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19장 농업생태계의 동물


가축은 1장에서 이야기한 산업형 농업의 지속불가능성에 대한 여러 이유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공장식 사육시설(CAFO)는 공기와 물을 오염시켜 분뇨를 자원이 아닌 문제로 만든다. 육류 산업은 경제력 집중, 수직계열화, 가족농의 적 등의 대표적 사례이다. 동물사료용 대두와 옥수수의 생산이 세계의 경작지를 차지하는 비율이 지나치게 높다. 인간의 소비를 위한 육류와 축산물의 집중적 생산은 에너지를 비효율적으로 쓰고 생태적으로 해롭다. 육류의 공장식 축산은 소규모 가축 생산에 의존하는 개발도상국의 농촌에 거주하는 농민들의 경제적 기반을 약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육류 소비를 늘리는 경향이 있는 식생활은 빈부격차를 더 두드러지게 만든다. 광우병과조류 인플루엔자 같은 가축의 질병은 인류를 위협한다. 항생제와 호르몬이 함유된 육류와 동물성 지방이 너무 많은 식생활에 의해 나타나는 인간의 건강에 대한 위험과 결합된 이들 문제는 가축을 나쁘게 보이도록 하여, 지속가능성의 옹호자, 소비자 활동가만이 아니라 채식주의자와 동물권 활동가 같은 산업형 농업의 여러 비판자들의 비판 대상이 되고 있다. 


확실히 그러한 비판 가운데 일부는 그럴 만한 가치가 있다. 하지만 문제는 동물이 오늘날의 농업생태계와 먹을거리 체계에 통합되는 방식과 관련이 있지, 동물 자체나 그들을 먹을거리로 이용하는 데 있는 게 아니다. 동물은 농업생태계에서 여러 이로운 역할을 담당할 수 있기에, 지속가능성에게 매우 기여한다. 실제로, 이번 장에서 볼 수 있듯이 농업생태계에 동물을 포함시키는 일은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경제적 실현성을 실행하는 데 차이를 만들곤 한다. 


비교적 최근 농업의 역사에서 -미국에서 세기가 바뀔 즈음에- 농장에는 가축과 작물이 모두 당연히 포함되었다. 이 장의 핵심 개념을 사용하여, 작물과 가축이 통합되었다. 그 이후에 발생한 작물과 가축 사이의 분리는 문자 그대로 농업의 붕괴를 나타낸다. 이러한 분열은 우리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적 기반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우리의 가축과 함께 개발해 온 수천 년에 걸친 상리공생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경시켰다. 


지속가능성은 오늘날 부분적으로는 동물과 작물을 재통합하는 데 달려 있다(그림19.1). 그것은 우리의 먹을거리체계에서 동물성 단백질을 거부하도록 요구하는 게 아니라, 후기 산업화 시대로 산업화 이전의 농업이 지녔던 최고의 측면을 적용시키기 위하여 농생태학의 개념과 원리를 활용해 가축을 먹을거리로 사육하는 합리적이고 통합된 접근법을 요구하는 것이다. 이번 장에서 우리는 이러한 재통합이 일어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것이다. 초점은 축산업을 지속가능하게 만드는 방법이 아니라, 작물과 동물을 혼합함으로써 얻는 상승작용과 우리를 지속가능성으로 향하게 하는 그들의 역할에 둔다. 


그림19.1 캘리포니아 트레스 피노스 근처의 유기농 호두와 닭이 함께 통합된 농사 체계. 이동식 닭장이 날마다 옮겨다녀서 닭들이 먹이를 먹게 하여 잡초 관리에 도움이 되고, 토양에 분뇨를 추가하게 된다. 호두나무는 뜨거운 여름에 그늘을 제공한다. 닭은 소비자에게 직거래되어, 목장에 와서 자신의 갓 도축된 주문을 받아 간다. 호두는 가을에 수확된다. 덮개작물은 겨울철에 재배된다. 


 





생태계에서 동물의 역할


동물 -대체로 종속영양생물로 정의된- 은 지구의 모든 생태계의 필수 구성요소이다. 그들은 독립영양생물(식물)을 소비하고, 그들의 바이오매스를 동물성 바이오매스로 변형시키며, 결국 양분이 풍부한 폐기물과 한때 살아 있던 유기물의 형태로 독립영양생물에게 다시 순환된다. 농업생태계는 바이오매스를 수확할 목적으로 관리되어 자연 생태계가 변형된 것이기에 동물 역시 필요로 한다. 물론 농업생태계에서 수확된 바이오매스의 궁극적 소비자인 인간은 모든 농업생태계에서 동물의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우리가 그 역할을 하는 유일한 종이어서는 안 되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자연 생태계가 입증하듯이, 농업생태계에는 다양한 동물 종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있다. 


우리가 비인간 동물을 작물을 기반으로 하는 농업생태계로 재통합시켜 더욱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생산 체계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식을 모색하려면, 우리는 늘 그렇듯이 자연 생태계에서 시작해야 한다. 생태계는 동물이 생태적 온전함과 안정성을 방해하거나 악화시키기보다는 오히려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동물이 자연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서 하는 역할에 대해서는 2장에서 상세히 논의되었다. 13장에서 우리는 동물이 작물과 직면하고 있는 환경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여러 방법(예, 수분매개자와 초식동물로서)에 대해 논의하고, 농업생태계에서 먹을거리와 섬유의 생산을 위해 흔히 사용되는 동물의 기본적인 생리학적 과정과 영양요구를 다루었다. 여기에서 우리는 가축을 포함시키는 농업생태계의 설계와 관리에 그 지식을 적용해 나아가는 괌점에서 그 장들에서 제시된 개념들을 검토하고 확장한다. 






식생의 형성

생태계의 영양 구조에서 종속영양 유기체인 초식성 동물은 식물이 생산한 바이오매스를 소비하고, 이러한 먹이 활동이 육상의 생태계에서 집합적으로 식생이라 부르는 식물 종들의 풍부함, 분포, 다양성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초식성 동물은 육상 생태계 대부분의 구조적 구성에 대한 주요한 구성요소 -결정 요인- 이다.


초식동물과 그들이 소비하는 식물 사이의 긴밀한 연관 떄문에, 많은 생태계는 초식동물의 다양성과 꽃의 다양성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동아프리카의 세렝게티에서 다양한 유제류 동물상이 뜯어 먹는 여러 종들은 포식성 동물과 식물 모두의 놀라운 풍요로움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McNaughton 1985, 1990; Murray and Illius 1996). 풀을 뜯어 먹는 10종 이상의 유제류가 아주 가까이에서 발견될 수 있고, 몇몇 종들은 혼합된 집단으로 함께 발견된다. 이들 초식동물은 서로 다른 식물 종, 식물의 서로 다른 부분(잎, 줄기, 꽃) 및 서로 다른 생활 단계(생풀 또는 마른풀)에 있는 식물을 먹는다. 게다가 이주 주기 때문에, 연중 서로 다른 시기에 식물에게 그들의 초식성 압력을 가한다. 각각의 초식동물 종들의 식이성 특수화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차이는 초식에 대응하고 그를 활용해 다른 식물과의 종간 경쟁을 최소화하고자 다양한 전략을 따르는 구성요소인 식생과 함께 공진화했다. 그 결과 체계의 구조적 다양성이 지위 중복, 공존, 상리공생이 진화하도록 하고 더욱 다양해지도록 기여했다. 


북아메리카 대평원의 여러해살이 풀 대초원 생태계 -그 토착의 형태로- 는 꽃의 다양성과 결부된 초식동물 다양성의 또 다른 사례였다(그림19.2). 들소, 엘크, 영양 및 기타 풀을 뜯는 동물들이 서로 다른 식물 종과 서로 다른 식물의 부분을 계절의 서로 다른 시기에 선택적으로 소비하여, 짧은 풀과 중간 풀, 긴 풀의 종들로 구성된 대초원의 식생과 공진화한다. 또한 대초원 생태계는 초식동물이 생태계 구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하기도 했다. 짧은 풀과 중간 풀, 긴 풀 종들의 비율은 토양의 유형과 강우량 같은 비생물 요인으로 인해 한 방향이나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풀을 뜯는 행위와 화재에 의해 주로 결정되었다(Briske 1996). 대초원초식동물의 야생의 무리가 심각하게 감소한 이후, 토착 식물의 종 구성도 바뀌었다.



그림19.2 캔자스 맨해튼 근처의 콘자Konza 대초원 생물실험소(Biological Station)에 방목되고 있는 들소. 들소는 미국 중서부 대부분의 대초원 생태계를 형성하는 핵심 요소였다. (사진 제공 Catherine Burns)




토착 대초원 생태계의 최근 복원 프로그램은 이러한 토착 방목 압력을 회복시키는 방법에 대한 과제에 직면해 있고, 화재와 풀 베기나 가축의 활용과 함께 자연 방목을 모방해야 하는 대안에 직면해 있다. 오클라호마에 있는 긴풀 대초원 보호구역(Tallgrass Prairie Reserve)에서, 자연보호협회(Nature Conservancy)는 2500마리 이상의 들소 무리와 대초원 생태계를 복원하고 그 원래의 토착 식물과 동물의 다양성을 촉진하고자 규정된 불태우기인 "부분 소각" 관리도구를 활용하고 있다. 또 다른 사례로, 세계 야생생물 기금(WWF)은 북부 대평원 생태 지역의 약 690만-1100만 헥타르를 적어도 1만 마리의 들소 무리를 부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수반되는 이들 체계의 식물과 동물 다양성이란 특성을 지닌 충분히 큰 규모로 복원을 추진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2006년 세계야생생물 기금은 그 아메리카 대초원 보호구역에 처음으로 200마리의 들소를 풀어주고, 2010년에 프레리도그가주변 목장에서 옮겨져 그들의 굴이 멸종위기에 처한 검은발족제비의 집으로 이용될 수도 있도록 보호구역의 중심지에 풀어 놓았다. 보호구역은 이들 동물 군집이 번성하는 데 필요한 크기를 함께 제공하는 공공, 민간, 부족의 토지라는 독특한 모자이크로 구성되어 있다. 





에너지 흐름의 활성화

초식동물이 식물을 먹고 차례로 육식성 동물에게 먹힐 때, 에너지는 한 영양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흐르고 있다. 당신은 영양 단계 사이의 에너지 흐름이 비효율적이란 사실을 떠올릴 것이다. 광합성으로 고정되고 식물성 바이오매스에 저장된 상대적으로 작은 비율의 태양 에너지는 그 바이오매스가 다음 영양 단계에서 동물성 바이오매스로 전환될 때 보존된다. 한 영양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이동하는 에너지의 대부분(최대 90%)은 동물에 의해 대사 열로 방출되거나 분뇨로 다시 토양에 쌓인다(Odum and Barrett 2005). 그러나 동물의 분뇨에 함유된 에너지는 토양 유기체 활동의 필수 동인이기에 상실되지 않는다. 


영양 단계에서 뛸 때마다 에너지가 상실된다는 것은 더 높은 단계마다 바이오매스가 계속해서 작아져야 한다는 걸 의미한다. 따라서 기본 생태학 교재의 "에너지 피라미드"와 비슷한 모양이 된다. 식물은 에너지 피라미드에서 바닥의 단계만 차지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단계에서 동물성 바이오매스에 저장된 에너지는 더 상위의 영양 단계마다 2차 소비자에게 필수적이다. 따라서 생태계의 동물 다양성은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는 영양 단계의 숫자,즉 대체로 에너지 피라미드의 높이와 동물상의 다양성이 주된 결정요인이다. 세렝게티의 사례로 돌아가서, 초식동물의 다양성은 치타, 사자, 하이에나, 땅늑대, 표범, 들개, 재칼, 독수리, 대머리수리, 악어를 포함하는 포식자와 기타 2차 소비자 및 다양한 작은 육식동물과 잡식동물의 상대적으로 높은 다양성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양분의 순환

모든 자연 생태계에서 초식동물은 물질이 체계를 통해 순환되는 역동적인 과정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효율성, 생산성, 안정성의 신생 특징은 모두 이러한 근본적인 생태계 과정과 연관된다. 


생태계는 동물, 분해자, 잔사식생물에 의존하여 식물성 물질에 저장되어 있는 양분을 방출한다. 그러므로 동물은질소 순환, 탄소 순환, 인 순환의 중요한 부분이다(모두 2장에서 논의함). 양분이 지질이나 대기의 저장소로 다시 배출되든지 아니든지, 처음 단계는 소화, 배설, 분해가 뒤따르는 식물 조직의 소비이다(그림19.3).



