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국인에게 쌀은 단순한 먹을거리의 차원을 넘어 신령스러운 존재로까지 여겨졌다. 신주단지나 조상단지에 신을 대신하여 담는 것도 바로 그해에 수확한 첫 햅쌀이었다. 이러한 의식을 통해 건강과 안녕을 기원함은 물론 다음해의 풍년까지도 빌었다. 

쌀은 이삭을 거두어 알곡을 떨어서 껍질을 벗기는 과정을 통하여 얻게 된다. 5~6월의 모내기, 그리고 뙤약볕에서 김매기를 거쳐 가을에 누렇게 잘 익은 벼를 베어 이삭을 얻을 수 있다. 예전에는 이렇게 얻은 쌀을 사람이 먹고, 나머지 부분인 짚은 소에게 여물을 쑤어 주거나 외양간에 깃으로 깔아 퇴비로 활용하고, 또는 지붕을 새로 하거나 이엉을 이거나 다양한 생활도구를 만들어 쓰고, 새끼줄을 꼬고 가마니와 멍석을 쳐서 유용하게 활용했다. 그러한 과정을 거치며 결국에는 거름이 되어 논으로 되돌아가게 되었다.

그런데 지금은 그렇지 않다. 현재 한국의 축산업은 전체 농업소득 가운데 절반 가까이 차지할 정도로 덩치가 커졌다. 그 가축, 특히 소는 막대한 양의 곡물사료로 사육된다. 그 곡물사료의 대부분은 물론 수입이다. 한국의 쌀 자급률이 90%가 넘지만 식량자급률이 20%대로 떨어지는 주요 원인은 사실 이러한 거대한 축산업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소는 곡물만 먹으면 장기에서 발생하는 가스로 병이 나 죽을 수 있다. 소는 되새김질을 하는 반추동물이기에 풀을 꼭 먹여야 한다. 소가 풀을 얼마나 좋아하는지 아는가? 하지만 그 많은 소에게 모두 풀을 베어다가 먹일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래서 주는 것이 논에서 수확하고 난 뒤의 볏짚이다. 요즘 농촌 들녘을 지나다보면 거대한 하얀색 덩어리를 쉽게 볼 수 있다. 그것이 바로 둘둘 말아놓은 볏짚인데, 그걸 가져다 소에게 먹이로 준다. 


문제는 여기서 발생한다. 벼가 논의 흙에서 양분을 빨아먹고 줄기와 잎을 키워 이삭을 맺는다. 그중에서 이삭 부분은 우리 인간이 가져다가 방아를 찧어 쌀로 밥을 해먹는다. 그럼 최소한 그 나머지 줄기와 잎을 흙으로 돌려주어야 벼가 빼먹은 양분을 그나마 보충할 수가 있다. 옛날에는 그러한 과정이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그것들이 축산업의 조사료로 쓰이면서 그대로 빠져나가고 다시 돌아가지 않는다. 순환의 농사가 끊어져 버린 것이다. 뭐든지 직선으로 가장 빨리 가장 많이 산출해내는 세상에서 농사도 다르지 않다.

흙에 영양분이 빠지기만 하고 다시 채워지지 않으면 다음에 농사지을 때 땅이 척박해져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지금은 화학비료나 퇴비 같은 걸 사다가 쓰기에 어떻게든 농사를 지을 수 있지만, 그건 마치 골골거리는 사람에게 온갖 약을 먹여가면서 억지로 살려놓는 모습과 똑같다. 근본적으로 흙이 건강해야, 곧 몸이 건강해야 어떤 일이든 잘할 수 있는 법이다.


최근 여러 지자체에서 이러한 점 때문에 볏짚환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 그 실효성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할 길이 없어 참 궁금한데, 얼마나 잘 이루어지는지 한 번 알아봐야겠다. 아래의 기사에 나오는 부안군의 경우 현재 92% 이상의 볏짚이 축산업의 조사료로 쓰이는 실정이라고 한다. 당장은 불궈지지 않겠지만 이는 참 심각한 문제의 하나다. 




