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산14

세계의 주요 농작물은 여전히 중소농이 생산한다 현재 인류가 소비하고 있는 주요 농작물 17가지의 경우, 여전히 중소농의 생산활동이 중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그러니 농업 정책도 이러한 중소농들을 대상으로 구상하고 실행해야 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조하시길...http://iopscience.iop.org/article/10.108.. 2017. 3. 31.
기상이변과 농업 활동 오늘은 매우 재미난 소식을 하나 보았습니다. 기상이변과 곡물의 생산량에 관한 것입니다. 점점 기후 관측기술이 발달하고 자료가 쌓임에 따라, 엘니뇨와 라니냐가 발생하면 그것이 인간의 농업 생산, 특히 주요 곡물 생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겁니다. 아래 그래.. 2017. 3. 14.
2050년까지 세계의 식량생산을 2배로 늘리지 못할 것 같다는 연구결과 http://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066428 Abstract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global crop production needs to double by 2050 to meet the projected demands from rising population, diet shifts, and increasing biofuels consumption. Boosting crop yields to meet these rising demands, rather than clearing more land for agriculture has been highligh.. 2016. 10. 20.
2015년 세계 비료산업 전망 동남아시아와 중국, 그리고 아프리카에서 화학비료의 사용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국제비료산업협회의 보고서입니다. 이제 저개발국가들이 본격적으로 선진국들이 거친 테크트리를 탈 예정입니다. 농업 개발과 생산력 향상은 산업국으로 진입하는 기본 바탕이 됩니다. 박정희 .. 2015. 1. 1.
음식물 쓰레기를 줄여라 음식물 쓰레기 문제. 먹고 남은 것만이 아니라 수확하고 저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 가공과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 등등 다양하다. 이것만 줄여도 유전자변형 작물 등을 이용해서라도 생산량을 늘려야 한다는 사람들의 입을 막을 수 있을 것이.. 2014. 7. 4.
세계 육류생산 동향 How many times have the investors said that they are bullish on all things agriculture because the rising level of affluence in the populous developing nations translates to a future with more people eating more meat? Case in point is China. In 1978, China’s meat consumption was one-third that of the U.S. Now, it is double that of the U.S. If you look at this chart, so far t.. 2013. 11.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