그림19.3 들소와 들소의 분뇨. 동물에 의한 식물성 바이오매스의 소비는 세계 대부분의 자연 생태계에서 양분의순환에 기여한다. (사진 제공 Catherine Burns)





군집의 역학에 대한 영향

앞서 논의했듯이, 초식은 생태계의 식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구조적 의미에서 지적되었지만, 기능적의미에서 종간 상호작용과 생태계의 복잡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초식동물에 의한 방목이나 먹이 활동은 특정한 종이나 식물의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수반하여 군집에 있는 각 종의 개체군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방목 압력은 특정한 식물의 종이 경쟁 배제를 통해 생태계를 우점하지 못하도록 막아서 다양성과 복잡성을 감소시키는 주요한 요인이 되곤 한다(그림19.4). 방목 패턴이 변화하면 -예를 들어 토착 방목자의 제거, 초식동물 개체군의 변화, 또는 비토착 초식동물의 도입 등으로 인해- 식물 종 우점의 변동이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그림19.4 스페인 남부에서 삼림지의 하층 식생을 개선하고 있는 소들. 동물은 중요한 순간에 체계를 이동하며 풀의 덮개를 관리하고, 나무의 발달을 촉진하며, 동물성 산물을 생산한다. 




초식동물이 군집의 역학에서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의 사례는 도입된 종이 우점하는 생태계에 의해 제공된다.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외래의 비토착 식물 종들은 도입된 비토착 방목 동물과 관련하여 우점을 확립하여 외래의 초식동물이 제거된 뒤에도 지속될 수 있도록 토착 생태계에 변화를 야기한다(Colvin and Gliessman 2000). 반대로 비토착 식물에 의한 침입은 소비를 통해 외래의 것을 통제할 수 있는 초식동물의 부재로 인하여 문제가 될 수 있다. 


동물, 특히 더 큰 초식동물이 어떻게 군집 역학의 일부로 기능하는지에 대한 인식과 앞서 논의된 기타 생태계 과정이 가축을 작물 생산으로 통합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할 때 우리를 안내할 수 있다. 식물의 종속영양 소비자(이자 어떤 경우에는 절지동물과 연체동물의 해충)로서 가축은 종들의 상호작용을 관리하고(16장), 농업생태계의다양성과 탄력성을 높이고(17장), 천이 과정을 활용하며(18장), 에너지 포획과 사용의 효율성을 최대화(20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축과 농업의 공진화 

 

가장 초기의 인간 문화에서, 사람들은 수렵채집인으로서 토지에서 벗어나 생계를 꾸리며 그들 주변의 생태계에서이용할 수 있는 동물과 식물을 최대한 활용했다. 그러므로 일부 인간 사회가 더 큰 개체군을 부양하고 더 안정적으로 먹을거리 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경제를 개발함에 따라 그들이 식물을 길들이는 것과 거의 동시에 동물을 길들였다는 건 그리 놀랄 일이 아니다. 


길들임은 두 가지 의미에서 공진화의 과정이었다. 첫째, 15장에서 논의된 것처럼 길들인 종은 인간의 문화와 함께 일제히 변화하여 각각 다른 종에 의존하게 된다. 둘째, 식물의 작물화 -즉, 농업의 발전- 는 동물의 가축화와 방목과 목초 체계의 발달과 병행하여, 직접적으로 연결되곤 하며 진행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매우 다른 환경과 생태계는 야생 종의 길들임을 기반으로 더욱 안정된 사회경제적 방식의 개발을 위한 매우 다른 기회를 제공하고, 서로 다른 제약을 부여했다. 일부 환경은 어떤 종류의 농업도 지원하기에는 너무 춥고 건조했지만, 가축화에 적합한 토착 유제동물을 제공했다. 다른 환경은 농업과 가축의 사육에 모두 좋았다. 농경사회로 발달하려는 선사시대의 인간 문화 가운데 일부는 동물에 기반한 체계를 만들고, 다른 일부는 작물에 기반한 체계를 만들었다. 어떤 경우에는 두 가지가 직접적으로 결합되었다. 


그러나 길들여진 동물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는 체계의 사례가 많이 있지만, 길들여진 동물이 전혀 없이 작물에기반한 체계는 거의 없다. 이런 의미에서 동물은 참으로 농업의 전형적인 특질이다. 


동물이 길들여진 곳이라면 어디나, 동물은 인간 사회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어 돌봄과 존경을 모두 받았다. 이런 식으로 "공-진화"에 대한 상리공생적 의미가 완수되었다. 가축의 사육은 축산(animal husbandry)이라 부르기도 하여, 축산이란 용어의 오래된 의미에서 돌봄의 개념이 명백하다. 축산은 웹스터의 1913년 사전에 "길들여진 것의 돌봄; 경제; 길들여진 것의 관리; 절약"으로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축산"은 인간과 그 가정의 복리와 함께 길들여진 동물의 관리를 연결한다. 





방목과 목초 체계

먼저 우리는 초식동물을 방목하는 가축화에 기반하는 체계의 개발을 검토할 것이다. 이러한 농업 진화의 가닥은 오늘날까지 생존하여 동물 만의 체계를 낳았지만, 그것은 또한 식물과 동물을 모두 이용하는 통합된 체계의 진화에 직접적인 역할을 담당하기도 했다. 


15장에서 설명했듯이, 인간은 관찰력 있는 수렵채집인에서부터 야생 개체군들의 꼼꼼한 관리자, 가축을 길들이는 돌보미로 전환되었다. 이 과정에서 동물은 보호와 먹이, 번식을 위해 인간에게 의존하게 되고, 인간은 다양한 서비스와 산물을 동물에게 의존하게 되었다. 


지역의 환경 제약과 가축화에 적합한 토착 포유류 및 조류의 가용성에 따라, 동물을 포함시키는 다양한 유형의 먹을거리 생산 체계가 인간 사회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들 체계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다양한 방식으로 진화했는데, 전반적으로 동물이 더 철저히 가축화되고, 인간이 그 관리법을 강화하며, 동물이 먹는 식물 종들이 관리에 응하여 더 바람직한 특성을 개발했다고 공진화의 일반적 과정을 묘사할 수 있다. 


축산의 가장 이른 형태는 인간이 먹이와 물을 찾아 경관을 가로지르며 동물을 따라다니는 목가적 유목 생활이었다(Koocheki and Gliessman 2005). 이러한 생활 방식은 일반적으로 양과 염소의 야생 근연종 같은 야생 상태에 존재하는 동물들이 희박한 식생의 덮개에서 먹고 살고자 전적응한 상대적으로 극한인 반건조의 환경인 지역에서 개발되었다. 목가적 유목 생활은 인간의 공동체가 그 길들여진 동물의 무리가 없으면 생존할 수 있을지 의심스러운 일부 매우 건조하고 산간 지대인 곳에 아직도 존재한다. 최소한 상당한 기술적 개입 없이 작물 농업이 극도로 어렵거나 불가능한 지방에서, 이들 동물은 부족한 자원을 위해 먹이를 찾아다닐 수 있으며 인간이 직접적으로 소비할 수 없는 식생을 수확할 수 있는 동물성 산물로 바꾼다. 이들 체계의 돌보미로서 인간은 방목을 위한 그 경관의수용력의 한계를 존중하고, 자원 가용성의 계절적 및 지방적 변동을 이해하며, 그들의 동물이 필요로 하는 바에 따라 사회 구조를 개발시켜야 한다. 중동의 건조 지방에 가장 주목할 만한 유목 체계와 함께, 동물 가축화의 초기 시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잘 관리된 오늘날의 유목 체계의 사례들이 있다(그림19.5). 


그림19.5 이스라엘 네게브 사막의 유목 체계에서 목양업자가 이동시키고 있는 양. 이 지방의 강우량은 연간 30mm를 넘지 않아 작물 농업에는 너무 적다. 




강우량이 더 많고 수자원에 더 접근할 수 있는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 목가적 유목은 관리되는 방목의 유형으로 진화했다. 사람들은 영구 거주지를 수립하고, 동물은 명확한 방목지에 먹이를 찾는 시기 동안 풀어 놓는다. 좋은 축산은 동물을 돌보는 것만이 아니라, 방목지의 건강을 유지하는 것으로 진화했다. 10장에서 논의했듯이, 불은 이들 체계에서 목초와 방목지 개선을 위해 사용된 가장 초기의 도구 가운데 하나일 가능성이 높다. 이 체계는 자연 생태계를 기준으로 활용하는 인간 관리자가 식생의 구조, 종들의 구성, 풀사료의 품질 및 건강한 방목지나 목초지의 기타 지표에 대한 철두철미한 지식을 개발하고 유지했을 때 지속가능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관리되는 방목 체계는 건조 지역부터 습한 강우 상황까지, 온난한 기후부터 추운 기후까지, 대부분의 토양 유형과 조건에 걸쳐서, 자연 초원, 목초와 풀이 있는 떨기나무숲, 사바나 또는 초지의 군데군데 나무가 있는 개방된 삼림지, 또는 동물이 소비하기에 적합한 하층 식생을 지닌 숲에 이르기까지 오늘날 세계의 대부분 지역에 존재한다(Hodgson and Illius 1996). 그 방목 체계가 잘 관리되고 동물의 유형과 숫자가 식생에 적절할 때, 관리되는 방목 체계는 산업형 먹을거리 체계에서 동물로부터 유래되는 먹을거리의 대부분을 생산하는 데 이용되는 공장식 사육시설에 대한 지속가능한 대안이 된다. 


결국, 인간-가축 관계의 공진화는 인간이 사료의 품질과 양을 개선하고자 목초의 종을 심고 관리하는 또 다른 단계에 도달했다. 자연의 방목 생태게를 관리하는 일에서 식용 사료와 목초 종을 직접 파종하는 일로 전환한 것은 아마 경운 도구를 끌 수 있으며 토양을 개선하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는 분뇨를 생산하는 가축의 가축화와 함께 밀접히 연관되어 발생했을 것이다. 곡식의 크기, 사료의 품질, 성장 활력이 모두 증가함에 따라, 분명히 아주 유사한 공진화가 식물 쪽에서도 일어나고 있었다. 풀, 곡식, 콩류는 모두 각각 가축에게 보완적인 영양을 제공하고 균형 잡힌 양분을 토양으로 투입하는 목초의 혼합 가운데 일부가 되었다. 비가 내리지 않는 여름이나 추운 겨울철 같이 파종한 목초가 자라지 않는 시기가 길어지는 곳에서는 목초 바이오매스를 수확하고 말려 부족한 시기에 활용할 사료로 저장하여 그 시간 동안은 동물을 가둔 채 사육하는 체계가 개발되었다. 


그러한 목초 체계는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아직도 매우 흔하며, 관리되는 방목 체계처럼 동물에 기반하는 먹을거리와 섬유 산물을 생산하는 매우 지속가능한 수단이 될 수 있다. 특히 동물 생산 체계가 매우 보편적인 곳의 여러 농업대학에서는 목초 설계, 관리, 개선의 연구에 전념하는 학과와 프로그램이 있다. 





혼합된 작물-가축 체계

동물과 사료용 식물의 공진화가 일어나고 있는 한편,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 인간은 자신의 소비를 위해서도 작물을 개발하고 있었다. 동물은 작물의 거름을 위한 분뇨만이 아니라 경운과 운송력을 제공하고, 인간이 그 자신과 그들의 동물 및 환경 모두의 필요에 균형을 맞추었을 때 발생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농장 경관의 다양화에 한몫했기 때문에, 동물은 거의 항상 이러한 작물 개발의 일부였다. 


초기 농경사회는 모두 가축화된 동물을 어느 정도 이용했다. 인더스 계곡의 고대 문화는 닭을 가축화했다. 동남아시아의 문화는 가금류와 물소를 사육했다.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소와 양, 염소가 중요했다(그림19.6). 길들일 수 있는 야생 종이 풍부하지 않은 신세계에서도 칠면조와 털이 없는 개 등의 가축화된 동물이 농경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예를 들어, 미국 남서부의 푸에블로 선조들은 옥수수, 강낭콩 호박을 재배했는데, 깃털과 비상 식량 및 거름을 위해 가축화된 칠면조를 사육했다. 


그림19.6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가축화된 양. 루브르 박물관에 있는 이 돌 조각에 새겨진 양 같은 가축화된 동물은 "비옥한 초승달" 지역에서 이루어진 농업의 초기 형태에서 중요했다. 





