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가뜩이나 어려움에 처해 있는 한우 농가들이 줄도산하게 생겼다.

엊그제는 한우 농가에서 축협 등과 짜고 보험사기를 벌이다 걸린 일이 폭로되었다.

호주와 자유무역협정이 체결된 오늘, 가만히 생각하니 혹시 그게 기획된 건 아닐까 하는 의구심도 들더라.

아무튼 농업은 더욱더 벼랑 끝으로 몰리게 생겼다.

이른바 경쟁력을 갖춘 몇몇만 살아남을 것 같아 걱정이다.

---------



국회비준 거쳐 이르면 2015년 발효…쇠고기 관세 2030년 완전 철폐
가전제품도 즉시철폐…ISD 조항 한-미 FTA 수준 삽입 

한국과 호주의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실질적으로 타결됐다고 정부가 5일 선언했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4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앤드루 롭 호주 통상장관과 회담을 열어 한-호주 FTA 협상이 실질적으로 타결됐음을 확인했다고 5일 발표했다.

양측은 기술적 사안에 대한 협의와 협정문 전반의 법률적 검토를 거쳐 내년 상반기 중 FTA 협정문에 대한 가서명을 추진키로 하는데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양국에서 국회 비준 절차가 차질없이 이뤄질 경우 이르면 2015년부터 한-호주 FTA가 발효될 것으로 예상된다.

호주와의 FTA 협상은 2009년 5월 시작해 4년 7개월 만에 실질적으로 타결됐다.

한국과 호주는 3일 WTO 각료회의가 열린 발리에서 제7차 FTA 공식협상을 진행했다.

양국은 협정 발효 후 8년 이내에 현재 교역되는 대다수 품목에 대한 관세철폐에 합의했다.

한국의 대(對) 호주 주요 수출품목인 자동차(관세율 5%)의 경우 주력품목인 가솔린 중형차(1천500∼3천㏄), 소형차(1천∼1천500㏄) 등 20개 세번(수입액 기준 76.6%)에 대해 즉시 관세철폐에 합의했다.

나머지 승용차(수입액 기준 23.4%)는 3년간 철폐한다.

자동차 관세를 즉시 철폐 조건으로 타결하는 것은 한-호주 FTA가 처음이다.

산업부는 "그동안 다른 FTA에서는 자동차 관세를 보통 3∼5년 후 철폐하는 조건으로 합의됐는데, 이번에는 즉시 철폐로 결론이 났다"고 설명했다.

우리 측 주요 관심품목인 TV·냉장고 등 가전제품(관세율 5%), 전기기기(대부분 5%), 일반기계(5%) 대부분의 관세가 즉시 철폐되고 자동차부품(관세율 5%)은 3년내 철폐를 확보했다.

쇠고기에 대해서는 15년간 관세철폐 양허 및 농산물 세이프가드를 통해 시장 개방에 따른 국내 영향을 최소화하기로 했다고 윤 장관은 밝혔다.

2015년 한-호주 FTA가 발효될 경우 매년 2∼3%씩 관세를 단계적으로 낮춰 오는 2030년 현재 40% 수준인 관세를 완전 철폐하는 개념이다.

산업부는 "쇠고기와 낙농품은 한-미 FTA보다도 더 보수적인, 말하자면 더 좋은 조건에서 막아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내 수입쇠고기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호주산 쇠고기의 관세가 단계적으로는 축소되게 돼 국내 축산물 시장과 축산농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쌀과 분유·과일·대두·감자 등 주요 민감품목들은 개방 대상에서 제외했다.

우리에게 유리한 조항인 투자자국가소송(ISD) 조항은 관철했다.

호주는 2004년 미국과 FTA를 체결할 때도 ISD 조항을 제외시켰다.

ISD는 기업이 투자 상대국의 법령·정책 등으로 피해를 봤을 때 국제중재를 통해 피해를 구제받을 수 있는 일종의 국제소송으로, 자국기업의 해외투자가 많은 나라에는 유리하고 반대로 외국기업의 자국투자가 많은 나라에는 불리하게 작용한다.

호주는 대표적인 자원부국으로 외국기업의 투자가 많아 줄곧 ISD 조항 삽입에 반대해왔다.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원산지 인정을 위한 협의도 신속하게 진행되도록 합의했다.

