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산성15

세계는 식량이 부족해서 굶주리는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는 지역별로 비만과 영양부족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주로 북미와 중남미, 유럽은 상대적으로 먹을거리가 넘쳐서 비만 인구가 많고, 아시아는 제3세계의 경제성장으로 고열량 위주의 식생활로 빠르게 변하면서 비만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오세아니아는... 잘 알.. 2017. 4. 28.
벼논양어를 소개합니다 벼가 자라고 있는 물을 댄 논은 단순한 농경지가 아닙니다. 그곳은 오리, 물고기, 개구리, 새우, 달팽이를 비롯하여 수많은 수생생물들이 살아가는 하나의 생태계입니다. 수천 년 동안 벼농사를 짓는 농민들은 수생 생물다양성이 제공하는 여러 혜택을 이용해 왔습니다. 전통적인 벼논양.. 2017. 2. 17.
유전자변형 작물의 거짓된 약속 http://mobile.nytimes.com/2016/10/30/business/gmo-promise-falls-short.html?_r=0&referer= 뉴욕타임즈에서 유전자변형 작물의 장밋빛 청사진에 대한 반박을 실었다. 매우 흥미로운 논쟁거리가 제기되었다. 2016. 11. 4.
유기농업은 생산성이 떨어지는가? 유기농업에 대한 큰 편견 가운데 하나가 "유기농업은 생산성이 확연히 떨어져 유기농업으로 전환하면 세계에 식량난이 올 것이다"라는 주장이다. 물론 그들의 주장처럼 농사를 지어보면 유기농업의 수확량이 좀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그렇게 무서울 정도로 우려할 수준은 아.. 2016. 8. 26.
유기농업은 생산성이 떨어지는가? 저도 뭐라고 딱 꼬집어 말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이런 연구도 있군요. 현재의 농업 관행을 유기농법으로 전환했을 때 얼마나 더 많은 농지가 필요할 것이냐 추정한 연구라고 합니다. 그 전제는 다들 생각하다시피 '유기농업은 생산성이 떨어진다'라는 것이겠죠. 그런데, 연구결과는 .. 2015. 10. 15.
농업 생산방식의 전환기 유엔 식량농업기구의 수장이 현대의 농업은 바꿔어야만 한다고 역설하고 나섰습니다. 오늘날 관행농업이 생산성만 강조하다가 다양성과 지속가능성을 놓쳐 버리고, 기아문제도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죠. 지금 우린 중요한 전환기를 살고 있습니다. http://www.fao.org/news/story/en/item/278192/ico.. 2015. 2.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