식물과 동물의 통합 정도는 초기의 농업 체계에서 다양했다. 일부 사회에서는 작물 생산 체계가 가축 목초 체계와 함께 개발되었다. 다른 사회에서는 가축화된 동물에서 유래한 먹을거리가 작물을 기반으로 하는 체계를 보완했다. 어느 쪽이든, 패턴은 인류 문명의 주요한 중심지와 함께 개발되는 통합된 작물-가축 체계를 위해 설정되었다. 


이러한 통합된 체계는 각각의 구성요소, 또는 사업의 생태적 상보성을 활용하기 위해 작동하는 전체로서 함께 관리되는 서로 다른 활동의 다양한 혼합을 수반한다. 중동, 유럽, 북아프리카, 남아시아를 포함하여 적절한 강우가 내리는 세계의 여러 온대 지역에서 통합된 체계는 상당한 복잡성의 수준에 도달했다. 예를 들어, 초기의 근대 유럽에서 전형적인 통합된 농장은 각각의 구성요소의 여러 조합을 포함하는 돌려짓기와 휴한과 함께 수확할 수 있는 사료나 마초(한해살이와 여러해살이)를 위한 목초, 작물(한해살이와 여러해살이), 동물 방목 지역(목초로 활용되는 식물 종의 일부를 개선했을 가능성이 있음), 가축의 울타리, 숲이나 조림지, 어떤 종류의 습지, 개울이나 우물, 인간의 거주 및 활동을 위한 장소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양식의 통합된 농장 -과 축산과 관련된 문화적 가치- 은 미국으로 수입되어 모델 체계가 되었다. 20세기가 시작될 때까지 미국에서 대부분의 농장은 이러한 복합적 사업의 통합을 보여주었다. 통합된 농장은 오늘날 여전히 존재하지만, 가축과 작물 생산이 완전히 분리된 전문화되고 산업적 규모로 운영되는 곳이 훨씬 많다. 


가축과 작물의 분열은 2차대전 이후 전문화된 기계, 비료, 농약이 광범위하게 도입되며 이루어졌는데, 미국에서는 수십 년 전부터 농업의 전문화가 시작되었다(Gregson 1996). 균일한 시장의 신호와 멀리 떨어진 시장에 대응하기 위하여, 농민들은 재배 조건과 관리 및 기후에 대한 반응을 모두 표준화하는 효과를 지닌 생산 투입재에 의존하기 시작했다. 다양성은 덜 필요해 보였고, 농장은 단순화되기 시작했다. 효과적이고 저렴한 화학 비료에 접근할 준비가 되어 농민들은 토양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더 이상 생물학적 질소 고정과 가축을 통한 양분 순환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는 인식이 조장되었다. 정부 지원 프로그램과 학술 연구기관은 전문화의 가치를 더욱 촉진했으며, 1980년대 말에는 가축과 작물의 분리가 상당히 완료되었다(Gregson 1996).  


그러나 우리가 1장에서 보았듯이, 가축과 작물의 분리와 -그리고 가축의 대규모 공장식 사육체계와 작물의 대규모 단작의 동반 성장- 연관된 문제들이 우리를 괴롭히기 위해 돌아왔다(Nierenberg 2005). 이제 지속가능성이 농업의 주요한 목표이고, 전문화를 촉진하는 투입재의 비용이 그들이 생산하는 작물의 가치보다 빠르게 상승하고 있어 작물과 가축을 통합하려는 발상이 다시 한 번 눈에 띄었다. 


방목과 목초에 기반한 동물 생산 체계는 또한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에 기여할 수 있는 그 잠재성 때문에 주목을 받았다. 그러한 체게에서 생산되는 모든 먹을거리(및 양모 같은 기타 산물)은 1차 생산자의 그것보다 더 높은 영양 단계에서 비롯되지만, 외부의 투입재 없이도 사실상 생산될 수 있다. 그들은 인간이 소화시킬 수 없는 셀룰로오스와 기타 복합적 식물의 바이오매스를 분해할 수 있는 소화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13장 참조), 이들 체계에서 활용되는 방목되고 잎을 먹는 동물들은 인간이 먹을 수 없는 식물에서 비롯되는 먹을거리 칼로리에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게다가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미국 남서부의 반건조지역 같은) 잘 관리된 방목지의 방목은 야생의 토착 유제동물에 의해 수행되었던 생태적 기능을 복제함으로써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는 데 도움이 될수 있다. 






통합된 농사 체계


통합된 농장은 가축이 농장의 운영으로 통합되어 "단지 시장성 있는 농상품으로서가 아니라 -과업을 수행하고 다른 사업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업들 사이의 긍정적 상승효과를 획득하는" 곳이다(Clark 2004). 이러한 정의에서, '사업'은 판매할 수 있는 산물부터 잡초의 관리와 토양의 건강에 이르기까지 농장 체계의 모든 초점이나 목적을 가리킨다. 


농업생태게에 동물을 통합시킴으로써 발생하는 긍정적 상승효과는 대부분 가축과 작물 및 사료 식물의 생태적 상보성 때문에 발생한다. 식물은 동물을 먹이고, 동물의 배설물은 농축된 형태로 식물이 필요로 하는 양분을 제공한다. 따라서 통합된 체계 -단지 다양화된 것과는 대조되는- 는  이러한 상보성을 이용하여 작물 구성요소와 동물 구성요소 사이에 에너지와 양분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물이 농업생태계로 통합되면, 자연계에서 작동하는 더 많은 생태계 과정을 농업생태계의 기능에 통합시켜 그 탄력성과 지속가능성을 증진할 수 있다. 





통합된 체계의 사례

동물의 사육과 작물의 재배를 똑같은 농업생태계에 통합시킨다는 기본 개념은 전 세계에 다양하게 표현되어 있다는 걸 발견한다. 가축 구성요소는 소, 양, 염소, 돼지, 토끼, 말, 황소, 야크, 물소, 가금류, 물새, 물고기, 조개, 벌, 누에를 포함하거나, 먹을거리와 섬유, 노동력, 분뇨,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종들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어떠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작물 구성요소는 곡류, 콩류, 유지류, 방목되는 사료, 채소류, 감자류, 과일이나 견과 나무, 포도 및 기타 먹을거리 작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선택지가 주어지면, 통합의 가능성은 거의 무한하다. 가장 중요한 체계의 유형 가운데 네 가지가 아래와 같이 설명된다. 





방목되는 목초지의 단계를 지닌 작물 돌려짓기

작부체계로 가축을 통합시키는 가장 광범위하고 널리 적용할 수 있는 방식은 방목되는 목초지의 돌려짓기이다. 농법의 세부 내용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 핵심은 인간의 소비를 위해 재배되는 작물(곡류)과 가축이 방목되는 목초 작물을 농지에서 돌려짓기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제의 변형은 방목하지 않으며 목초 작물을 재배한 다음, 갇혀 있는 가축을 위해 그걸 사료로 수확하는 것이다. 방목되는 목초지의 돌려짓기는 예전에 전 세계적으로 흔한 일이었는데, 가축의 유형과 목초의 종, 작물 종 및 돌려짓기 시기는 모두 지역의 조건에 맞추어 조정되었다. 


이 책의 다른 부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작물 돌려짓기는 전반적인 농업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많은 장점이 있다. 잡초의 성장(14장), 농업생태계의 다양성(17장), 물 가용성(9장)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요인일 뿐이다. 동물 구성요소가 포함되면, 돌려짓기 순서를 위한 선택지와 돌려짓기의 잠재적 혜택 모두가 증가한다. 





농목축(Agropastoral) 체계

세계의 일부 산악 지역, 특히 파키스탄, 인도, 중국, 네팔, 부탄에서 가장 흔한 전통적 농업 체계는 사실상 농목축이다. 더 따뜻한 계곡에서 작물을 생산하는 일은 여름철 고원의 목초지에서 가축을 방목하는 일과 결합된다. 보통 가축은 소득과 먹을거리의 주요한 원천을 제공한다. 여름의 공간적 분리에도 불구하고, 통합은 동물의 분뇨를거름으로 사용하고 겨울철 동물의 사료를 위해 목초 작물을 재배하는 일에서 발생한다. 





혼농임업 체계에서 가축

18장에서 논의했듯이, 혼농임업 체계는 작물, 동물, 또는 둘 다와 함께 나무를 통합시키는 체계이다. 초점이 나무-동물 결합에 맞추어지면 이를 임축업(silvopastoral) 체계라 하고, 세 가지(작물, 동물, 나무) 모두가 통합되면 농림축업(agrosilvopastoral) 체계라는 용어가 사용된다(그림19.7). 


그림19.7 코스타리카 푸에르트 비에호에 있는 간단한 임축업 유형의 혼농임업 체계. 살아 있는 울타리로 사용되는 콩과의 나무 Gliricidia sepium은 1년에 3-4번 가지치기를 하고, 소는 그들의 목초지 풀의 식사를 보완하고자 단백질이 풍부한 쳐낸 가지를 먹는다. 





임축 혼농임업의 농법은 나무가 폭우와 양분 침출, 강렬한 태양 열의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열대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가장 흔한 임축 농업생태계는 자연적이거나 개선된 목초지 위의 상층목으로 나무를 활용하는 걸 포함한다(Buck et al. 1999). 전형적으로 숲은 벌목되고 특정한 나무만 목초지에 그늘을 드리우도록 남겨두며, 생태적또는 경제적 가치를 추가하는 나무의 종을 잘 자랄 수 있는 패턴으로 심기도 한다. 가축 혼농임업 체계에서 동물의 관리가 핵심인데, 나무 -그리고 만약 존재한다면 작물- 와 동물의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나무(18장 참조)와 가축 모두는 농업생태계에 많은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 두 가지가 결합되면 지속가능성의 여러 구성요소를 함께 가져올 수 있다. Agroforestry Systems 저널에는 생태학적 지속가능성의 여러 특성을 입증하고, 많은 경제적, 사회적 혜택도 제공하는 동물 지향형 혼농임업 체계의 여러 연구 사례가 포함되어 있다. 





사례 연구: 스페인의 목초지(Dehesa) 체계


유럽 남부, 특히 스페인 안달루시아의 산악 지방에는 가축과 작물, 토착 초본 식생 및 참나무 숲을 통합시킨 전통적인 농림축업 체계가 존재한다. 스페인에서 데헤사로 알려진 이 통합된 체계는 자연 경관의 맥락에서 길들여진 방목 동물과 제한된 작물 농업의 신중한 관리를 결합시켜 달성될 수 있는 복잡성과 안정성의 수준을 보여준다(Sevilla-Guzmán 1999). 


데헤사라는 용어는 원래 지역사회의 공동 방목지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토지의 구획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는데, 지역사회의 농업노동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활용되던 동물의 방목과 휴식을 위해 특정한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활용하던 곳이었다. 오늘날, 그 용어는 오래된 의미에서 데헤사였던 지역사회를 둘러싸고 있는 숲이 우거진 토지에서 시행되는 관리 체계를 의미한다. 이 지역은 지중해성 가을의 첫 비와 함께 싹이 터 겨울을 거쳐 봄이 되며 자라고 비가 내리지 않는 여름철에 마르는 초본의 하층 식생과 더불어 몇몇 참나무속 종들의 개방된 참나무 숲으로 생장한다. 


데헤사 체계의 기본은 토종 이베리아 돼지(그림19.8), 양을 개방된 참나무 숲에 교대로 방목하거나 혼합하여방목하는 것이고, 때로는 말을 방목하기도 한다. 또한 지역사회의 사람들은 숲에서 땔감과 일부 코르크만이 아니라, 먹을거리, 약품, 향신료로 수많은 토착 식물 종을 수집한다. 더 나은 토양을 지닌 개방된 지역에서는 사료용 풀이나 콩과식물의 작은 밭을 가꾼다. 최근에는 소가 방목자의 혼합으로 추가되었고(그림19.4 참조),토착 야생생물 종이 스포츠로 사냥된다. 



그림19.8 이베리아 돼지. 이 지역에 적응한 품종은 스페인 데헤사 체계의 가장 중요한 동물 구성요소이다. 



