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료15

통계의 함정, 식량자급률 식량자급률 47%라고 하지만 그건 식용 곡물에만 한정했을 때 나오는 수치이다. 하지만 우리는 고기도 먹고, 채소도 먹고, 과일도 먹어야 한다! 그런 모든 먹을거리를 종합해서 통계를 내면 20%대가 나온다. 밥만 먹고 산다면 50%에 육박하겠지만, 난 그렇게 못 살아. https://news.v.daum.net/v/20200413043141626 한국의 식량자급률 46.7%, 국경폐쇄가 부른 식량위기설 [편집자주] 코로나19(COVID-19)로 사람은 물론 식량까지 국경을 넘기가 어려워지면서 식량안보가 주요과제로 떠올랐다. 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식량 전쟁 현주소를 짚어보고 대응방안을 점검한다. ━담쌓고 식량막는 세계, 코로나 공포가 부른 식량 전쟁━코로나19(COVID-19)가 글로벌 먹거리 공급 사슬에.. 2020. 4. 13.
잔반 사료 금지와 폐기물 순환 문제 이제 가축에게 잔반 사료를 줄 수 없다. https://news.v.daum.net/v/20190725000002482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 문제는 어떻게 할지 고민해야 하겠다.이걸 대량으로 수집해서 자원화하려면 비용부터 각종 부작용까지 크게 발생하지만, 소량으로 해결하면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텐데... 그건 또 선.. 2019. 7. 25.
사료용 벼, 밥쌀용 벼와 재배방법 다르다 사료용 벼는 지상부의 바이오매스를 최대로 만드는 게 관건. 국내 쌀 수급안정 및 국산 풀사료 생산을 위해 밥쌀용 벼와는 다른 사료용 벼는 비료를 충분히 주고 촘촘하게 심어야 최대 사료수량을 얻을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7일 농협과 여주, 태안, 정읍, 하동, 당진, 강진, 부안, 김.. 2017. 6. 10.
맥류와 콩의 사이짓기 일제강점기에 조사해 놓은 자료를 보면 조선인 농부들이 밀이나 보리밭에 콩을 사이짓기로 재배하는 모습을 흔하게 볼 수 있다. 그런데 그런 농법이 실제로도 효과가 좋다는 것이 입증되어 무척 흥미로울 뿐이다.전통농업이 아주 비과학적이고 무시할 만한 그런 것이 아니라는 방증이랄.. 2017. 2. 21.
유전자변형 사료는 안전한가? 우리가 먹는 축산물, 즉 고기와 계란, 우유 등을 생산하는 소, 닭, 돼지 등의 가축은 현재 거의 대부분 유전자변형 곡물사료에 의존하여 사육된다고 보아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그런데 유전자변형 작물은 흔히들 건강에 아주 나쁜, 유해한 것으로 표현되곤 한다. 그러면서 그런 걸 가축에.. 2016. 6. 2.
우리가 흔히 먹는 유전자변형 식품들 유전자변형 작물이 도입된 지 어느덧 20년이 되었다. 그동안 이 유전자변형 작물을 둘러싼 논쟁은 치열했고, 아직도 무어라고 명확하게 결론은 나지 않았다. 찬성 측의 이야기를 들으면 그 소리도 옳고, 반대 측의 이야기를 들으면 그 소리도 옳다. 물론 틀린 부분도 있지만 말이다. 아무.. 2016. 6.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