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아니다. 역시 개미는 유익한 곤충이었다!
나의 사랑 개미가 농사에 해로울 리 없다.
누구는 개미가 진딧물 농사를 짓기에 해충을 꼬이게 한다고 뭐라뭐라 하기도 했지만, 그건 일부의 사실일 뿐 토양과 관련해서는 또 다른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중국의 연구진이 개미들이 토양에 물과 공기가 잘 통하게 할 뿐만 아니라 유기물도 더해준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그것만이 아니다. 
심지어 개미가 굴을 파며 입구에 쌓아놓은 흙이 흙에서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막아주어 건조한 지역에서는 큰 도움이 될 수도 있단다.

개미야, 사랑한다.


728x90

'농담 > 농-생태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을 살려야 농사가 산다  (0) 2017.04.07
<토양의 생물다양성 지도>  (0) 2017.04.04
기상이변과 농업 활동  (0) 2017.03.14
복숭아혹진딧물  (0) 2017.02.17
아프리카로 건너간 멸강충  (0) 2017.02.17
728x90

우리가 옷을 발가벗고 맨몸으로 햇빛과 공기 중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당연히 추위와 더위를 더 느끼고, 피부는 건조해질 것이다.


흙도 마찬가지이다.

흙을 우리의 피부라고 생각해 보자.

흙이 햇빛과 공기 중에 그대로 드러나 있다면 어떨까?

당연히 더 뜨겁거나 차가워지고, 또 증발량이 많아져 건조해질 것이다.


수분이 적당하지 않은 흙에서는 농사 또한 잘 되지 않는다.

흙을 맨살 그대로 노출시키지 않는 방법으로는 덮개식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덮개작물이라 하지 않고 덮개식물이라 한 것은, 살아 있는 풀을 이용하는 방법과 베어낸 풀이나 짚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기 때문에 그렇다.


다음 동영상을 보고 이제는 가급적 흙에 예쁘고 멋진 옷을 입혀주도록 하자.

내 옷만 살 일이 아니라 흙을 잘 가꾸고 꾸미는 일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양의 유형과 개량제  (0) 2015.02.03
무경운 이앙기  (0) 2015.01.28
왜 무경운이 중요한가  (0) 2015.01.25
전통 농법의 중요성  (0) 2015.01.25
녹비작물을 심자  (0) 2015.01.14
728x90

농법에는 참으로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씨뿌리기부터 김매기, 북주기, 순지르기 등을 거쳐 수확하는 일까지 참으로 다양한 방법이 있다.

농사꾼에게 자신이 해온 농법을 바꾸라는 일은 그동안 자신이 살아오던 생활습관을 일시에 바꾸라는 말과 똑같다.

그만큼 농사꾼은 자신의 방법을 믿고 의지한다. 그도 그럴 것이 해를 거듭하며 쌓아온 관록과 경험이 그를 바탕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혹시라도 농법을 바꾸었다가 농사가 잘 안되거나 망하면 그 책임은 누가 질 것인가? 농법을 알려준 사람이? 절대 아니다. 그 말을 듣고 따라한 본인이 책임을 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농사꾼이 자신이 농사짓던 방법을 바꾸기란 더욱더 어려워진다.


그래도 바꾸는 때가 있다. 누군가 그 새로운 농법을 받아들여서 몇 해에 걸쳐 농사를 잘 짓는다면 그때서야 "나도 한번 바꿔 볼까" 하게 된다. 그것도 아니면, 보조금 등이 나오거나 그에 대한 확신이 서는 순간에는 언제 그랬냐는 듯이 무척 과감하게 농법을 바꾸곤 한다.


처음 농사짓는 사람들은 누구에게 농사를 배웠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왜,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말이 있지 않은가? 그 말과 똑같다. 

주말농사를 처음 시작한 사람들의 경우, 그 주말농장의 운영자가 누구인가에 따라서 농사짓는 방법이 결정된다. 거기서 확 바뀌는 일이란 앞의 농사꾼의 경우처럼 그리 흔하지 않다.


텃밭 농사를 시작하면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것이 바로 감자이다.

감자는 심는 방법도 쉽고, 관리하기도 쉬우며, 무엇보다 나중에 수확할 때 큰 기쁨을 느낄 수 있는 작물이라 초보 농부들이 좋아한다. 감자 하나를 캐면 감자가 줄줄이 알사탕처럼 들려 나올 때 느끼는 희열이란 이루 말할 수 없을 지경이다.


그런데 이 감자를 심는 방법에서도 크게 두 가지 모습을 보여준다.


먼저 아래는 요즘 많이들 쓰고 있는 감자 심는 법이다. 높고 좁은 두둑을 짓고 거기에 감자를 심는다.

이 농법은 '비닐'의 사용을 기본 전제로 하는 농법이다. 사진에는 비닐이 없지만 흔히 여기에다 이른 봄에는 투명한 비닐을, 좀 지나서는 검은 비닐을 덮고서 감자를 심는다. 

