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살충제14 살충제가 일본의 장어덮밥에 미친 악영향 일본의 연구진이 네오니코티노이드 계통의 살충제가 수생 곤충과 플랑크톤의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그것이 연쇄반응으로 일본의 대표적 여름 음식의 재료인 장어에게 악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한다. 해당 논문은 여기 https://science.sciencemag.org/content/366/6465/620지금까.. 2019. 11. 12. 유기농산물을 섭취해 소변에서 검출되는 농약 성분이 줄었다는 연구 Elsevier Enhanced Reader | Organic diet intervention significantly reduces urinary pesticide levels .pdf 미국의 사례인데 한국 같은 경우에는 어떨지 궁금하다. 농산물을 제공해주면 제가 실험대상이 되어 보겠습니다만... 유기농업 관련 단체의 자금 지원을 기대해 보겠습니다. 연락 주세요. 2019. 2. 20. 논밭에 꽃을 심자 논밭에 작물만 자라는 환경은 수확량을 최대화하는 것 말고는 별반 도움이 되지 않는 일입니다. 그런 삭막한 환경에서는 병해충을 통제하기 위해서 더 많은 화학물질에 의존하게 된다고 하지요.마침 요즘 농학계에서는 여러 가지 풀과 꽃, 나무들이 농사에 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하나.. 2018. 2. 5. 미국 농경지의 절반 이상이 유전자변형 작물을 재배한다 요약:농민들은 2013년 전체 작물 재배면적의 약 절반에 이르는 1억7000만 에이커에 유전자변형 작물 -주로 옥수수, 목화, 대두- 을 심었다. 해충 관리 특성은 유전자변형 작물로 설계된 주요 특징인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충에 대한 추가적 보호를 제공하는 특성과 몇 가지 특성이 복합된 .. 2017. 8. 29. 벼논양어를 소개합니다 벼가 자라고 있는 물을 댄 논은 단순한 농경지가 아닙니다. 그곳은 오리, 물고기, 개구리, 새우, 달팽이를 비롯하여 수많은 수생생물들이 살아가는 하나의 생태계입니다. 수천 년 동안 벼농사를 짓는 농민들은 수생 생물다양성이 제공하는 여러 혜택을 이용해 왔습니다. 전통적인 벼논양.. 2017. 2. 17. 아프리카로 건너간 멸강충 2016년 1월, 아메리카 대륙에 살던 조밤나방이 아프리카 대륙으로 건너간 것이 최초로 발견되었다. https://theconversation.com/why-its-hard-to-control-the-fall-armyworm-in-southern-africa-72890 이놈의 애벌레는 멸강충(나라를 망하게 하는 벌레)이라 불릴 정도로 작물에 해를 끼치는데, 특히 옥수수 같은 작물.. 2017. 2. 17.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