데헤사의 주요 측면은 참나무 숲 생태계의 유지이다. 이는 동물 구성요소의 합리적이고 주의깊은 통합으로 가능해진다. 양과 소, 말은 겨울과 봄철에 자연의 초본성 덮개에 방목되고, 이후에는 판매되거나, 더 나은 목초가있는 저지대로 이동되거나, 저장된 마초에 제한된 숫자를 유지한다. 이베리아 돼지의 어미와 새끼는 자유로이 돌아다닐 수 있는 참나무 아래의 큰 우리에 가두어지고, 작은 밭에서 생산된 곡물을 먹는다. 늦여름에 도토리가 나무에서 떨어지기 시작하면, 어린 돼지는 우리에서 풀려나 자유로이 돌아다니며 도토리를 먹는다. 3개월 미만의 기간 동안 돼지는 도토리 식단으로 체중의 50% 이상 불리고, 그 독특하고 인기 좋은 하몽 이베리코jamón ibérico 햄에 쓰이는 살을 만든다. 소는 겨울철의 푸른 초본의 성장을 취하고, 양은 겨울의 푸른 바이오매스만이 아니라 여름까지 지속되는 마른 식물성 물질을 잘 처리할 수 있다. 


데헤사는 주변지 환경의 자원을 지속가능하게 활용한 사례를 대표한다. 그것은 그 관리가 수확량을 최대화하는 게 아니라, 가축의 꼼꼼한 관리를 통하여 경관의 자연적 생산성을 최적화하는 데 기반을 두기 때문에 지속가능하다. 그 기반은 다양화, 식물과 동물의 상보성, 참나무 숲의 부수어지기 쉬운 자연자원을 집약적으로 사용하기보단 광범위하게 사용하기, 지역의 토종 동물 및 수세기에 걸쳐 쌓은 관리 지식이다. 


그러나 공장식 축산의 돼지고기와의 경쟁, 단위면적당 더 높은 수익에 대한 욕구, 농촌 인구의 도시로의 이동 등이 모두 이 놀라운 체게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 앞으로 이를 보존하기 위하여 그것의 가치에 대한 농생태학적 이해가 필요하다. 

   




양식과 작물 생산

전 세게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체계는 작물 생산과 함께 물새나 물고기나 조개류 같은 수생 종의 사육을 포함하고 있다. 예상할 수 있듯이, 이들 체계는 농업이 부재하는 습지대가 두드러진물이 풍부한 지역에서 가장 흔하다.  


통합된 벼와 오리 농사는 일본과 중국의 일부에서 실행되고 있다(Furuno 2001). 잡초와 곤충은 오리가 소비하고, 오리의 분뇨는 벼를 비옥하게 하기 위해 되돌아가며, 인간은 작물의 주기가 끝나면 오리와 벼를 모두 수확한다(그림19.9). 오리의 움직임은 물을 흔들어 더 강한 벼 줄기를 유도하고, 비바람으로 쓰러지는 것에 더 저항성을 갖도록 한다(Zhang et al. 2013). 질소를 고정하는 조류의 상리공생 식물인 수생 양치식물 물개구리밥이 체계에 추가되면 비옥도가 유지되고 수확량이 개선된다. 중국 남부의 벼논양어 체계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달성했다(Guo and Bradshaw 1991; Xie et al. 2011). 농사철 동안 관개 수로와 물을 댄 논을 물고기가 차지하도록 하여, 그들이 없으면체계에서 상실될 양분을 포획활 수 있다. 특히 물고기가 조류를 먹고 조류가 물에서 양분으로 번성하는 체계에서더욱 그러하다. 물고기가 연중 머물 수 있는 둠벙을 파기 위하여 논 일부에서 벼의 생산을 못하더라도 생태적, 경제적 혜택이 더 크다. 


그림19.9 중국 난징 근처의 논에서 오리가 잡초를 먹어치우고 떨어진 씨앗을 찾아다닌다. 폐기물은 동물성 산물과 분뇨의 형태로 자원으로 전환되고 있다. 




물고기는 물고기와 작물, 가축을 결합시킨 어떤 체계에서 개발되어 온 통합된 작부체계의 농생태학적, 경제적으로 이로운 부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시아의 일부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관리되는 습지에서 물고기, 누에, 뽕나무, 돼지, 사탕수수, 채소와 풀을 통합하는 체계가 존재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농민들이 이미 통합된 작물-가축 체계에 양식 구성요소를 추가하고 있다. 가축 분뇨는 물고기가 소비하는 조류나 플랑크톤의 성장을 자국하는 데 사용된다. 그런 다음 물고기의 폐기물은 작물의 양분원으로 이용되고, 물고기 자체는 시장성 있는 산물이 된다. 


통합된 작물-양식 체계는 집약적인 산업 규모의 단일한 종을 이용한 양식업 체계와 명백한 대조를 이룬다(양식업에 대해선 특별 주제를 참조). 여러 측면에서 이들 체계는 소와 돼지, 가금류에 이용되는 가축 감금 체계와 크게 다르지 않다. 사료 -야생에서 동물들이 소비하는 것과 다른- 는 동물의 생산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재배되곤하고, 항생제와 성장촉진제가 사용되곤 하며, 먹이 찌꺼기와 배설물이 물을 오염시킨다. 





특별 주제: 양식업


인간이 소비하는 먹을거리의 대부분이 농업 생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면, 오랫동안 바다와 호수, 강 등에서 야생 물고기를 잡는 것은 모두 인간이 수렵채집인이었던 선사시대의 유물로 간주할 수 있다. 하지만 어업이 유물이라면, 매우 중요한 일이다. 2009년 전 세계적으로 사람들은 평균 18.5kg의 물고기를 먹었으며, 그 가운데 약 절반은 야생에서 잡았다(FAOSTAT 2013). 아프리카 중부, 남아시아, 오세아니아에 있는 여러 국가의 야생에서 잡은 물고기와 조개류는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의 1/3 이상을 차지한다. 그러므로 야생의 어장은 세계 먹을거리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야생의 어획은 전 세계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세계의 야생 물고기 총 어획량은 지난 20년 동안 비교적 안정적이었지만(FAO Fisheries and Aquaculture 2012), 이 수치는 여러 우려스러운 경향을 감추고 있다. 세계적으로 더욱 많은 어획이 과도하게 개발되고 있다고 분류되며, 대서양의 대구 같은 어류는 붕괴되었다. 전 세게적으로 어장의 절반 이상이 완전히 착취되었다고 간주되는데, 이는 다 잡아 버리기 직전이라는 걸 의미한다(FAO Fisheries and Aquaculture 2012). 내륙 수산업(주로 아시아)에서 잡힌 어획량의 증가만이 전 세계의 야생 물고기 포획량의 감소를 막았다. 


야생에서 잡은 물고기의 세계적 어획량은 해마다 거의 똑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어류의 소비가 세계적으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1961년 이후 물고기에서 유래된 먹을거리 공급량은 연평균 3.2% 증가했다. 이러한 증가는 이 시기 동안 평균 1인당 물고기 소비량을 거의 2배로 늘렸다(FAO Fisheries and Aquaculture 2012). 


바다와 호수, 강에서 잡힌 게 아니라면 추가된 모든 물고기는 어디에서 왔을까? 그것은 물고기의 "농사"인 양식업에서 생산되었다. 1980년대 이후 양식업은 매우 빠르게 성장하여, 물고기에 대한 수요와 야생 물고기의 공급 사이에 확장되던 틈을 메웠다. 인간의 소비를 위한 물고기 생산에 대해 양식업이 기여한 비율은 1980년 9%에서 2010년 47%로 증가했다(FAO Fisheries and Aquaculture 2012). 예상은 약간씩 다르지만, 전문가들은 2018년까지 전 세게에서 소비되는 물고기의 대부분이 물고기 농장에서 비롯될 것이라는 점에는 동의한다. 


양식업은 여러 형태로 수행된다. 기본적 요구사항은 물고기가 어떤 식으로든 갇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양식하는 물고기가 연못이나 수조에서 사육되면, 그들은 적절한 산소를 공급하고 폐기물을 씻어 없애는 데 필요함 담수의 공급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개"용수의 필요를 없애고자, 많은 양식업자들은 하천과 강어귀, 연안 지역, 또는 자연적으로 물이 흐르거나 조수의 움직임이 필요한 물의 움직임을 제공하는 외해에 위치한 우리에서 물고기를 사육한다. 중요한 요인은 물고기를 먹이는 방법이다. 여러 조개류와 잉어를 포함하는 일부 양식 종들은 물을 여과하거나거르며 물에서 조류와 플랑크톤, 또는 폐기물을 제거할 수 있는 여과 섭식 동물이기 때문에 인간 사육자가 먹이를 줄 필요가 없다. 어느 정도까지 여과 섭식 종들의 양식은 야생의 먹을거리와 양식하는 먹을거리 사이의 구분(양식업 생산의 약 30%를 차지)을 모호하게 만든다. 


그러나 대부분의 양식 종들은 외부의 사료 공급원을 필요로 한다. 주로 이런 먹이는 끓이고, 압착하고, 말리고, 어분으로 갈아 놓은 저가의 야생에서 잡은 물고기로 구성된다. 그러나 옥수수와 대두 및 기타 농산물이 점점양식업 사료의 일반적인 원료가 되고 있다. 다른 물고기를 다량으로 먹여야 하는 고가의 물고기 양식 -연어가 좋은 사례- 은 소와 돼지의 공장식 축산과 매우 흡사하다.  


전반적으로 양식업은 상당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람들이 먹을 수 있는 곡물을 섭취하고 야생의 어족자원을 고갈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 이외에도, 양식업은 많은 연안의 환경을 파괴하고 있다. 광대한 맹그로브 숲, 갯벌, 해수 소택지, 잘피밭이 양식장으로 전환되었다. 이들 양식장은 연안의 해역을 오염시키는 질소폐기물을 생산하고, 수질 정화, 침식과 폭풍-해일 보호를 비롯하여 해양 종들(때로는 양식장에서 사육되는 종들을 포함)의 다양성 양성소 등으로 이용되던 것들을 대체하며 자연계가 수행하던 환경 서비스를 더 이상 받을 수 없게 만든다. 더 나아가, 물고기 양식을 위해 야생의 치어를 포획하는 것은 해양의 개체군에 막대한 피해를 준다(Roberts 2012). 유전자 변형된 물고기가 탈출해 야생의 어류를 유전적으로 오염시키는 일을 포함하여 질병 발생과 기후변화의 혼란에 대한 높은 취약성 등 양식업을 둘러싼 많은 다른 우려가 있다.  


그 중대한 결점에도 불구하고, 양식업은 여기에 머물러 있다. 사실 양식업은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물고기는 영양가가 높고, 건강에 좋으며, 우리가 우리 먹을거리의 많은 비율을 어패류에 의지할 수만 있다면 증가하는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 육상의 농업생태계를 압박하는 걸 줄일 수 있다. 작은 연못이나 둠벙 같은 소규모 양식 체계는 특히 소농들이 접근할 수 있으며, 식량안보를 개선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양식업이 해결책의 일부가 되어야 하는 이유는 야생 어획의 미래가 매우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저인망 같은 남획과 서식지를 파괴하는 어로 활동은 여러 물고기 종들에게 단기간에 개체군을 회복할 수 없는 조건을 창출했다(Sale 2011). 바다의 높아지는 온도와 산도는 (조개류의 경우) 직접적으로, 그리고 산호초 같은 치어 서식지와 플랑크톤 기반의 해양 먹이사슬에 영향을 미쳐 물고기의 개체군에 충격을 줄 가능성이 있다. 많은 어획이 과도하게 개발되어 붕괴로 밀어붙이고 있으며, 물고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남획에 대한 압박이계속될 것이다. 


양식업이 야생의 어장이 감소되며 야기되는 문제를 바로잡고, 야생의 물고기 개체군과 수생 및 연안의 해양 서식지에 피해를 주지 않고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변해야 한다. 농업생태계가 생태학의 원리에 기초하여 기능하도록 만들어야 하는 것과 똑같은 방식으로, 양식 체계는 주변의 자연 생태계와 함께 보완되고 작동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지속가능한 양식업 체계의 많은 사례가 이미 존재한다. 기본 전략은 조류를 먹을 수 있는 여과 섭식 종들에 더 초점을 맞추고, 양식장의 규모와 지리적 범위를 제한하고, 어류와 갑각류를 더 낮은 밀도로사육하며, 육상과 습지의 농업생태계와 양식업을 통합하는 일 등을 포함한다(그림19.10)



그림19.10 멕시코 타바스코의 나카주카에서 틸라피아를 사육하는 양식 연못. 많은 강우량과 높은 수위의 이 지역에서, 양식업은 많은 양의 단백질을 생산하는 훌륭한 선택인 한편, 그와 함께 지역의 소규모 농민들에게 좋은 소득원을 제공한다. 작물은 연못을 건설하며 쌓은 인접한 토단에서 재배된다. 이는 지속가능한 양식업의좋은 사례이다.