이렇게 심으면 좋은 점은, 감자가 높고 좁은 두둑 안에 집중적으로 달리기에 나중에 수확하기 수월하다는 것이다. 대신 김을 매고 북을 주는 데에는 불편할 수 있다. 그래서 비닐이 기본 자재로 쓰일 수밖에 없다. 저 두둑에 비닐을 덮어 놓으면 김을 맬 필요도 없고, 북을 줄 필요도 그리 크게 없다. 비닐이 보온만이 아니라 보습 효과와 잡초를 억제하는 역할까지 도맡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비닐을 쓸 때는 참으로 좋은 감자 심는 방법이지만, 비닐을 쓰지 않을 때에는 글쎄... 봄은 바람이 많이 불어서 건조한 날이 많은데 두둑이 너무 노출되어 있어 바람에 증발되는 수분도 많아진다. 감자가 수분이 많이 필요하지 않은 작물의 하나라고는 하지만 저렇게 드러나 있으면 별로 좋을 건 없다.





다음 사진은 '헛골 농법'을 활용하여 감자를 심는 방법이다.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평두둑에 밑거름을 준 다음 골을 탄다. 골을 타는 방향은 두둑의 방향대로 타도 괜찮고, 아니면 두둑과 직각이 되도록 타도 된다. 

이 골이 바로 '헛골'이 되겠다. 골은 골인데 진짜 골이 아니라 가짜 골이라서 헛골이다. 나중에는 이 골이 앞서 보았던 좁고 높은 두둑으로 변하기에 그러하다. 그건 나중에 더 살펴보도록 하고... 




그리고 헛골에 적당한 간격으로 구멍을 파고 감자를 심는다. 이렇게.




이 얼마나 간단한가! 좁고 높은 두둑을 만드는 노동력이나, 헛골을 타는 노동력이나 거기서 거기일 것이다. 감자를 심는 것도 마찬가지이고 말이다. 그러나 비닐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전제에서는, '헛골 농법'이 김을 매고 북을 주는 데 훨씬 쉽기 때문에 더 좋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가뭄을 덜 탄다는 점에서도...


참고로 나는 3가지 토종 감자를 심었다. 횡성에서 자란 감자와 사천에서 재배된 자주감자와 분홍감자. 이렇게 세 가지 종류이다. 양이 많지 않아서 올해는 증식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모든 작물이 마찬가지이지만, 감자 역시 그 싹부터 다르다. '싹수가 노랗다'라는 옛말이 허투루 나온 것이 아니라는 걸 농사지으면서 절실히 깨달았다.


먼저 횡성에서 온 횡성감자와 그 싹이다. 지난 12월 전여농 토종씨앗 행사에서 얻어왔는데, 깜빡하고 관리를 잘못하여 싹이 너무 길쭉하게 자랐다. 너무 긴 것만 제거하고 어지간한 싹은 그대로 심었다.



다음은 사천에서 재배되어 올라온 분홍감자와 그 싹.



마지막으로 역시 사천에서 재배되어 올라온 자주감자와 그 싹. 역시나 분홍감자나 횡성감자와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 보이는가?



감자 싹이 무럭무럭 자라면서 아래의 사진과 같은 모습이 된다. 아직은 풀이 많이 자라지 않았지만 조금만 지나면 헛골을 타느라 쌓아놓은 흙무더기에서도 풀들이 자랄 것이고, 감자의 줄기는 더 크고 튼실해질 것이다. 그때 감자에는 북을 줄 필요가 생긴다. 그래야 줄기에서 더 많은 뿌리들이 나와 알이 굵은 감자가 달릴 수 있기 때문이다. 감자의 북은 흙은 괭이나 호미로 헛골을 타면서 쌓아놓은 흙을 무너뜨려서 주면 된다. 그렇게 하면 북주기와 김매기가 동시에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헛골의 장점으로는 봄철에 가뭄을 덜 탄다는 점이다. 아무래도 두둑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기에 바람과 햇빛 등의 영향을 덜 받게 되고, 아침저녁으로는 이슬도 더 많이 맺히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가뭄을 덜 탄다는 점도 이 농법이 지닌 장점이다.




자, 그럼 헛골 농법의 완성형을 보자! 


3월 말에서 4월 초에 감자를 심으면 5월 중하순 무렵이면 순지르기도 끝낸 상태가 되고 흙더미에 풀들도 어지간히 자란다. 그러면 그 풀을 호미로 김을 매면서 흙더미를 무너뜨려 감자에 북을 주면서 높은 두둑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이 작업을 마치면 감자의 두둑은 아래와 같이 바뀐다. 두둥!



어떠한가? 놀랍지 않은가?

새롭게 생긴 두둑 위 고랑 부분의 풀은 일부러 덮어준 것이다. 처음부터 감자를 높은 두둑을 만들어 심는 것이 아니라 헛골에다 심는 방법의 과정은 이러하다. 앞에서 이야기한 장점들이 이렇게 하여 완성되는 것이다. 올해는 감자 농사가 잘 되겠다! 


