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벼논양어26

인도네시아의 벼논양어 인도네시아의 벼논양어를 봅니다. 내 이름은 Sigit Paryono이고, 여기에서 40년을 살았어요.19살에 결혼했죠. 아이가 둘 있고요. 아들과 딸이에요.난 17살에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농부가 되었어요. 그땐 다른 선택지가 없었어요. 전문직이 되고 싶었지만 그러지 못했죠.그래서 부모에게 물려받.. 2017. 6. 14.
중국의 논 중국 장시성의 논. 여기에서도 논두렁 콩 같은 걸 심은 모습이 보인다. 그 농법이 한국만의 고유한 무엇은 아니겠다. 막 모내기를 끝낸 논의 모습이 재미나다. 농부는 아마 메워심기를 하는 듯한데, 일정 간격으로 고랑을 낸 것처럼 심었다. 이곳이 중국 남부이다 보니, 아마도 벼논양어 .. 2017. 6. 1.
벼논양어를 소개합니다 벼가 자라고 있는 물을 댄 논은 단순한 농경지가 아닙니다. 그곳은 오리, 물고기, 개구리, 새우, 달팽이를 비롯하여 수많은 수생생물들이 살아가는 하나의 생태계입니다. 수천 년 동안 벼농사를 짓는 농민들은 수생 생물다양성이 제공하는 여러 혜택을 이용해 왔습니다. 전통적인 벼논양.. 2017. 2. 17.
심수 벼(Deepwater Rice)를 알아보자 벼에는 '심수 벼(Deepwater rice)'라는 종류가 있다. 이 벼는 보통 연중 적어도 1달 이상 50cm보다 깊은 물에 잠겨 자라는 벼를 가리킨다. 동남아에선 아직도 1억 명 정도가 이 벼를 주식으로 삼아 살아간다고 한다. 이 심수 벼에 또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하나는 뜬벼(浮稻, floating rice)라 하고 .. 2016. 10. 19.
논판양어? 벼논양어? 한국에서 오리농법이라며 조금씩 유기농업이 꿈틀대던 시기에 북한에서는 '논판양어'라는 농법을 시도한다는 뉴스가 있어 흥미롭다. 1997년 5월과 9월의 기사인데, 그들이 행한다는 논판양어는 벼논양어와 같은 맥락이다. 그렇다면... 벼논양어가 아니라 논판양어라고 명칭을 고쳐야 하려.. 2014. 8. 25.
방글라데시의 벼논양어 In Bangladesh, the world 'Beel' means a lake with static water. To better manage these flood plain fisheries and alleviate the poverty of communities living around these rich ecosystems, scientists worked with fishing co-operatives for improved fisheries management as part. Though an innovative ecosystems based approach increased fish production has expanded livelihood opportu.. 2014. 8.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