통합된 농장에서 동물의 이로운 역할

자연계의 초식동물을 모방한 생태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가축은 그림19.11에 나오듯이 식물 바이오매스에 함유된 에너지와 물질을 농생태학적으로 유용한 세 가지 흐름으로 전환시킨다. 첫 번째 흐름인 동물 바이오매스는 먹을거리, 섬유, 거름, 원자재로서의 가치가 있다. 두 번째 흐름은 가축의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대표되는 생물체의 문화 에너지이다. 한때 인간이 하지 못하는 농장의 모든 작업을 수행하던 역축은 여러 유형의 가축 가운데 분명한 일꾼이지만, 양과 염소, 닭, 오리 및 기타 동물들도 식생과 잡초의 관리 및 해충 방제의 형태로 소중한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세 번째 흐름인 분뇨는 식물의 양분을 풍부하게 하고, 토양 미생물들에게 주요한 에너지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림19.11 가축의 전환자 역할. 동물은 식물 바이오매스를 유용한 에너지와 물질의 형태로 전환한다.




초식하는 동물의 "산물" -동물 바이오매스, 일, 분뇨- 과 초식 그 자체의 "과정"이 결합되어 농민에게 잠재적인 농장 내 혜택의 모음을 제공한다. 이러한 헤택들은 실제 농장 운영의 맥락에서 다음과 같이 개별적으로 논의된다. 혜택들은 상호연관되고 중복되지만, 개념적으로 분리함으로써 농업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개선하고 구매하는 외부의 투입재에 대한 의존을 줄이는 상리공생의 상승효과를 수립하려는 전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통합을 어떻게 결합시킬 수 있는지를 더 쉽게 볼 수 있다. 표19.1은 통합된 체계의 조건들을 통합되지 않은 작물에 기반한 체계와 비교함으로써 통합의 여러 혜택을 요약한 것이다. 





통합된 체계의 측면

생태학적 효과

농업에 대한 혜택

작물 돌려짓기에 방목하는 마초, 특히 여러해살이 종들을 포함시키기

더 높은 다양성

더 활발한 토양 미생물의 활동

토양 덮개의 유지 

뜸해지는 교란, 개척(잡초성) 종들이 장려되지 않음

자연적 해충 방제 대리자를 위한 서식지 제공

토양 유기물이 증가하도록 함

토양이 침식에 노출되지 않음

잡초의 압력이 감소

뒷그루의 성과 개선

살생물제의 필요성 제거 또는 감소

더 나은 토양의 보비력

똑같은 체게에서 생산된 사료로 시장에 파는 가축을 먹이기

순환형(과 대조적인 선형) 양분 흐름

양분 유출의 감소

구매하는 투입재에 대한 의존도 감소

사업 다각화

작물 폐기물을 생산적으로 활용할 기회

무기질 비료 대신 양분의 원천으로 가축의 분뇨를 활용하기

토양 구조의 개선

더 높은 토양 생물다양성과 미생물의 활동

더 나은 질소 순환

구매하는 투입재에 대한 의존도 감소
토양 유기물 함량의 향상
더 높은 작물 수확량 

식생과 잡초 관리를 위해 가축을 활용하기

자연계에서 초식동물의 역할 모방

살생물제의 필요성 제거 또는 감소

손으로 일할 필요의 감소

표19.1 작물 생산 농업생태계에 가축을 통합시키는 혜택




단백질이 풍부한 먹을거리와 기타 산물의 생산

동물 바이오매스는 자급과 시장 모두를 위한 먹을거리로 중요하다. 우유, 고기 또는 알의 형태로 식물 바이오매스보다 훨씬 많은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가축은 인간이 먹을 수 없는 식물 바이오매스의 유형 -작물 폐기물, 음식쓰레기, 주로 셀룰로오스가 함유된 식물의 조직- 에서 영양을 얻을 수 있으며, 인간이 먹을 수 있는 다양한 동물 바이오매스의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물론 동물 바이오매스는 경제적으로 가치 있는 기타 용도도 많다. 양은 양털을 생산하고, 물새는 깃털을 생산한다. 그리고 동물의 생명 마지막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뼈와 기타 부산물을 생산한다. 





작물 잔여물과 부산물의 활용

동물은 수확하고 남은 많은 양의 바이오매스만이 아니라 농산물 가공에서 나온 많은 부산물을 소비할 수 있기 때문에, 동물 사료로 그러한 바이오매스를 활용하는 일은 수확할 수 있는 동물성 산물을 생산하는 동시에 잠재적 폐기물을 순환할 수 있는 양분으로 전환시키는 중요한 방법이다. 옥수수와 조, 밀, 귀리, 보리의 짚은 전 세계의 많은 농업생태계에서 다양하게 조사료로 이용되는데, 짚의 생산지가 소비하는 동물과 최대한 가까이 있을 때 에너지 효율이 극대화된다. 동물을 가두고 먹이를 줄 수 있도록 짚을 베어 헛간으로 나를 수 있지만, 농지에 짚을 놔두고 동물이 직접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마 가장 효율적인 방법일 것이다. 


집약적 채소 생산이 너무 흔한 캘리포니아에서, 주스를 짜낸 방울 양배추, 토마토, 당근 같은 많은 작물이 동물의방목이나 마초를 보충하려고 사용하는 잔여물을 생산한다. 돼지는 개발도상국의 많은 소규모 농장 체계에서 음식쓰레기와 작물 폐기물의 훌륭한 전환자이다. 이러한 경우 동물은 실제로 채소 작물이 재배되는 농지에 있지 않기에, 동물이 생산한 분뇨는 작물의 농지로 돌려보내야 한다. 






분뇨와 퇴비로 토양에 양분을 돌려주기

식물은 토양에서 취한 양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식물 바이오매스와 소화, 분뇨로 퇴적에서 그들의 소비를 통하여그 양분이 다시 토양으로 순환된다. 농사 체계에 따라서 분뇨는 그것이 가장 필요한 농장의 장소에 수집되고, 퇴비화되며, 적용될 수 있다. 토양으로 분뇨를 되돌리는 일은 양분과 유기물 모두를 토양 생태계로 돌려주는 중요한 방식(8장 참조)일 뿐만 아니라, 농장 시설 외부에서 이러한 물질을 가져올 필요를 줄이는 방법이다. 


대규모 가축 감금 체계에서 생산된 막대한 양의 분뇨를 작부체계에 가져오려는 생태적, 경제적 과제는 1장에서 이미 논의되었다. 통합된 가축-작부체계 -마초가 농장에서 재배되고, 농지에서는 방목하는 목초와 작물을 돌려짓기하고, 작물 잔여물은 동물 사료에 포함시키는- 는 분뇨와 퇴비 관리의 효율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덴마크에서 수행된 연구(Dalgaard et al. 2002)는 수확을 위한 곡식 작물의 모음과 동물 사료를 위한 풀 및 콩과의 목초 종들을 활용하여 혼합된 낙농과 돼지 생산으로 전환한 농장은 수입된 사료에 더 의존하는 관행적 체계와 유기적 가축 시설과 비교하여, 동물의 사료를 모두 자급할 수 있는 한편 지역의 지하수 체계에 대한 질소 오염이 매누 낮은수준으로 감소되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토양 건강의 개선

건강한 토양의 주요 구성요소는 토양의 유기물이다. 많은 요인, 유기체들 및 상호작용이 경작 적성, 구조, 보수력, 압축과 침식에 대한 저항성에서 토양의 건강을 나타내는 것과 함께 유기물의 양과 질을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장기간의 경운은 토양 건강 지표의 저하를 수반하는 것과 함께 토양 유기물의 파괴로 이어진다. 그러나 돌려짓기하는 방목용 마초의 형태로 작부체계에 가축을 가져오면 경운의 필요성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양분과 에너지가 풍부한 유기물을 추가한다. 토양 미생물의 활동이 증가하고, 토양의 구조가 개선되며, 양분 보유 및 가용성이 좋아져 작물이 더 잘 자란다. 일부 지방, 특히 미국의 중서부 지역과 캐나다에서는 작부체계에 여러해살이 목초를 돌려짓기로 도입해, 토양을 경운의 부정적 영향으로부터 잠시 벗어나게 하고 토양 건강의 한도를 회복시키면서 환금성 곡식 작물에 대한 강조가 감소하는 걸 쉽게 정당화할 수 있다(Clark 2004). 






노동의 제공

그들이 소비하는 식물 바이오매스의 물질과 에너지에 힘입어 동물은 경운과 운송의 형태로 노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앞에서 논의했지만, 동물이 수행하는 노동은 생물체의 문화 에너지의 형태임에 주목하는 게 중요하다. 그에 따라 농민이 에너지 산출에 대한 에너지 투입 비율을 더 유리하게 달성하고, 구매하는 에너지 투입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20장 참조). 역축의 활용은 오늘날의 세계에서 시대착오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화석연료에서 유래된 에너지의 비용이 상승하면 점점 더 매력적인 선택이 될 것이다. 꿀벌은 다른 종류의 "노동"을 제공한다. 시장성 있는 산물로 벌꿀을 생산하기 위해 꿀벌이 농장에 유지되면 작물이나 과실수의 수분도 해준다.  





식생의 관리와 잡초의 방제

잡초 관리는 농민들이 작물 돌려짓기에 목초를 포함시키는 특히 중요한 이유인 것처럼 보인다. 캐나다에서 실시된 농민 설문조사에서, 접촉한 농민 235명 가운데 80% 이상이 목초 이후에 잡초의 압박이 감소했다고 보고한다(Entz et al. 1995). 많은 목초가 메귀리(Avena fatua L.), 캐나다 엉겅퀴(Cirsium arvense L.), 들갓(Sinapis arvensis L.), 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Beauv.) 같은 가장 문제가 되는 잡초 가운데 몇 가지를 잘 통제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방목하는 동물은 경관과 식생 관리를 위하여 다른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염소는 캘리포나이 연안의 여러 곳에서 옻나무(Toxicodendron diversilobum)를 방제하거나, 수확이 끝난 뒤의 작부체계에서 잡초를 억제하기 위해 이용된다. 양은 미국의 옥수수 지대의 일부에서 현대의 제초제가 출현하기 이전에 옥수수 같은 작물에서 잡초의 방제에 이용되어 왔다고 알려져 있으며, 닭은 가정의 텃밭과 소규모 작부체계에서 토양을 갈고, 해충을 관리하며, 잡초를 방제하는 능력으로 유명하다. 적절하게 관리되는 소와 양, 염소는 크리스마스 트리 묘목장과 방목지에서 재식림 과정에 바람직하지 않은 종들을 뜯어먹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명백히 대부분의 방목 가축은 목본 식생보다 초본 식생을 더 선호하여, 어린 나무의 농장이나 교란 이후에 숲을 재생시킬 때 풀의 압박을 우선적으로 제거하는 핵심 요인이 된다. 식생 관리를 위한 방목 가축의 활용은 이번 장의 앞부분에서 언급한 북아메리카 중부의 대초원과 세렝게티 평원 같은 곳에서 이루어지는 자연 방목의 영향과 매우 흡사하다. 






돌려짓기에서 뒷그루의 수확량 증가

작물 돌려짓기에 방목되는 목초를 포함시키는 여러 혜택 가운데 하나는 목초 이후에 심는 작물에서 얻을 수 있는더 높은 수확량이다. 이 효과는 방목되는 목초가 자라는 기간의 기타 긍정적 영향 덕분이다. 토양 교란이 줄어들고, 토양 유기물이 증가하며, 잡초가 방제되는 게 그것이다. 캐나다 농민의 설문조사는 목초 돌려짓기 이후에 심은 곡식 작물에서 더 높은 수확량을 보고했다(Entz et al. 1995). 






생태계 서비스의 제공

생태계의 관점에서, 농업 경관에 있는 동물은 먹을거리 생산을 넘어 여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전에 열거한 많은 혜택은 다양한 대규모 생태학적 과정에 기여한다. 


탄소 격리. 가축은 잠재적으로 대기의 이산화탄소 수준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하는 토양 유기탄소의 순 증가를 산출하는 것으로 알려진 방식 가운데 두 가지인 임축업 체계의 나무로, 또는 여러해살이 목초 작물로 토지에 다시 덮개를 덮는 일부이다. 