하지만 역시 비닐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은 단점 아닌 단점이 될 수밖에 없다. 비닐을 사용하면 그 효과는 수확량으로 돌아온다. 똑같은 유기농이더라도 비닐을 쓴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의 수확량은 2배 정도가 차이난다고 한다. 유기농이냐 관행농이냐에 따라 또 2배 정도의 수확량 차이를 보인다고 하니, 관행농으로 농사지으며 비닐을 쓴 곳과 비닐 없이 농사지은 유기농 감자밭의 경우 수확량에서는 4배 이상이 차이가 난다고 보면 된다. 그러니 더 비쌀 수밖에 없지 않은가? 이렇게나 많은 노력과 정성이 들어가는데.


수월한 관리와 수확량을 목적으로 하는 농업에서는 비닐을 쓰는 편이 훨씬 경제적이고 효율적일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밭, 작은 밭에서 자급을 목적으로 하면서 농사짓는 곳에서는 비닐을 구하는 것이 오히려 더 어렵고 돈만 많이 들기에 비닐을 쓰지 않고 농사짓는 것이 훨씬 나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선택은 농사짓는 사람에게 달려 있다. 작은 평수에서 자급용 감자를 기르려고 한다면 난 망설이지 않고 '헛골 농법'으로 농사를 짓도록 권하고 싶다.





728x90

'농담 > 텃밭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안상추의 단점  (0) 2013.06.04
당분간 쌈밥!   (0) 2013.05.28
호박, 새싹이 나오다  (0) 2013.05.13
오늘의 텃밭 풍경  (0) 2013.05.13
앉은뱅이밀에 이삭이 팬 날  (0) 2013.05.08
728x90

일찍이 아인슈타인은 이렇게 말했다.

"지구에서 벌이 사라지면, 인간이라고 4년을 넘겨 살까?(If the bee disappears from the surface of the earth, man would have no more than four years to live?)"

그런데 사실, 이 말은 아인슈타인이 한 말이 아니라고 한다. 

아무튼 벌이 인간에게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려고 누군가가 지어낸 말이겠지.



그런데... 요즘 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국내에서 토종 벌은 봉아낭충부패병인가 하는 전염병에, 그리고 다른 나라를 포함해서는 군집붕괴 현상으로...

과학자들이 열심히 그 원인을 찾고 있으니 언젠가는 밝혀지겠지만, 벌이 다 사라지기 전에 그 원인을 찾아야 하는데 큰일이다. 
누구는 휴대폰과 같은 기기의 전자파 때문이라고도 하고, 누구는 농업에서 사용하는 농약 때문이라고도 한다. 아무튼 농업도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문제는 그렇게 벌들이 사라지면 아인슈타인의 지적처럼 인간도 살 수 없다는 점.
누가 수분을 하랴? 사람이 붓 들고 다니면서 하나하나 할 수도 없고.

수분매개자가 사라지면 농업 생산량의 성장과 안정에 문제가 발생한다는 논문(http://www.pnas.org/content/108/14/5909.abstract).



요약

Human welfare depends on the amount and st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ion, as determined by crop yield and cultivated area. Yield increases asymptotically with the resources provided by farmers’ inputs and environmentally sensitive ecosystem services. Declining yield growth with increased inputs prompts conversion of more land to cultivation, but at the risk of eroding ecosystem services. To explore the interdependence of agricultural production and its stability on ecosystem services, we present and test a general graphical model, based on Jensen's inequality, of yield–resource relations and consider implications for land conversion. For the case of animal pollination as a resource influencing crop yield, this model predicts that incomplete and variable pollen delivery reduces yield mean and stability (inverse of variability) more for crops with greater dependence on pollinators. Data collected by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during 1961–2008 support these predictions. Specifically, crops with greater pollinator dependence had lower mean and stability in relative yield and yield growth, despite global yield increases for most crops. Lower yield growth was compensated by increased land cultivation to enhance production of pollinator-dependent crops. Area stability also decreased with pollinator dependence, as it correlated positively with yield stability among crops. These results reveal that pollen limitation hinders yield growth of pollinator-dependent crops, decreasing temporal stability of global agricultural production, while promoting compensatory land conversion to agriculture. Although we examined crop pollination, our model applies to other ecosystem services for which the benefits to human welfare decelerate as the maximum is approached.





728x90
728x90




수분은 미국 경제에서 핵심인데, 미국 양봉업자들은 군집붕괴 -꿀벌의 대량 죽음- 가 해마다 80%에 이른다고 주장한다. Pesticide Action 네트워크의 Paul Towers 씨는 "우리가 먹는 음식의 세 가지 중 하나는 수분매개자에 의존한다."고 말한다. Towers 씨는 왜 미국 농업과 경제가 위기에 처했는지 Earth Focus와 이야기한다. 

더 많은 정보는 http://linktv.org/earthfocus


728x90

'곳간 > 영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장형 축산을 멈춰요  (0) 2012.11.29
다양성의 씨앗  (0) 2012.11.29
토종, 전통농법이 대안  (0) 2012.11.16
다국적 농기업의 GM 종자와 인도 농민의 죽음  (0) 2012.11.07
의혹을 기르고 있다  (0) 2012.10.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