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먹을거리32 교토 시내에서 술을 만든다는 것 사사키 아키라佐々木晃(이야기) / 사토 요이치로佐藤洋一郎(기록) 처음에 "만드는" 작업은 인류 고유의 작업이다. 만드는 것은 식재만 잔뜩 있는 게 아니라 도구나 "장소" 같은 보이지 않는 것도 포함되는데, 이 책의 내용 가운데 술에 관계된 것도 있어 교토 시내 중심부에서 유일한 양조장인 사사키 주조사의 사장인 사사키 아키라 씨에게 "술 만들기"를 들었다. "물건 만들기"란 것에 학문은 어떻게 공헌해야 할까? 그러한 입장에서 읽어 나아가 주시길 바란다. 좌담회에서는 질의응답도 있었는데 그를 포함해 적어 보았다. 술이란 무엇일까? 사람과 사람이 술을 따르거나 따라주거나 하면서 친해져 간다. 그러한 "장"을 연출하는 것이다. 단순히 알코올 음료만은 아니다. 그리고 술은 먹을거리와 함께 있다. 일본주는 일정식의.. 2024. 3. 24. 고기로 태어난 소는 초원을 본 적이 없다 육식, 그 자체가 문제라기보다는 육식을 위해 가축을 사육하는 방식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는 없을지 고기를 먹을 때마다 떠올리면 그나마 나아질까요. "가축을 키우는 농가를 상상할 때 동물이 초원에서 풀 뜯는 이미지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 사실, 그런 농장은 매우 드물다. 전 세계 가축 농장의 99%는 대규모 ‘축산 공장’이다. 육류의 대량생산을 위해,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 많은 수의 동물을 넣고 빨리 키워 도축한다. 이에 따른 밀집 사육, 항생제 남용, 가축을 향한 폭력과 학대 등이 오래전부터 논란을 일으켰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08/0000027592?cds=news_edit&fbclid=IwAR14jTtsz.. 2020. 10. 3. GMO 논쟁의 사회적 결과 읽고 생각해 볼만한 문제이다. 알아야 비판할 수도 있는 법이다. ------------------------------https://scimoms.com/social-consequences-gmo-debate/ GMO 논쟁은 20년 동안 계속되고 있지만, 사실 이 논쟁은 GMO에 관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GMOs"는 여러 가지 매우 실질적 우려들에 대한 입장이 되었다. 먹을거리 공.. 2019. 9. 10. 지금이 식량주권을 주장할 기회이다 아베 수상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배웠는지 만만한 한국을 상대로 무역 분쟁에 들어갔다. 그나저나 지금이야말로 기회가 아닙니까! 국제적인 자유무역을 통해 번영을 누릴 수 있다고 선전하던 신자유주의 체제의 주장이 이렇게 한순간에 깨질 수도 있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지 않습니까. 자.. 2019. 7. 3. 농생태학 -26장 지속가능한 농업생태계에서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로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26장 지속가능한 농업생태계에서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로 이전 장에서 우리는 먹을거리 체계의 가장 중요한 두 부분인 먹을거리를 재배하는 사람과 그걸 먹는 사람을 다시연결해야 할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지역화된 대안 먹을거.. 2019. 6. 4. 탄소 입자국? 기후변화를 완화하기 위하여 먹을거리의 "탄소 입자국"을 줄이자는 주장도 나오는 요즘입니다. https://www.nytimes.com/2019/05/15/opinion/letters/carbon-food-climate.html#click=https://t.co/Q3Srdx1Onm 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인류 역사상 최고치인 415ppm을 기록했다지요. 이대로는 공멸의 길로 갈 것이 틀림없습니.. 2019. 5. 21. 이전 1 2 3 4 ···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