침식 방제. 방목되는 목초 돌려짓기의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동물은 토양침식 방제에 중요한 도구인 식생 덮개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된다. 

유역의 건강 유지. 침식 방제에 도움이 되는 똑같은 요인들이 9장에서 논의된 침투, 여과, 수분 보유의 유역 과정을 촉진하기도 한다. 

생물다양성 보호. 농업 경관에 동물 -특히 작은 가축과 지역에 적응된 종과 토종- 을 다시 통합시키는 건 농업생물다양성의 보존을 촉진한다. 게다가 동물이 기타 환경 서비스를 제공하고 농업에 대한 농장 외부의 부정적 충격을 줄인 결과, 동물은 생물다양성과 전체 경관을 향상시키고 보호한다. 





통합의 사회적, 경제적 혜택

지금까지 우리는 혼합된 가축-작물 체계의 생태학적 혜택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왔다. 많은 다른 사례에서 보았듯이, 생태학적 혜택이 있는 농법은 경제적, 사회적 혜택도 가지곤 하며, 가축-작물 통합이 좋은 사례이다. 물론 앞서 언급한 점에 많은 경제적, 사회적 혜택이 함축되어 있다. 작물 수확량의 증가, 토양 건강의 개선, 값비싸게 구매하는 투입재의 감소는 모두 농민의 순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두 가지 통합의 사회경제적 혜택은 따로 논의할 만하다. 





사업의 다각화와 경제적 취약성 감소

동물과 작물이 농장에서 함께 길러지는 원래의 이유 가운데 하나는 이러한 혼합이 생산되는 먹을거리의 유형과 농산물의 다양성을 높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다각화는 간단한 경제 논리를 가졌다. 더 많은 사업들 사이로 실패의 위험을 분산시킴으로써 경제 보장을 높이는 것이다. 이는 오늘날 세계의 대부분의 지역에서 오래전 사라진 자급 상황에 기반한 것이긴 하지만, 똑같은 논리가 농상품으로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맥락에서 여전히 적용된다. 작물 이외에 동물을 사육하면 농민은 알, 우유, 양털, 벌꿀, 비단, 양고기나 소고기 등의 시장성 있는 산물을 추가로 얻을 수 있다. 지역의 시장 조건에 따라, 이들 동물에 기반한 사업은 금적적 가치가 있는 소득 흐름 및 흉작과 시장의 변동에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Schierea et al. 2002). 


또한 통합된 농장을 기반으로 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은 지역이나 지방별 마케팅에 이상적인 경우가 많다. 지역의 상점과 식당, 농민장터에서 산물을 판매하고, 협동조합과 지역사회 지원 농업단체를 통하는 것으로 유통업자와 도매업자, 운송업자, 중개업자에게 흐르던 돈이 농민에게 돌아간다. 그러한 지역화된 먹을거리 연결망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25장에서 더 상세히 논의할 것이다. 






개발도상국의 빈곤 완화

혼합된 작물-가축 체계는 개발도상국의 높은 유아 사망률, 만성적 기아, 식량불안, 자원 파괴 및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발생하는 높은 사회적 비용의 근본 원인인 빈곤을 완화시키는 데 이상적이다. 통합된 작물-가축 체계는 소규모로 수익성 있게 운영되고, 다양한 소득 창출 활동을 포함하고, 농장 외부의 투입재를 거의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적은 자본 투자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그것은 개발도상국의 많은 사람들에게 더 큰 경제 보장을 창출하는 효과적이고 현실적인 방법이다(LEISA 2005)(그림19.12).


그림19.12 소와 코코넛 야자를 통합시킨 통가의 혼농임업 체계. 야자나무는 코코넛 열매, 코프라, 건설자재를 제공하고, 소는 고기와 우유를 제공한다. 농업과 축산, 임업을 결합시키는 이와 같은 체계는 특히 개발도상국의 소농들에게 적합하다. (사진 Molly Wilson)





체계 자체의 동물 부분은 빈곤한 농민에게는 상당한 경제적 가치를 나타낸다. 가축은 살아 있는 은행이다. 동물은 자본의 창고이자 미래의 생산성에 대한 투자이며, 작물 생산의 위험에 대한 보험의 역할을 한다. 단백질과 칼로리가 부족한 식사를 하는 경향이 있는 곳에서 가축은 단백질이 풍부한 먹을거리를 공급한다. 또한 여성들은 동물의 축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곤 하기 때문에, 가축을 포함시킨 농업 체계는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양성평등을 촉진할 수 있다.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혼합된 작물-가축 체계는 이미 농촌 지역에서 주요한 경제적 활동이지만 이들 체계가 잠재적인 상승효과를 모두 활용하지 않고 비효율적으로 운영된 결과, 경제적 수익을 위한 잠재력을 완전히 실현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전형적인 소농의 농업생태계를 구조화하는 몇 가지 다른 대안 양식이 부족 농민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린 연구가 행해진 인도 차티스가르주의 사례가 있다(Ramrao et al. 2005). 모든 경우에, 대안 체계는 동물 구성요소의 다양화와 증가를 수반하고 체계의 모든 구성요소의 통합을 더 긴밀하게 했다.  


표19.2는 세 가지 중요한 특성의 측면에서 혼합된 작물-가축 체계, 방목 체계, 산업형 감금 체계를 비교한다. 그것은 작물-가축 통합과 생태학적 특징, 사회경제적 공평함을 달성할 가능성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를 입증한다. 




식물-동물의 통합 정도

외부 투입재의 필요

사회적 공평의 가능성

혼합된 작물-가축 체계

높음

낮음, 부분적으로 닫힌 체계

빈곤을 완화하고, 위험을 감소시키고, 양성평등을 이룰 높은 가능성

광범위한 방목 체계

높음

낮음, 부분적으로 닫힌 체계

가변적이고, 규모에 따라 다름

산업형 감금 체계

낮음

높음, 개방된 체계

낮음

표19.2 생태적, 사회적 측면에서 세 가지 가축 생산 체계의 비교 

 




가축과 먹을거리 체계의 지속가능성


앞의 절에서 분명히 입증했듯이, 가축과 작물 생산을 통합하는 일은 농장과 농민, 개발도상국, 농업 경관, 환경 전반에 광범위한 혜택을 가져온다. 그것은 현행 농업이 생태적, 사회적 체계의 토대를 훼손하고 있는 많은 경향을 뒤집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작물-가축 통합을 증가시키는 일은 세계의 먹을거리 체계를 지속가능성 쪽으로 더 이동시키는 핵심 요소이다. 하지만 그렇게 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변화의 기세가 다른 방향에 있기에 큰 과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과제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우린 전체 먹을거리 체계의 맥락에서 전반적으로 가축 생산을 살펴보아야한다. 이는 우리를 가축과 작물의 농장 수준의 통합을 넘어서는 문제로 이끈다. 이들 문제에 대해 자세히 고민하는 것은 이 장의 의도는 아니지만, 여기에서 간략히 언급하며 6부에서 더욱 논의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더 지속가능한 동물성 단백질 경제의 요소들

세계의 먹을거리 체계에서 동물의 역할에 대한 철저한 조사는 생산부터 소비까지 모든 수준에서 심각한 문제를 발견하게 된다. 가축은 에너지를 낭비하고 생태적으로 피해를 주는 방식으로 사육된다. 그들로부터 유래된 산물은 먼 거리를 이동시킨 뒤에만 소비자에게 이른다. 소비자 쪽에서 이들 산물에 대한 수요가 높아서 전체 체계를 추동한다. 더 지속가능한 동물성 단백질 경제로 향하기 위해서는 생산, 유통, 소비라는 세 가지 수준에서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 



생산

이 장에서는 통합된 농사 체계에서 고기와 우유, 달걀을 생산하는 것이 전문화되고, 단일한 목적의 산업형 체계에서 똑같은 산물을 생산하는 것보다 더 지속가능하다는 발상을 지지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인간의 식단에 포함된 모든 동물성 단백질이 그러한 체계에서 비롯되기를 기대하는 건 비현실적이다. 그러므로 동물성 단백질의 더 지속가능한 생산을 위해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두 가지 원칙을 언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에너지로 말하자면, 동물들은 식물성 먹이를 동물성 단백질로 전화시키는 효율성이 서로 다르다. 닭고기, 달걀, 우유를 생산하는 일은 식물 바이오매스를 동물성 단백질로 전환시키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 가운데 세 가지이다. 그러므로 지속가능성은 닭고기, 달걀, 우유 쪽으로 동물 생산을 초점을 이동시키고 소고기의 생산에서 멀어지게 하는 데 달려 있다. 

•소와 젖소에게 가공된 곡물을 먹이는 것과 인간이 먹을 수 없는 식물 바이오매스를 먹이는 것 사이에는 커다란차이가 있다. 전자는 경작할 수 있는 토지의 사용이 매우 비효율적이고, 훨씬 많은 화석연료 보조금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에서 고기나 젖의 생산을 위해 활용되는 모든 반추동물은 방목될 것이다.이와 비슷하게 모든 돼지는 음식쓰레기와 작물 폐기물을 먹이게 될 것이다. 



소비

공장식 사육시설의 성장, 가축과 작물 생산의 전반적인 붕괴는 전 세계적으로 고기와 기타 동물성 산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산업국의 사람들은 오늘날 전례없이 많은 고기를 먹고 있다. 그와 동시에 개발도상국의 사람들은 산업국의 막대한 육류 소비를 따라잡으려 노력하고 있다. 


이 문제를 다루는 것은 이 장의 범위를 벗어나지만, 우린 더 많은 육류를 소비하려는 경향이 더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를 만드는 일의 가장 큰 장벽일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그러므로 1인당 육류  소비를 줄여야 한다는 데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그와 함께 우리가 먹는 육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생산되어야 한다. 이는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덜 먹고, 가금류, 우유, 달걀에 더 의존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것은 공장식 사육시설에서 사육된 동물들의 육류보다 통합된 목초 체계에서 키운 동물의 고기를 선호한다는 걸 뜻한다. 



유통

현재의 먹을거리 체계에서, 먹을거리 상품들은 대개 마지막으로 소비되기 전에 장거리를 운송되고, 다량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며 소비자가 쓰는 돈의 대부분이 농민 대신 가공업자와 유통업자, 중개업자, 도매업자 및 기타 "중간 상인"에게 전달된다. 이러한 유통 체계에 대한 대안 -더 지역화된 먹을거리 연결망- 이 더 강해지고 널리 보급되려면, 동물성 산물의 생산자와 그 산물의 소비자 사이의 지리적, 경제적 연결이 더 긴밀해져야 한다. 


통합된 농장에서 가축을 생산하는 건 이러한 변환에 매우 적합하다. 그러한 생산은 반드시 공장식 사육시설의 생산보다 규모가 더 작다. 대용량의 중앙집중형 공장식 사육시설 생산은 계란과 육류와 유제품을 전국과 세계 시장에까지 유통시키기 위해 설계된 대용향의 중앙집중형 가공과 유통 체계와 함께 이용된다. 이에 따라 개별적 통합된 농장에서 이루어지는 저용량의 지리적으로 분산된 생산은 더 지역적 가공과 유통 체계에 가장 알맞다(그림19.13)



그림19.13 캘리포니아 산타크루즈에 있는 농민장터에서 재배자가 판매하고 있는 지역에서 생산된 달걀. 달걀은 모든 동물성 산물 가운데 가장 에너지 효율이 높기 때문에, 소비자가 농민장터에서 그것을 구매하면 다양한 방식으로 더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를 지원하는 셈이다. 




농업의 전문화에 이의를 제기하기

그다지 멀지 않은 과거에 전문화란 개념은 농민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다. 통합과 사업 다각화가 농장 운영의 기본원리였다. 우리가 먹을거리 생산에 대한 이러한 접근법을 상실함에 따라, 우리의 지역사회는 그 지역의 먹을거리유통 체계와 가족농장의 대부분을 상실했으며, 소비자는 그들의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사람과 그중 많은 걸 담당한 동물들과의 유기적 연결을 상실했다. 대륙의 반대쪽에서 생산된 곡물을 먹이며 공장식 사육시설에 격리된 가축들의 사체와 알, 젖이 수백,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시장으로 보내지는 오늘날, 일반적인 소비자가 자신의 식탁에 놓인 스테이크를 보며 아무 생각이 들지 않는다는 건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이 책의 다른 곳에서 보았듯이, 농업 분야의 전문화는 지속가능한 생계를 제공하는 생태학적으로 건전한 방식으로 생산된 풍요롭고 건강한 먹을거리에 대한 사회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부적합하게 설계되었다. 가축과작물의 재통합은 더 많은 지역의 먹을거리 유통 연결망, 소규모의 가족이 운영하는 농장의 생존력, 구매하는 투입재에 별로 의존하지 않는 더욱 자립적이고 순환적인 농업생태계 쪽으로 가는 방향을 가리키면서 농업의 전문화와 경제력 집중으로 가려는 경향을 뒤집는 데 도움이 된다.  


