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다양성13 감자를 통해서 본 작물다양성이 중요한 이유 - 감자종류만 4500개, 안데스 농민이 지킨 ‘잉카의 유산’- 종의 다양성을 지키는 것은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해결책- “향후 100년을 보존하는 미래 세대를 위한 식량 자원”[리얼푸드=페루(피삭) 고승희 기자] 햇볕에 그을린 다부진 손이 별별 종류의 감자를 들어올렸다. ‘대지의 색’을 .. 2017. 9. 27. 토종 씨앗 보전은 어떻게 할까 결론부터 말하자. 농민이 토종 씨앗을 재배함으로써 지킬 수 있는 건 작물다양성이다. 우린 흔히 생물다양성을 지키게 된다고 이야기하고 있지만, 엄밀히 따지자면 작물의 다양성을 지키는 일이다. 그리고 토종 씨앗을 이용하든 신품종을 심든, 농민이 환경에 이로운 농법으로 농사지음.. 2017. 8. 26. 에덴의 사과: 현대 사과의 야생종을 보존하기 Central Asia's fruit tree species are invaluable storehouses of genetic diversity with the potential to secure the future of global crops. This story is part of National Geographic's special eight-month Future of Food series. An epiphany came to Adrian Newton in the form of an afternoon tea. In 2009, the British forest conservation ecologist was surveying threatened fruit tree.. 2014. 5. 14. 콩을 지켜라 난 늘 게으르게 농사짓는 방법을 선호한다. 그래서 작물을 심을 때도 모종을 내기보다는 씨앗을 그대로 심는 방법을 선호한다. 곧뿌림, 어떻게 하면 잘할 수 있는가? 특히 어려운 것들이 몇 가지 있다. 콩과 배추, 무 등이다. 배추와 무는 초기에 벌레들에게 무방비 상태로 노출이 된다. 그.. 2013. 6. 20. 다양한 유기농 작물이 야생 벌의 숫자를 늘린다 Fields with diversified, organic crops get more buzz from wild bees, concludes a synthesis of 39 studies on 23 crops around the world published March 11 in the journal Ecology Letters. The study found that wild bees were more abundant in diversified farming systems. Unlike large-scale monoculture agriculture, which typically relies upon pesticides and synthetic fertilizers, di.. 2013. 3. 23. 농사가 씨앗이라면 음식은 꽃이다 누구나 그렇겠지만, 사람은 먼저 꽃에 눈과 맘을 빼앗기기가 쉽다. 그렇게 꽃을 바라보다가 어떤 사람은 꽃에 대해 더 알고 싶다는 궁금증이 일어나게 된다. 그렇게 공부를 시작하다 보면 그 뿌리가 되는 씨앗에까지 가서 닿는다. 물론 그 반대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 2013. 3. 4.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