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통11 슈퍼마켓 미국: 냉전 시대 농장 경주에서 먹을거리와 권력 이런 책 너무 재밌지 않겠습니까?<슈퍼마켓 미국: 냉전 시대 농장 경주에서 먹을거리와 권력> https://www.amazon.com/dp/0300232691/ref=rdr_ext_tmb미국은 슈퍼마켓을 이용해서도 냉전 시대에 싸웠고, 그렇게 개척된 식품 경제가 오늘날 우리가 먹는 방식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슈퍼마켓은 .. 2019. 9. 5. 유통업체가 씨앗에 미치는 영향 미국의 월마트가 바이엘과 손을 잡고 소비자들의 취향을 저격할 멜론 종자를 개발한다는 소식이 들립니다. 아래 기사가 바로 그것입니다.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7-06-13/don-t-freak-out-but-wal-mart-just-created-a-designer-cantaloupe 이런 류의 이야기, 어디서 많이 들어보지 않으셨습니까? 네, .. 2017. 6. 21. 한국 농업이 배울 모델은 과연 네덜란드인가? 이런 측면이 바로 네덜란드 농업을 배워야 한다고 부르짖는 사람들의 근거였구나. "네덜란드는 국토도 작고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도 적지만, 농업과 관련된 부가가치는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에 해당하는 나라입니다. 한국도 네덜란드의 농업을 배워야 합니다!" 그런데 네덜란드 .. 2017. 4. 2. 못난이 과일과 채소를 유통시켜 식품 폐기물을 줄인다 식품 폐기물을 줄이려는 목적 등으로 대형 유통업체가 못난이 과일과 채소를 유통한다는 소식. 미국의 이야기이지만 조만간 한국에서도 등장할 것 같다. 맛과 품질에만 문제가 없다면 요즘 같은 불황에 싼 값에 살 수 있다는데 마다할 소비자는 없을 듯. http://www.npr.org/sections/thesalt/2015/06/1.. 2016. 3. 17. 음식물 쓰레기를 줄여라 음식물 쓰레기 문제. 먹고 남은 것만이 아니라 수확하고 저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 가공과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 등등 다양하다. 이것만 줄여도 유전자변형 작물 등을 이용해서라도 생산량을 늘려야 한다는 사람들의 입을 막을 수 있을 것이.. 2014. 7. 4. 도시 1인가구의 급증과 개인주의 야채가게의 실험 시사인에 실린 개인주의 야채가게를 실험한 분의 글... 도시에서는 1인가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이때 참으로 중요한 실험이 아니었나 싶다. 이렇게 다품종 소량 판매가 주를 이룬다면, 농사의 규모가 작은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더 좋은 기회가 생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특히 .. 2013. 12. 4.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