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물13 지렁이와 식물의 성장 지렁이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이다. 흙속에 지렁이가 존재하면 확실히 식물의 성장이 더 나아지고, 질소의 함량도 높아진다고 한다. 식물과 벌레와의 관계는 좀 복잡한 양상인데, 식물의 총채벌레에 대한 저항성은 높아지지만 진딧물에게는 오히려 취약한 모습을 보인다고 한다. 식물이 .. 2017. 8. 22. 미국 농무부 토양학자의 인터뷰 매우 흥미로운 인터뷰가 있어서 우리말로 옮겼다. ---------- 건강한 토양 운동은 최근 뉴스에 실렸는데, 미국 농무부의 연구자 Rick Haney 씨는 그 주요 지지자 가운데 한 명이다. 정부기관과 농산업은 오랫동안 작물의 최대수확량이란 성배를 추구해 왔지만, Haney 씨는 그와는 좀 다른 이야기.. 2017. 6. 2. 토양생물들의 연결망이 풍부해지며 더 많은 탄소를 취한다 자세한 내용은 문외한이라 잘 모르겠지만, 이 시각화 자료만으로도 무언가 엄청난 것 같다. 제목을 통해 유추하자면, 그러니까 폐농경지에서 토양생물들의 연결망이 더욱 풍부해지고 자연복원이 진행되면서 대기중의 탄소를 격리하는 양이 많아진다는 건가? 그러면 농사에서는 토양을 .. 2017. 6. 2. 토종 씨앗의 역습 (가제) 내가 처음 토종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2008년이다. 나는 2002년 무렵부터 귀농에 관심이 있어 농사 경험이라도 쌓자는 생각으로 텃밭 농사를 시작했다. 당연히 농사는 유기농업뿐이라 생각했다. 그런 생각으로 농사를 짓다가 나의 눈은 자연스레 전통농업으로 향하게 되었다. 옛날에는 .. 2016. 9. 5. 농사에서 생물다양성이 왜 중요한가 북부 대평원의 옥수수 생산을 관찰한 연구에서 곤충의 생물다양성이 더 낮은 농경지가 해충 문제에 더 취약함이 밝혀져, 곤충의 다양성이 농약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으며 다시 한 번 생물다양성이 회복력과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체계에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그 연구 논문인 <해충 문.. 2015. 9. 2. 논 생태계의 보물창고, 둠벙 논에 물을 대기 위해 인위적으로 조성한 습지인 둠벙이 논 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증진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둠벙: 웅덩이의 방언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둠벙이 논 생태계 생물다양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둠벙이 있는 논이 둠벙이 없는 논에 비해.. 2013. 5. 29.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