가축과 작물 생산의 재통합은 실제로 관행농업의 지속가능하지 않은 것들의 심장을 때리는 일이다. 이러한 이유로, 시장과 연구기관 및 공공정책 분야에서 가축과 작물의 통합을 지원하는 일은 변화를 일으키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한 옹호는 통합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전문화와 집중의 막대한 사회적, 환경적 비용에 대한의식을 높인다. 








생각거리


1. 농사 체계로 동물의 재통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소비자가 식단에 어떤 변화를 주어야 하는가?


2. 채식주의와 통합된 가축-작물 생산 체계는 결합될 수 있는가?


3. 통합된 농사 체계의 분석을 위해 가장 적합한 지속가능성의 주요한 지표는 무엇인가?


4. 우리는 동물에 대한 윤리적 대우와 함께 생산 요구를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는가?








인터넷 자료


American Forage and Grassland Council 

http://www.afgc.org


American Grassfed Association 

http://www.americangrassfed.org


Center for Integrated Agricultural Systems,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http://www.cias.wisc.edu

Dedicated to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farming practices, farm profitability, the environment, and rural vitality. 


Eat Wild 

http://www.eatwild.com 

Information on pasture-based farming; lists farmers and ranchers who raise livestock on pasture and sell directly to consumers. 


Heifer International 

http://www.heifer.org 

A nonprofit organization that helps communities in rural areas around the world integrates appropriate livestock technology, self-relia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National Grazing Lands Coalition 

http://www.glci.org

Technical assistance for privately owned grazing lands and programs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grazing land resources. 


National Sustainable Agriculture Information Service, livestock section 

http://attra.ncat.org/attra-pub/livestock/livestock.html

A project of the National Center for Appropriate Technology (NCAT).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Silvopastoral Systems and Second Congress on Agroforestry and Livestock Production in Latin America 

http://www.fao.org/WAIRDOCS/LEAD/X6109E/x6109e00.htm

Research focusing on the theme of silvopastoral systems for restoration of degraded tropical pasture ecosystems.









읽을거리


Cheeke, P. R. 2003. Contemporary Issues in Animal Agriculture, 3rd edn. Interstate Publishers, Inc.: Danville, IL. 

Covers a wide range of ethical, environmental, and health issues related to animal agriculture.


de Haan, C., H. Steinfeld, and H. Blackburn. 1997. Livestock and the Environment: Finding a Balance. FAO/World Bank/USAID: Rome, Italy. 

An international assessment of the negative impacts of livestock production systems on the environment and an exploration on how to overcome them. 


Furuno, T. 2001. The Power of Duck. Tagari Publications: Sisters Creek, Tasmania, Victoria, Australia. 

A very readable and applicable example of how one animal in particular has played a critical role in sustainable agroecosystem design and management. 


Hauter, W. 2012. Foodopoly: The Battle Over the Future of Food and Farming in America. The New Press: New York. 

An insightful investigation into the control of food production by a handful of large corporations, with several chapters on how this is manifest in the meat industry. 


Hodgson, J. and A. W. Illius. 1996. The Ecology and Management of Grazing Systems.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A unique look at our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land resources used by grazing animals, combining perspectives from ecology, plant science, and animal science. 


Holecheck, J. L., R. D. Pieper, and C. H. Herbel. 2010. Range Management: Principles and Practices, 6th ed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The most up-to-date source of information on range management, with its strongest emphasis on the management of grazing itself. It also presents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highly relevant issues such as range animal behavior, economics, energy, and multiple-use environments. 


Little, D. C. and P. Edwards. 2003. Integrated Livestock–Fish Farming Systems. FAO: Rome, Italy. 

Describes the dynamic set of practices that constitutes integrated fish–livestock farming systems in Asia. 


Nierenberg, D. 2005. Happier Meals: Rethinking the Global Meat Industry. WorldWatch Paper 171. WorldWatch Institute: Washington, DC. 

A concise examination of the damaging effects of industrial animal agriculture, or factory farming, as well as proposals for alternative ways that farmers, processors, and consumers can help ensure that meat is made better for people, the environment, and the animals themselves.



728x90
728x90

유럽연합 법원에서 중요한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유전자 가위 등이라 불리는 유전자 편집 기술로 개발한 동식물은 기존의 유전자변형 생물체(GMO)와 같은 것이라는 판결입니다. 

이로써 유전자 편집 기술은 기존의 유전자변형 기술과 다른 것으로서, 그것과 마찬가지의 규제와 비판에서 자유로우며 그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동식물 품종을 개발해 인류의 이익에 이바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반발하겠네요. 그들이 어떤 반박을 내놓을지 궁금합니다. 



 에딘버러Edinburgh 대학 로슬린Roslin 연구소의 과학자들이 세계에서 가장 흔한 동물 질병에 면역이 생기도록 유전자 변형한 돼지이다.  사진: Murdo Macleod for the Guardian




최첨단 유전자 편집 기술로 만들어진 식물과 동물은 유전적으로 변형된 것으로 규제되어야 한다고 유럽연합 최고법원이 판결했다.  

획기적 판결은 무엇이 유전자변형 식품이고 무엇이 아닌지에 대한 유럽에서의 10년에 걸친 논쟁에 종지부를 찍어, 환경론자들에게는 승리를, 유럽의 생명공학 산업에는 큰 타격을 준다.

또한 오메가-3 어유가 증가된 유전자 편집 기름냉이 작물의 포장 시험을 시작하려고 합법적인 애매한 지역을 이용하던 영국의 과학자들에게 좌절을 안긴다.

그린피스의 대변인은 이 판결로 인해 영국 -및 벨기에와 스웨덴, 핀란드- 정부는 적절한 예방조치가 취해질 때까지 시험을 위한 허가를 철회해야 한다고 논평했다.

그 판결에서 유럽연합의 판사들은 이렇게 이야기했다. “돌연변이를 유발하여 획득한 유기체는 유전자변형 유기체(GMO)이다. … 그러한 유기체는 원칙적으로 유전자변형 유기체의 지령 범위 안에서 발생하며,(그 안에) 정해진 의무가 적용된다.”

법원은 새롭고 비관행적인 시험관내 돌연변이 유발 기술이 잠재적으로 건강에 위험을 지닌 제초제 저항성 식물을 생산하는 데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며 이 소송을 제기한 프랑스 농산물 무역연맹 콘페데라치욘 페이장Confédération Paysanne의 편을 들었다. 

지난주 Nature에 발표된 한 연구에 의하면, 유전자 편집기술인 Crispr-Cas9이 잠재적으로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결과”와 함께 예상보다 훨씬 큰 유전적 왜곡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한다. 

유전자 편집은 외부의 DNA를 삽입하지 않고, 바라지 않는 특성을 제거하기 위해 게놈 가닥을 잘라내 살아 있는 종의 게놈을 변경한다.   

미국의 생명공학 기업 Cibus는  정보법의 자유에 따라발표된 문서에 의하면,  시장에 제초제 저항성 ODM  유료종자 유채를 출시하기 위하여 이미 유럽연합의 의사결정 과정을 우회하고자 했다.

그러나 로담스테드Rothamsted 연구소에서 영국의 유전자가위 편집 식물의 현지시험을 이끈 Johnathan Napier 교수는 법원의 판결을 “진보가 아니라 후퇴”라며 비난했다.

그는 이야기했다. “이것은 매우 실망스러운 결과이며, 유럽의 혁신과 영향력, 과학적 진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것이다. 게놈이 편집된 유기체를 GMO 지침으로 분류하는 건 이 혁명적인 기술의 문을 닫아 버릴 수 있다.”

유기체의 세포가 복구될 때, 그들의 DNA는 어떤 방식으로든 재정렬된다. 예를 들어, 생명공학 업계는 작물이 가뭄 저항성 특성을 갖도록 안전하게 개발할 수 있고, 따라서 혁신과 일자리, 무역을 증진시킬 것이라 믿는다.   

다우, 듀폰, 몬산토 같은 기업을 대표하는 EuropaBio의  그린 디렉터 Beat Späth 씨는 이야기했다. “납세자와 산업계를 막론하고 수십억 유로가 게놈 편집의 연구와 개발에 들어갔다. 큰 위험은 이제 이 비용이 모두 유럽 농민들의 농산물로 옮겨가지 않을 것이란 점이다.”

로담스테드 연구소의 대변인은 “우리가 유전자 편집 기술에 얼마나 많은 돈을 썼는지 말할 수 없다”고 이야기했다. 

그린피스 유럽의 식량정책 디렉터 Franziska Achterberg 씨는 법원의 판결은 인간의 건강과 환경의 보호를 우선시하는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그녀는 “특히 유전자 편집이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적절한 안전조치 없이 새로운 유전자변형 생물체를 환경에 내보내는 건 불법이며 무책임하다. 유럽연합의 집행위원회와 정부는 이제 모든 새로운 유전자변형 생물체가 완전히 시험하여 라벨을 붙여야 하고, 어떤 현지시험이라도 GMO 규정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고 이야기했다.



https://www.theguardian.com/environment/2018/jul/25/gene-editing-is-gm-europes-highest-court-rules?CMP=share_btn_tw




728x90
728x90


환경과 인간의 건강, 동물의 복지에 미치는 커다란 영향에 대한 우려와 함께, 육류 산업의 미래는 어떠할지  씨에게 물었다. 




육류의 경제학은 무엇인가?

식량과 농업은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 부문 가운데 하나이다. 우린 더 이상 인구의 76%가 농업에 종사하던 14세기에 살지 않는다. 하지만 농업은 여전히 전 세계 모든 노동자의 26% 이상을 고용하고 있다. 그리고 거기에는 육류 공급망에 종사하는 사람들 -도살업자, 포장업자, 유통업자, 요리사- 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2016년 세계의 육류 생산은 3억1700만 메트릭 톤으로 추산되며,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육류 산업의 가치를 나타내는 수치는 900억 달러에서 7410억 달러까지 매우 다양하다. 

영국에서 농업에 직접 고영된 사람의 숫자는 2% 미만이지만, 먹을거리 사슬에는 현재 농업 관련 기업, 유통업, 방송연예 부문까지 포함된다. 영국의 환경식품농림부에 의하면, 2014년 식품과 음료 제조업 부문이 경제에 270억 파운드, 고용에 380만 명을 기여했다.

육류 생산이 여기에 하는 기여를 -특히 세계적으로- 분리하기란 쉽지 않다. UN 식량농업기구는 가축은 전 세계 농업 생산물의 가치 가운데 약 40%를 차지하고 13억 인구의 생계와 식량안보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동물복지란 무엇인가?

영국에서는 약간 불쾌한 이름인 “Humanity Dick” (실제 이름은 Richard Martin)으로 가축에게 잔인하고 온당치 않은 대우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이 1822년에 통과되어 동물복지를 규제해 왔다.

그러나 동물복지와 동물권이란 발상은 여전히 논란거리이다. 1975년 철학자 피터 싱어Peter Singer가  <Animal Liberation>에서 인간과 동물 사이의 경계가 완전히 임의적이라고 주장했다. RSPCA (19세기에 설립됨) 같은 운동단체에서는 오랫동안 동물복지의 향상을 위해 노력해 왔지만, 싱어의 책이 현대 동물권 운동을 시작한 건 틀림없다. 

여러 운동과 압력의 결과 많은 규제가 생겼다. 1998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농업을 목적으로 하는 모든 동물에게 “다섯 가지 자유”를 주어야 한다고 명시한  지시문을 통과시켰다.  굶주림과 갈증으로부터의 자유, 불쾌함으로부터의 자유, 고통으로부터의 자유, 부상과 질병으로부터의 자유, 정상적인 행동을 표현할 자유가 그것이다.  2009년 리스본 조약에서는 동물을 자각이 있는 존재로 인정했다. 

