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밀5

일본, 화전의 메밀꽃 宮崎県 西都市 銀鏡昭和 58年(1983) 10月촬영 須藤功 2025. 4. 5.
일본의 메밀국수 어쩔 수 없는 사정으로 먹었던 서민의 면  냉해에 강하고 영양가 높은 서민의 편현재의 '세련된' 이미지로는 상상할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만, 메밀은 원래 가난한 농민들의 일상식이었습니다. 옛날 농민들이 재배하던 쌀은 그 대부분이 공물로 빼앗기는 데다, 냉해 등이 일어나자마자 흉작이 되었기에 농민들에게는 거의 먹을 수 없는 고급품이었습니다. 그래서 기후의 변화에 강하고, 안정되게 수확할 수 있는 먹을거리의 재배를 생각해 퍼진 것이 메밀이었습니다. 메밀은 냉해에 강하고, 토지가 척박해도 재배할 수 있기에 매년 안정된 수확을 내다보았습니다. 게다가, 메밀은 영양가가 높고, 일상식에 적합했습니다. 메밀 재배의 역사를 살펴보면, 죠몬 시대 지층에서 메밀 씨앗이 출토되고 있어 재배 자체는 꽤 일찍부터 시작되었음을 알.. 2024. 10. 8.
메밀 재배법 파종량 소요량 : 4~8㎏/300평 일찍 심기 : 드물게 뿌림늦게 심기 : 배게 뿌림 ※ 봄 심기 6, 비닐피복 8㎏/300평파종 적기여름 재배 : 4월 중하순가을 재배 : 7월 중~8월 상순 ※ 가뭄이 극심할 때 대파작물로 활용시비콩 전용복비 (8-14-12)25~50㎏/300평재식거리 줄뿌림 18~20×5㎝일반재배 : 60×15㎝.. 2018. 6. 22.
제주의 토종종자 사업이 본격화되다 제주 서부농업기술센터에서는 올해부터 토종 조와 메밀을 보급하는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인터뷰에서 유통과 스토리텔링까지 이야기하는 걸 보니 무언가 계획이 단단히 서 있는 것 같은 인상을 준다. 슬로푸드의 맛의 방주에 푸른독새기콩이 올랐는데, 또 한 번 제주의 토종 조도 오를 .. 2014. 6. 3.
유기농업에서 메밀을 덮개작물로 활용하기 출처: Adapted from: Clark, A. (ed.) 2007. Managing cover crops profitably. 3rd ed. National SARE Outreach Handbook Series Book 9. National Agricultural Laboratory, Beltsville, MD. (Available online at: http://www.sare.org/publications/covercrops.htm) (verified 24 March 2010). Note: For this article, all information from the source that does not comply with organic certificat.. 2013. 4.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