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통12

도시 1인가구의 급증과 개인주의 야채가게의 실험 시사인에 실린 개인주의 야채가게를 실험한 분의 글... 도시에서는 1인가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이때 참으로 중요한 실험이 아니었나 싶다. 이렇게 다품종 소량 판매가 주를 이룬다면, 농사의 규모가 작은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더 좋은 기회가 생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특히 .. 2013. 12. 4.
농식품을 중국 시장으로 수출하자굽쇼 한중 FTA 1차 협상 종료와 발을 맞춰 농식품을 중국 시장으로 수출하자는 이야기들이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온다. 농촌경제연구원은 물론 기재부 등에서도 시끄럽게 떠든다. 그런데 솔직히 까놓고 농식품을 수출한다면 그 원재료를 모두 국산으로 쓸까? 농산물을 중국 시장으로 수출할 가.. 2013. 9. 10.
미국 파머스마켓 운영 현황과 시사점 미국 파머스마켓 운영 현황과 시사점.pdf 미국의 농산물 직거래 추진체계를 살펴보고 관련 정책과 더불어 운영사례를 살펴보았다. 1. 미국의 농산물 직거래 2. 파머스마켓의 운영 3. 정부 관련 정책 4. 파머스마켓 운영사례 5. 파머스마켓의 특징 및 시사점 2013. 8. 21.
일본의 직거래 확대 정책과 직매장 운영의 특징 일본의 직거래 확대 정책과 직매장 운영의 특징.pdf 일본의 지산지소운동을 중심으로 농산품 직매장 관련 정책의 변화과정과 그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일본에서 운영되고 있는 직매장의 현황과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1. 지산지소(地産地消) 확산정책과 직매장의 성장 2. 직매장의 .. 2013. 8. 21.
유럽연합의 농식품 직거래와 파머스마켓 유럽연합 농식품 직거래와 파머스마켓.pdf 유럽연합이 직거래를 어떻게 정의하고, 직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어떠한 정책을 실행하고 있는지 사례와 더불어 살펴보았다. 1. EU의 직거래 정의와 형태 2. EU의 직거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전략 3. 프랑스의 직거래 운영 사례 4. 이탈리아의 직.. 2013. 8. 21.
먹을거리와 농업의 월마트화 한국과는 조금 양상이 다르지만, 대형마트가 특히 식품과 관련한 사업을 서서히 독점해 나아가는 건 미국이나 한국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 대형마트가 로컬푸드로 신선식품의 물가를 잡는다든지, 대형마트가 휴업을 하면 농민들이 죽어난다든지, 대형마트들이 자체적으로 유통센터를 건.. 2013. 7.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