부안군은 30일 김호수 군수와 관내 농업 관련 단체 및 농가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토양을 살리기 위한 볏짚 환원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참석자들 간 지역 내 볏짚환원 현황과 효과를 비롯해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교환됐다.

 군의 볏짚환원 추진 배경은 볏짚이 분해되면서 질소, 인, 칼륨, 규산 등 다양한 양분을 토양에 공급해 화학비료의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고 고품질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토양환경 조성에도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한편 현재 부안지역 내에서는 연간 15만6000t의 볏짚이 생산되며 이 중 92%이상이 사료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728x90
728x90

농사의 근본은 흙에 있다. 흙을 어떻게 건강하게 만드느냐가 농사가 잘 되느냐 아니냐를 결정하는 척도라고도 할 수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결국 식물이 뿌리를 뻗고 사는 공간이 바로 '흙'이기 때문이다. 

아래는 경남농업기술원에서 토양 관리의 중요성을 홍보하는 기사이다. 자기 농지의 흙이 어떠한 상태인지 토양검사를 통해 알아보고,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채운다. 이 기본적인 일만 제대로 해도 농사를 잘 지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그런데 요즘 그러한 일이 잘 되지 않는다. 그 원인 가운데 하나가 볏짚을 논에 다시 돌려주지 않는 데에 있다. 축산업이 흥하면서 볏짚을 외부로 빼돌려 판매하는 데에만 열을 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삭은 인간이 빼먹을지언정, 볏짚만이라도 흙에 되돌려줘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 어느 분야나 마찬가지겠지만, 역시나 결국에는 기본을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는다.

-------------------------



소비자는 밥맛이 좋은 쌀을 원한다. 밥맛이 좋고 품질이 우수한 쌀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우선 우량종자와 알맞은 재배조건이 갖추어져야 가능하다. 재배조건 중에서 인위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토양개선은 농가에서 조금만 신경을 써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부분이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원장 최복경)은 내년농사를 위해 지금 준비해야 할 논 토양관리 필요성을 홍보하고 있다.

 

올해 벼농사에서 토양이 작물에 빼앗긴 양분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토양검정이 필요하다. 토양검정을 위한 시료는 벼 뿌리가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깊이의 흙을 대표할 수 있는 몇 개 지점에서 채취하여 해당지역 농업기술센터에서 운영하는 토양검정실에 의뢰해 분석하고, 시비처방서를 발급받아 활용하면 된다.

 

최근에는 축산농가에서 볏짚을 담근먹이로 조제해서 활용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벼 수확 후 볏짚을 논에 되돌려 주는 양은 갈수록 줄고 있는 실정이다. 볏짚이 농경지, 즉 논에 장기간 환원되지 않으면 토양 유기물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는데, 토양유기물의 감소는 땅심이 낮아지고, 미생물의 활성저하 뿐만 아니라 딱딱해지는 경변화를 심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볏짚, 또는 다른 방법으로라도 유기물을 지속적으로 보충해주는 것이 작물 생산성 증대는 물론 토양환경의 질적 개선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남부지방의 경우 대부분 2모작 이상 경작을 하기 때문에 양분 소모가 중부지방 논토양에 비해 더욱 심한 편이다. 여기에 벼 수확 후 곧바로 이루어지는 시설원예작물, 또는 동계작물 파종 때문에 토양관리를 할 수 있는 시간적 제한이 많아 토양개량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벼 수확 후 토양의 수분이 많은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경운 정지작업은 작물 뿌리부분인 논흙 아랫부분 딱딱한 층을 만드는 원인이 되고, 시설수박을 재배할 경우 시들음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논흙에 물기가 많은 상태에서 하는 경운과 정지작업은 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경운 깊이가 얕아져 작물 뿌리가 깊게 들어가지 못하게 되고, 봄철 가뭄의 피해를 잘 받게 된다. 따라서 벼 수확시기에는 배수로정비를 철저히 해서 물 빠짐을 좋게 해주고, 수분이 어느 정도 빠졌을 때 경운작업을 하는 것이 좋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