6개월 뒤 역외가공위원회를 개최하고 1년에 두 차례씩 열기로 했다.

한국은 호주와 2009년 5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5차례 FTA 공식협상을 진행하다가 ISD, 쇠고기 시장접근 문제 등으로 교착상태에 빠졌다.

이후 3년 6개월 만인 지난달 서울에서 열린 한-호주 통상장관 회담에서 FTA 공식협상 재개에 합의한 뒤 곧바로 6차 협상에 착수했고 3일 7차 협상을 이어갔다.

한편, 정부가 협상 참여에 '관심 표명'을 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참여국인 호주와의 양자 FTA가 사실상 타결됨에 따라 한국의 TPP 협상 관련 입장에도 참여 쪽으로 무게가 실릴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연합뉴스) 옥철 기자 oakchul@yna.co.kr


728x90
728x90

한중 FTA 1차 협상 종료와 발을 맞춰 농식품을 중국 시장으로 수출하자는 이야기들이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온다. 농촌경제연구원은 물론 기재부 등에서도 시끄럽게 떠든다.


그런데 솔직히 까놓고 농식품을 수출한다면 그 원재료를 모두 국산으로 쓸까? 
농산물을 중국 시장으로 수출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일부 몇몇 극히 제한적인 품목은 가능할지도 모르지, 하지만 다른 대다수의 품목은 오히려 중국산 농산물에 잠식당하지 않을까? 
지금도 보따리상이라든지 유통업자들이 들여오는 값싼 중국산 농산물이 상당한 부분 한국 농산물 시장을 장악하고 있지 않은가. 

너희들,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려라 진짜. 
---------



우리 농식품, 중국시장 수출 확대하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식품 수출확대 전략’ 토론회 개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9월 3일(화) 14시부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중회의실(서울 서초구 소재)에서 농식품 수출확대 전략수립을 위한 기본방향 및 실천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하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공동으로 ‘농식품 수출확대 전략’ 토론회를 개최했다. 

개회식에서 KREI 최세균 원장은 “진취적인 자세로 우리가 가진 역량을 응집해 농식품 수출 확대를 이루자”며, 이번 토론회가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다양한 시각의 의견을 듣고 나누는 장이 되길 당부했다. 또한 오늘 나온 여러 의견들을 반영해 향후 농식품 수출활성화를 위한 논리와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KREI 전형진 연구위원은 ‘중국시장 농식품 수출확대 가능성 및 확대 전략’이란 제목의 발표에서 “중국은 내수 소비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식품소비에서 소비자의 안전 및 웰빙소비 트렌드가 증가하는 등 기회요인이 있다”며, “중국시장에서 농식품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수출농업 기반 구축 등으로 수출 체질을 강화하고,  품목별·지역별로 차별화된 수출 마케팅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진 ‘대중국 농식품 수출 증대를 위한 aT의 역할’이라는 발표에서 백진석 aT 수출기획팀 팀장은 “중국에서는 그동안 지속적인 식품안전 사고로 수입산 농식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구매력도 높다”며, 대중국 수출확대 전략으로 ‘미디어를 통한 종합 마케팅 추진, 정보지원체계 강화, 수출물류 인프라 확대, 신규시장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중원 빙그레 해외사업관리팀장은 “바나나맛우유 수출 성공요인”이라는 제목의 세 번째 발표에서 바나나맛우유가 중국시장 진입에 성공한 요인으로 중국 소득 수준 상승으로 인한 다양한 유제품 소비 증가, 자국내 식품의 낮은 신뢰도를 꼽았다. 더불어 바나나맛우유의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소개해 관심을 끌었다. 어명근 KREI 선임연구위원이 좌장을 맡아 이뤄진 토론에서는 농민단체, 전문가, 학계, 정부 등에서 참석한 토론자들이 열띤 토론을 벌였다. 


 * 관련 사진 보기

728x90
728x90
두 사람이 한 자리에 모여 이야기한다는 오늘...
하나도 반갑지 않다.




요즘 한중 FTA에 쌀 시장 전면개방 문제까지 걸려 있기에...
둘이 만나 그런 걸 조율하려는 것이겠지.

