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5 농생태학 -19장 농업생태계의 동물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19장 농업생태계의 동물 가축은 1장에서 이야기한 산업형 농업의 지속불가능성에 대한 여러 이유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공장식 사육시설(CAFO)는 공기와 물을 오염시켜 분뇨를 자원이 아닌 문제로 만든다. 육류 산업은 경제력 집중, 수직.. 2019. 5. 8. 유전자 편집(CRISPR) 기술을 활용한 동식물은 유전자변형 식품이다 유럽연합 법원에서 중요한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유전자 가위 등이라 불리는 유전자 편집 기술로 개발한 동식물은 기존의 유전자변형 생물체(GMO)와 같은 것이라는 판결입니다. 이로써 유전자 편집 기술은 기존의 유전자변형 기술과 다른 것으로서, 그것과 마찬가지의 규제와 비판에서 .. 2018. 7. 26. 육식에 드는 진짜 비용은 얼마인가? 환경과 인간의 건강, 동물의 복지에 미치는 커다란 영향에 대한 우려와 함께, 육류 산업의 미래는 어떠할지 Bibi van der Zee 씨에게 물었다. 육류의 경제학은 무엇인가? 식량과 농업은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 부문 가운데 하나이다. 우린 더 이상 인구의 76%가 농업에 종사하던 14세기에 살지 .. 2018. 5. 9. 가축 항생제 연간 보고서 세계동물보건기구에서 2010-2015년에 회원국들에게 제출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최초로 작성했다는 <가축 항생제 사용 연간보고서>입니다. 필요하신 분 참고하세요.http://www.oie.int/fileadmin/Home/eng/Our_scientific_expertise/docs/pdf/AMR/Survey_on_monitoring_antimicrobial_agents_Dec2016.pdf 2017. 9. 5. 세계의 농지는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 이 지도는 예전에 번역해서 올리기도 한 나쇼날지오그라픽에 나오는 자료 가운데 일부이다. 이걸 보면 현재 세계의 농지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초록색이 식량을 재배하는 곳, 그리고 보라색은 동물의 사료나 생물연료를 재배하는 곳이다. 이에 따르면 현재 .. 2015. 1.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