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비아 깜페시나11

과학과 전통을 혼합해 세계를 먹여살리자 세계의 소농 공동체에서 기아를 줄이려 한다면, 유전자변형 작물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 Flickr/davidsilver 생명공학 산업은 오랫동안 유전자변형 작물 기술이 "세계를 먹여살린다"고 주장하며 정당성을 추구해 왔다. 그러나 식량 생산을 늘리는 데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은 대규모 기아자가 .. 2013. 7. 19.
세계식량상, 기아에 대한 투쟁을 독점하다 몬산토의 최고 기술책임자 Robert Fraley. 신젠타의 Mary-Dell Chilton. 두 개의 생명공학 기업을 설립한 Marc Van Montagu . 생명공학 산업은 스스로에게 세계식량상을 수여했다. 몬산토의 임원과 신젠타의 과학자, 민간기업의 과학자 들이 "증가하는 세계 인구를 먹여살리기" 위한 상금으로 25만 달러.. 2013. 7. 4.
씨앗을 위해 투쟁하는 비아 깜페시나 지난 월요일 유기농민들의 끊임없는 항소에 대하여 미국 법원은 몬산토와 그 특허받은 종자의 손을 들어주었다. 미국 대법원이 다시 한 번 만장일치로 농업계 거인의 '라이센스 계약'을 긍정한 지 한 달 만에 그 결정은 소농 공동체에 또 다른 타격을 주었다. 사진: 비아 깜페시나의 Tineke .. 2013. 6. 18.
비아 깜페시나의 세계 소농의 날 식량주권과 종자주권... 소농과 토종 씨앗 Untitled from sab inee on Vimeo. 2012. 2. 25.
우리의 투쟁은 농업의 영속성을 위함이다 -Alberto Gomez 인터뷰 Made up of 150 organizations in seventy countries, and with more than 200 million members, La Via Campesina holds the claim to being the largest movement of peasant farmers and artisanal food producers in the world. La Via Campesina was born in 1993, but traces its roots much further back – indeed, as Alberto Gomez hints in this interview, the movement’s roots ar.. 2012. 2. 11.
생태농업으로 행성을 식히고 먹고 살기 망가진 식량체계를 바로잡기 위하여 우린 우리의 맘을 고쳐 먹어야 한다. "고쳐 먹는다"는 것이 무슨 뜻인가? 그걸 이해하려면 이렇게 해보라. "농업"이란 말을 들었을 때 무슨 생각이 떠오르는가? 나무 한 그루나 상추 하나인가, 미국 중서부의 끝없는 밭인가? 만약 네 생각에 떠오르는 첫 번째 것이 드.. 2011. 8.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