아래의 전문만 봐도 그런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구만.
--------


예산 마무리 등으로 바쁘신 중에도 농업․농촌에 대해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간담회에 참석해 주신 부총리님과 기획재정부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정부 부처가 최초로 이런 자리를 마련한 것 자체가 농업계에 큰 희망과 힘이 될 것입니다.

오늘 간담회는 경제 컨트롤타워인 기재부와 농업과 농촌정책을 총괄하는 농식품부가 한자리에 모여, 우리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을 같이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등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는 매우 뜻 깊은 자리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쌀 목표가격 변경, 고추․축산물 등 가격하락, 농산물 수급불안 등 농정 현안과 함께 한․중 FTA 추진에 따른 농업인들의 불만과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아주 시의적절하고 의미 있는 행사입니다.

농식품부는 농업과 농촌의 본질적 가치를 바탕으로 ‘희망찬 농업, 활기찬 농촌, 행복한 국민’을 농정비전으로 설정하고, ‘국민행복’의 관점에서 국민 개개인의 피부에 와 닿는 변화를 실천하는 자세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농식품 분야의 국정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농어업재해보험 개편방안(5월2일)‘, ’축산농가 경영안정대책(4월15일)‘, ’유통구조 개선대책(5월27일)‘ 등을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농업·농촌의 본질적 가치에 대한 국민적 이해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중장기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을 마련, 조만간 확정 발표할 계획입니다.

이번 계획을 토대로 농식품 분야의 국정과제를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하는 한편, 한·중 FTA를 앞두고 대통령님께서 말씀하신 농정의 3대축(소득, 복지, 경쟁력)을 완비해 나갈 것입니다.

이를 위해 농업의 6차산업화, 직불금 확충 등 농업인 소득증진, 영세․고령농 등 취약계층에 대한 배려, 농촌의 복지․생활여건 개선, 밭농업 경쟁력 강화, 농업후계인력 육성 등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경쟁력강화 대책 등의 과제를 중점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현재 농업과 농촌의 문제는 농식품부 혼자만의 노력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복잡하고 힘든 상황입니다.

오늘 이 자리에서 기재부와 여러 현안에 대해 허심탄회한 논의를 통해 상호 이해의 폭을 넓혔으면 좋겠고 경제컨트롤 타워인 기재부가 우리 농업·농촌 문제 해결을 위해 중심을 잡고 적극적으로 지원해 주시기 바랍니다.


---------



농식품부 장관님과 실국장 여러분, 반갑습니다. 


특별히 기재부와 농식품부가 농정현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하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그동안 두 부처는 같이 많은 일을 해 왔지만, 이렇게 마주앉아 정책을 논의하기는 처음입니다. 
앞으로 다른 부처와도 간담회를 가지겠지만 농식품부를 가장 먼저 초대한 것은 국가의 근간인 농업의 중요성 때문입니다. 

아마도 그동안 농식품부에게 기재부는 경제논리만을 따지는 차가운 부처로 보였을 것 같습니다.
반대로 기재부의 입장에서는 농업의 특수성과 농민 보호만을 주장하는 농식품부가 이해하기 어려운 부처로 보였을지도 모릅니다. 

오늘 이 자리를 통해 서로 자기 부처의 입장에서만 상대를 보는 시각을 벗어 버리고, 두 부처가 공감을 바탕으로 따뜻한 농업정책을 만들어내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우리 경제에서 농림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총 부가가치의 2.0%(26조2000억 원), 총 취업자의 6.2%(152만 명) 수준입니다. 
통계상으로 비중은 크지 않으나 농업은 국민의 먹거리와 식량안보를 책임지는 ‘국가의 근간’입니다. 