2012년 국제 과학자 단체가 의식에 관한 캠브리지 선언(Cambridge Declaration on Consciousnes)에 서명하기 위해(스티븐 호킹이 참석함) 캠브리지 대학에 모였다.  이 선언은 which declared that “증거력이 인간만 의식을 생성하는 신경학의 기질을 소유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모든 포유류와 조류 및 문어를 포함한 다른 여러 생물 등을 포함한 인간이 아닌 동물도 이러한 신경학의 기질을 소유한다”고 선언했다.

세계적으로 동물의 건강을 위한 세계 기구인 OIE에는 여러 표준이 마련되어 있다.



문화적, 사회적 중요성은 무엇인가?


요리된 육류는 호모 사피엔스를 특징짓는 커다란 두뇌에 부분적인 원인이 되었을 것이며 인류를 우리가 현재 있는 곳에 있도록 했을 것이다. 요리는 고기(그리고 채소)의 열량을 날것보다 소화하여 흡수시키기 쉽게 만들었다.

그리고 특정 동물의 가축화 –그와 함께 야생 곡식과 채소의 작물화–는 “비옥한 초생달”지역에서 인류 농경사의 시작을 알렸다. 인류의 역사를 통틀어 육류의 사냥과 사육은 우리의 설화와 신화, 법률과 종교 체계의 일부가 되었다. 방탕한 아들을 위한 살찐 송아지, 잉글랜드의 왕족이 아닌 누구도 사냥할 수 없는 지역을 만든 중세의 숲 법률, 이드 알 아드하의 시작을 알리는 희생양, 아스테릭스와 오벨릭스가 모험을 마칠 때마다 구워 먹은 멧돼지 등이 그러하다. 

그런데 육류는 여전히 인간의 삶에 중요한가? 어떤 사람들은 우리가 고기를 먹어 왔기에 늘 그래야 하는 건 아니라고 주장한다. 우리에게 필요한 모든 식이 영양분과 단백질을 다른 데에게 얻을 수 있다면, 그럴까?



아일랜드에서 크리스마스용으로 사육되는 칠면조. Photograph: Clodagh Kilcoyne/Reuters





육류 생산은 어떻게 바뀌었는가?



밀과 닭, 돼지가 뒤섞인 옛날식 비전도 여전히 존재한다. 예를 들어 미국의 농장 가운데 절반 이상이 2012년 1만 달러 미만의 매출을 올릴 만큼 소규모였다. 그러나 20세기는 어떻게 투입을 최소화하면서 산출은 최대화하느냐는 산업혁명의 원리가 농업에 적용되는 걸 보여주었다. 


그 결과 닭이 처음으로, 다음은 돼지,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소를 대상으로 하는 공장식 축산이 생겼다. 생산자들은 동물들을 실내에 가두어 곡물을 먹일 수 있으며, 그곳에서 훨씬 더 빨리 자라고 살이 찔 수 있다는 걸 발견했다. 1925년 이후, 미국산 닭의 출하일수는 112일에서 48일로 줄어든 반면, 그 무게는 1.13kg에서 2.81kg으로 급증했다. 

돼지와 소의 사육이 그 뒤를 이었다. 암퇘지는 임신하고 4주 동안 분만틀에 가두어, 혹시나 새끼를 깔고 뭉개는 일을 막는다. 산업용으로 사육하는 돼지는 실내의 울타리 안에서 그들의 삶을 보낸다. 소 사육도 현재 풀밭이나 외양간이 없는 사육장에서 삶의 마지막 몇 달 동안 살을 찌우게 하며 그와 비슷하게 능률화되고 있다.



육류는 인간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산업형 육류 생산은 환경 문제 이외에도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여러 우려가 있다. 살모넬라와 캄필로박터 같은 인간에게 전염될 수 있는 박테리아 감염은 대규모 농장을 통해 확산될 수 있다. 이러한 병원균이 농장과 도축장 주변의 환경으로 침투하여 인간이 질병에 걸리게 만드는 일이 현대의 주요한 걱정거리이다. 

동물의 항생제 사용과 인간의 항생제 내성 문제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논란인데, 과학자와 정치인은 이것이 문제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인정한다. 그 양은 막대하다. 미국에서 사용되는 모든 항생제의 80%가 농장 동물에게 쓰인다. 영국의 독립된 항균제 저항성 검토 위원장 Jim O’Neill 씨가 실행 권고안을 발표했을 때, 농업 부문에서 불필요한 항생제의 사용을 줄이는 일이 그 세 번째 항목이었다. 



현행 농업 모델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여러 가지 농업 모델과 유형의 다양한 영향을 분리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 여러 측정은 경작지 대 가축, 또는 산업형 대 소농을 구별하지 않고 농업의 영향을 조사한다. 그러나 다음의 정보는 문제의 규모를 가리키기 시작한다. 



양분이 풍부한 농장에서 유실된 결과 여름철 프랑스의 강에서 부영양화가 일어났다. Photograph: Alamy Stock Photo




  • 물 사용

육류의 물 발자국에 대한 2010년의 유력한 연구에 의하면, 채소는 1kg당 약 322리터, 과일은 962리터의 발자국을 가지는 반면 육류는 훨씬 더 목이 마르다. 닭고기는 1kg당 4325리터, 돼지고기는 5998리터, 양과 염소고기는 8763리터, 소고기는 1만5415리터로 엄청나다. 일부 비육류 농산물도 꽤 많은 물이 필요하다. 견과류는 1kg에 9063리터였다.

이러한 수치를 맥락에 넣으면: 지구는 담수의 저수지와 대수층이 마르면서 늘어나고 있는 물 제약에 직면해 있다. 어떤 사람은 농업이 오늘날 세계에서 사용하는 물의 약 70%를 차지한다고 추산했지만, 2013년의 연구에서는 담수의 92%까지 사용하는데 그 가운데 1/3은 동물성 산물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 수질 오염

농장은 여러 방식으로 수질 오염에 기여한다. 그 가운데 일부는 경작과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다른 일부는 가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세계의 곡물 가운데 1/3이 동물에게 공급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FAO는 작물 생산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축 부문이 수질에“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믿는다. 


수질 오염의 유형: 양분(비료와 축산 분뇨의 질소와 인), 농약, 침전물, 유기물(식물체와 가축 분뇨 같은 산소를 요구하는 물질), 병원균(대장균 등), 중금속(셀레늄 등), 새로 출현한 오염물질(약품 잔류물, 호르몬, 사료 첨가물). 

그 영향은 광범위하다. 부영양화는 양분과 유기물(동물의 분뇨, 남은 사료와 작물 잔여물 등)이 과다하여 발생한다. 그로 인해 조류와 식물이 지나치게 성장하며 물속의 산소를 모두 소모해 다른 종을 희생시킨다. 2015년의 검토 결과, 이미 415곳의 연안이 이러한 문제를 안고 있었다. 농약 오염은 농경지에서 풀과 곤충을 죽일 수 있으며, 먹이사슬이 미치는 모든 곳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과학자들은 동물에게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과 인간의 항생제 내성이 증가하는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완전한 자료를 아직은 얻지 못했지만, 항생제로 인해 수질이 오염된다(동물을 거쳐 물로 간 이후에도 계속해서 활발하게 살 수 있음)는 건 틀림이 없다. 


  • 토지 사용과 산림파괴

가축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토지를 이용한다고 FAO는 말한다. “방목지와 경작지를 포함한 모든 농경지의 약 80%가 사료 생산에 전념한다. 사료 작물은 전체 농경지의 1/3에서 재배되는 한편, 목초지가 차지하는 전체 토지 면적은 얼음이 얼지 않는 육지 표면의 26%에 맞먹는다.”


  • 기후변화

농장에서 수저까지 육류 산업이 배출하는 온실가스(GHG)의 양을 정확히 산출하기란 어렵다. 탄소 배출량은 그런 식으로 전체 유통망을 따라 공식적으로 계산되지 않기에, 많은 복잡한 연구와 계산이 그 격차를 보완하려고 시도해 왔다. 

UN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에 의하면, 농업과 임업, 기타 토지의 이용은 온실가스의 24%를 차지한다. 그 가운데 동물 사육의 역할을 집어내려는 시도에서는 6-32%라는 엄청난 차이로 나타났다. Meat Atlas에 의하면 그 차이는“측정 기준에 달려 있다.”가축만인지, 아니면 다른 많은 요소를 포함하느냐? 서로 다른 양식의 농업은 배출 수준도 다르다: 이는 조방한 농업 대 집약적 농업, 그리고 재생 농업-탄소를 격리하면서 기술과 기술을 결합해 토양 및 생물다양성을 재생하는 걸 목표로 하는 모델- 에 관한 활발한 토론을 일으켰다.

이 부문을 장악하고 있는 대기업은 어떠한가? 2017년의 의의가 큰 연구에서는 세 육류 기업 JBS, 카길, 타이슨이 프랑스보다 더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했음을 밝혔다. 



브라질 아마존의 소 무리. Photograph: Rodrigo Baleia





다음은 무엇인가?


어떤 사람들은 유일한 건강한 방식으로 채식주의를 주장한다. 예를 들어 지난해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모든 미국인이 쇠고기를 콩으로 대체하면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동의한 온실가스 목표를 달성하는 데 가까워질 것이라 한다.  

그러나 몇 가지 대안이 있다.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섭취하는 양을 줄이는 걸 많은 환경단체에서 지지한다. 하지만 이런 육류는 어디에서 구하는가? 유기농 운동은 알프레드 하워드 경의 선구적인 업적에 기반을 하고 있다. 그건 상대적으로 여전히 적다. 유럽에서 5.7%의 농경지만 유기적으로 관리된다. 하지만 영향력이 있다. 생명역동농법과 퍼머컬쳐 같은 다른 농업 모델도 있다. 최근에는 일부 혁신가들이 혼농임업과 산지축산, 보존농업 또는 재생농업의 형태로 환경의 원리와 기술을 융합해 탄소 격리, 높은 생물다양성, 우수한 동물복지를 모두 포함시킨 농법을 창안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관리된 방목(소들을 이동시키며 방목하는 걸 포함하는 기술)이 탄소를 격리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한다. 그러나 유기농과 생명역동 육류에는 인증표시가 있지만 재생농법은 아직 그렇지 않다. 그래서 농부를 직접 알아보아야 한다. 


읽을거리

The UN Food and Agricultural Organisation has a huge collection of data, and has also published some crucial reports on this issue, including the groundbreaking Livestock’s long shadow.

The Meat Atlas.

Some institutions doing interesting research include SustainThe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Trade PolicyBrighter GreenSustainable Food TrustIPES-food

Farming bodies the National Farmers’ Union, the Farm Bureau, Copa-Cogeca.



출처; https://www.theguardian.com/news/2018/may/07/true-cost-of-eating-meat-environment-health-animal-welfare?CMP=share_btn_tw

728x90
728x90
세계동물보건기구에서 2010-2015년에 회원국들에게 제출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최초로 작성했다는 <가축 항생제 사용 연간보고서>입니다. 필요하신 분 참고하세요.


728x90
728x90



이 지도는 예전에 번역해서 올리기도 한 나쇼날지오그라픽에 나오는 자료 가운데 일부이다.

이걸 보면 현재 세계의 농지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초록색이 식량을 재배하는 곳, 그리고 보라색은 동물의 사료나 생물연료를 재배하는 곳이다.

이에 따르면 현재 세계의 농지 가운데 55%는 식량을, 36%는 동물의 사료를, 그리고 9%는 생물연료를 재배하는 데 쓰이고 있다.


현재 인구는 70여 억 명. 앞으로 이 인구가 20억이나 더 불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그러면, 그 늘어나는 인구는 어디에서 생산된 어떤 식량을 먹고 살아가게 될 것인가? 

동물의 사료를 재배하는 데 쓰이는 농지를 식량을 생산하는 곳으로 전환할 수 있을 것인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육류에 대한 열망을 줄여나갈 수 있을 것인가, 아니면 그를 대체할 어떠한 수단을 강구할 수 있겠는가?


이 지도 한 장을 놓고 참으로 어려운 문제를 생각해 볼 수 있다.

728x90

'농담 > 농업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로 보는 미국 농업  (0) 2015.01.14
가족이 저녁을 함께 먹자?  (0) 2015.01.14
2015년 세계 비료산업 전망  (0) 2015.01.01
한국 농업 도약의 골든타임  (0) 2014.11.20
인터스텔라는 농업 영화이다  (0) 2014.11.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