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6

중국의 사회생태농업 출처 http://thetomorrow.kr/archives/10107?fbclid=IwAR2xc7LvgT6PWCusQEonXOy0gd-yCQFti8kENt2Ts0YKVe6nDQnXY6L8BN0 기획칼럼 김유익의 [중국 신향촌건설]사회생태농업의 발전이 도시와 농촌의 양성良性 공진화를 촉진한다김유익 2019.07.09 0 COMMENTS역자 주: 사회생태농업이라는 표현은 신향촌건설운동 진영이 근년에 쓰.. 2019. 7. 9.
멕시코의 토종 작물이 식량안보의 열쇠이다 단편적인 이야기뿐이지만, 토종 작물을 바탕으로 한 생물다양성을 이용해 사람들의 생활을 돕고 자연환경도 지키려 한다는 내용이 흥미롭다.우리에게도 필요한 이야기 아닌가? 특히 생물다양성 데이터베이스를 보강하려 한다는 이야기는 현재 씨드림에서 하려는 일과 겹치기도 한다. 20.. 2017. 6. 20.
덮개작물이 풀을 이기는 방법 들어가며덮개작물을 재배하면 몇 가지 방법으로 풀을 이길 수 있다. 직접 경쟁타감작용(Allelopathy)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물질을 방출풀씨가 싹트는 걸 막는 자극제토양의 미생물 군집을 바꾸어 특정한 풀에게 불리하도록 만듦덮개작물을 갈아엎고, 베고, 말아 버리거나 여러 방법.. 2017. 4. 21.
농생태학 : 주요 개념과 원리, 실천방안 2016. 5. 1.
숲을 밀어버리고 농경지를 만들어요 해리슨 포드 씨가 끝내주는 목소리로 전합니다. "이 풍경은 단지 숲이 불타는 게 아닙니다. 이것은 기후변화의 문제입니다." 우리가 즐겨 먹는 라면을 튀기는 데 팜유를 쓰죠. 그 팜유는 이렇게 숲을 밀어버리고 생산됩니다. 예전에 보도가 된 사진입니다. 인도네시아에서 팜야자 농장의 .. 2013. 3. 22.
일본 도쿄의 도시농업과 한국의 도시농업 먼저 캐나다에서 공부하고 계신 박성실 님(https://twitter.com/GorillaGreen) 덕에 재미난 분을 알게 되어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박성실 님이 올리신 트윗을 보고 '아키츠 모토키'라는 일본 교토대학의 농대 교수를 알게 되었습니다(https://www.gcoe-intimacy.jp/staticpages/index.php/akitsu_en). 프로필을 보.. 2013. 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