현재 우리 농업은 인구의 고령화, 도시와 소득격차 확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압력 등 수많은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러한 당면과제에 어떻게 대처하는지에 따라 우리 농업은 더 이상 어렵고 힘든 산업이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산업, 미래의 성장동력으로 탈바꿈하는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먼저 추석과 같은 명절만 다가오면 되풀이되는 우리 농산물의 수급과 유통구조에 대해 보다 깊이 고민해봐야 하겠습니다. 
농민들은 제값을 받지 못하는데 소비자들은 비싼 가격을 지불해야하는 문제가 오래도록 제기되어 왔습니다. 또한 농산물 수급의 미스매치와 이로 인한 가격 급등락 역시 여전히 고질적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
그런 차원에서 정부가 지난 5월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대책을 발표했는데, 이러한 농업 구조개선 대책이 제대로 추진되어야 농업이 국민에게 사랑받는 산업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으로는 우리 농산물의 수출확대에 관한 문제입니다. 
우리 농산물이 안전한 고품질 제품으로 인정받으면서 일본과 중국 등에서 수요가 계속 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은 소득이 증가하면서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우리 농산물에 대한 잠재적 수요가 대단히 높습니다. 게다가 중국은 거리도 가까워 내수 시장과 다르게 볼 이유도 없습니다.
따라서, 우리 농산물의 수출확대 정책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입니다. 우리 농업이 좁은 국내 시장만을 볼 것이 아니라 세계 시장으로 진출할 기회가 온 것입니다.

다음은 그동안 농업의 구조개선을 위해 많은 대책과 예산을 투입했지만, 아직 우리 농업 경쟁력은 높지 않다는 점입니다.
여러 FTA를 체결하면서 보완대책 차원에서도 많은 대책들을 시행하고 예산을 투입했는데도 왜 효과가 없었는지, 그리고 앞으로 우리의 농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을 어떻게 가져가야 할지 고민해보고 싶습니다. 

최근 귀농․귀촌 인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농촌의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이고, 일할 사람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새로운 인력이 농촌으로 향하고 있다는 것은 무엇보다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 

우리의 가치관도 많이 바뀌었습니다. 
소득 증가에 따라 삶의 질을 추구하고 바쁘게 돌아가는 도시의 삶보다 ‘슬로 라이프(Slow Life)’를 추구하며 전원으로 돌아가려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농식품부의 농업·농촌 6차 산업화를 통해 이런 변화를 제대로 수용하여 농업과 농촌이 새로운 산업과 삶의 터전으로 발전하기를 바랍니다. 농민들과 정부가, 농식품부와 기재부가 함께 힘을 모아 해결해야 할 일이 여전히 많습니다. 

모쪼록 오늘 간담회로 농식품부와 기재부가 서로를 이해하는 폭이 넓어지고 협업이 더욱 증진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728x90
728x90


우간다 시장의 농산물 판매상들이 보유한 다양한 콩의 모습을 보자.










우간다의 시장 풍경이나, 한국 농촌의 장터 풍경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 










728x90
728x90


종자산업의도약을위한과제.pdf



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보고서


종자산업의도약을위한과제.pdf
0.6MB
728x90
728x90

learning-module6-preview.pdf



Small-scale farming continues to be the economic livelihood base for large numbers of people around the world. In developing countries, most people (2.5 billion) are involved in agriculture, and of these, 1 billion are small-scale farmers with access to two hectares or less of farmland. In spite of their small base, this form of farming is enormously dynamic.

Module 6 is dedicated to the economic aspects of small-scale farming – in particular to the influence of markets and finance. These provide good options for farming, but can also undermine the sustainability of this livelihood. As in the rest of the Learning AgriCultures series, this module follows a systems-oriented approach to its theme.

The first learning block focuses on how small-scale farming relates to the market and the different marketing strategies and financing options that small farmers use. In the second learning block, the wider context in which small-scale farmers operate is discussed: market chains, financial systems and the development and trends that are taking place that have a great effect on the sustainability of small-scale farmers’ livelihood base. The last learning block takes a look at different governance issues that encourage or undermine effective markets and financial systems to underpin the sustainability of small-scale farming.

Throughout the module, links are made to a variety of educational resources, including games and exercises, articles, videos, photos and ideas for field visits, in order to stimulate discussions and reflection on how market and finance issues relate to small-scale farming around the world.


learning-module6-preview.pdf
0.84MB
728x90
728x90

1930년대 순천의 시장 풍경 

728x90

'곳간 > 사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천, 거리 풍경  (0) 2008.07.07
순천, 순천수비대  (0) 2008.07.07
벌교, 계두리  (0) 2008.07.07
송정리역 일본식 주택  (0) 2008.06.18
붉은찰벼  (0) 2008.06.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