사바의 김을 매는 데 많은 노동력을 투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건기에는 물이 적기 때문에 풀이 늦게 자란다. 그리고 풀이 자라는 우기에는 카사바가 자라서 생긴 그늘이 풀이 자라는 것을 억제해 버린다.

 

 

섞어짓기에서는 연속하여 작물을 기르기 때문에 풀은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옥수수, 콩, 카사바를 섞어짓기하는 전통적인 라틴아메리카의 농법도 풀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Hart 1975). 섞어짓기로 인해 빛이 닿지 않으면 풀은 자라지 않는다. 차폐 실험을 통해 빛을 50%로 하면 풀의 양이 75% 줄고, 20%로 하면 96%나 줄어든다고 한다(Bantilan et al. 1974).

 

 

나이지리아에서도 동부를 수수나 조와 섞어짓기하여 풀이 자라는 것을 억제한다(Summerfield et al. 1974). 콩고에서는 오이를 옥수수와 섞어짓기하는데, 이것도 풀을 억제하려고 해서이다(Miracle 1967). 탄자니아의 우삼바라Usambara 산지의 농민들도 묵히기, 섞어짓기, 그리고 특정한 김만 내는 방법으로 복합농업 체계를 개발해 왔다. 작물이 작을 때는 풀을 덮지 못한다. 그러나 풀이 늘어나도록 놔두면 지표를 덮어서 땅거죽이 뜨거워져 마르는 것을 막는다. 비가 올 때에는 토양침식을 줄이고, 작물과 경합하여 작물도 잘 자란다. 농민들은 그것을 잘 이해하여 작물이 자라는 데 방해가 된다고 판단될 때에만 살짝 갈아버린다. 양분이 순환하고, 박테리아가 질소 동화할 수 있도록 덮개식물로 흙 표면에 풀을 놔둔다. 건기가 되면 밭은 많은 풀로 덮이는데, 흙은 부식으로 기름지게 되고 수분도 많고 부드러워 다음 농사철에도 좋다.

 

그러나 그 뒤 풀 없는 농지라는 원칙이 도입되면서 이전에 잡초를 남기는 작부체계가 무너지고, 풋거름이 되는 풀을 대체하려고 화학비료가 필요해졌다(Egger 1987).

 

탄자니아의 우삼바라 지역.

 

 

 

 

잡초 따위라고 하는 풀은 없다

 

 

서양의 개념에서는 들풀, 작물, 잡초로 명쾌하게 식물을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멕시코 타바스코주의 전통적인 농민들에게는 ‘잡초’라는 말이 없다. ‘좋은 식물’ ‘나쁜 식물’이라는 개념은 있지만, 언제 그리고 어디에 있는지에 따라서 똑같은 식물이 잡초가 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Chacon and Gliessman 1982).

 

 

멕시코 북동부의 바닷가 지역에 살고 있는 와스텍Huastec 인디언의 개념도 똑같다. 와스텍족은 자급 농업·수렵채집과 함께 환금작물의 생산과 임금노동으로 번 돈으로 필요한 것을 사면서 생활하고 있다(Alcorn1981). 부대밭 농업의 밀파Milpa와 채소 텃밭으로 재배하는 옥수수와 타피오카 등이 주식인데, 주어진 상황이나 계절에 따라서 똑같은 식물이 ‘잡초’가 되거나 그렇지 않거나 한다. 더욱이 지역의 숲 생태계와 오랜 세월 밀접하게 연관되어 온 와스텍족은 식물을 그 자체의 단독으로 인식하지 않고, 생태계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의 하나로 인식한다. 당연히 식물에 대한 태도도 달라진다. 그리고 몇 세기에 걸쳐 생태계 전체에 손을 대면서 열대림의 식생을 바꾸어 왔다. 람보Rambo(1982)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숲에 사는 선주민이나 동남아시아의 숲에 사는 농민들도 일반적으로 그들과 비슷하게 식생을 관리해 왔다고 한다.

 

전통적인 농민의 세계에 잡초라는 이름의 풀은 없다.

 

옛 와즈텍족의 생활을 담은 그림.

 

 

 

written by 吉田太郞, translated by 김서방.

 

 

 

 

인용문헌

(1) Gerald G. Marten, Traditional Agriculture in Southeast Asia: Peter Brosius, George W Lovelace, and Gerald G. Marten,Ethnoecology: An Approach to Understanding Traditional Agricultural Knowledge, Westview Press, 1986.

(2) Gerald G. Marten, Traditional Agriculture in Southeast Asia: Becky. Brown and Gerald G. Marten, The Ecology of Traditional Pest Management in Southeast Asia, Westview Press, 1986.

(3) Thurston, H. David, Plant disease management practices oftraditional farmers, Plant Disease 74:96-102, 1990.

(4) Reijntjes, C., B. Haverkort, and A. Waters-Bayer. Farming for the future: An introduction to low-external input and sustainable agriculture, 3.2 Indigenous farming systems, practices and knowledge: some examples, London: Macmillan, 1992.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