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요즘 동남아와 아프리카에서 핫한 벼농사 방법인 SRI 농법이 있습니다. 영어로는 "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라 하여, 한국어로 옮기면 벼 강화 체계라고 하면 되겠죠?

이 농법은 1983년 프랑스의 예수회 신부인 앙리 뭐시기라는 사람이 개발해 마다가스카르에서 시험하여 크게 성공을 거둔 방법이지요. 핵심은 두 잎인 어린모를, 한 포기씩, 기존보다 듬성듬성 최소 25x25cm 이상의 간격으로 심어 이들이 마음껏 가지를 치고 뿌리를 뻗을 공간을 확보해주고, 논에 대는 물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대신, 풀을 제거하는 노동력이 좀 들어가는 그런 방식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할 점은 바로 물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인다는 점입니다. 물 관리법이 기존 벼농사와 다릅니다. 지금은 논에 물을 충분히 받아서 어느 정도 자란 모를 심는 방식이지요. 과거엔 이와 달리 물을 확보하기가 더 어려웠으니 논에 최대한 물을 받아서 키가 큰 다 자란모를 꽂는 방식이었구요. 이건 아주 어린모를 심기 때문에 논에 물을 많이 받을 수 없습니다. 고작 1-2cm 정도 겨우 찰랑찰랑할 정도만 받아서 모내기를 한답니다. 그러고는 그냥 말려요. 논에 물을 더 댈 필요도 없이 논이 마를 때까지 놔둡니다. 그렇게 논이 마르면 다시 물을 살짝 1-2cm만 댑니다. 단, 벼꽃이 피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물을 유지해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삭이 패면 또 물을 살짝 댔다가 말렸다가를 반복하다가, 수확하기 2-3주 전에는 아예 물을 떼어 버립니다. 그러니 기존에 가능하면 계속 물을 담아놓는 방식에 비해, 그리고 그 담는 양에서 얼마나 많은 차이가 나겠습니까. 물을 절약하는 벼농사 방식일 수밖에요. 허나, 물을 받는 가장 큰 목적 중 하나가 제초 문제 아니겠습니까? 그건 또 다른 방법을 강구해야 할 수밖에 없겠네요.

아무튼 가뭄이 이제 주기적으로 더욱 강하게 찾아올 것이라 예견된 이 마당에, 농사방법을 좀 다르게 해봐야 할 필요가 있지 않나 하는 생각에 잘 알지도 못하면서 떠들어 보았습니다.

사진은 SRI 농법을 실천하는 곳에서 촬영한 모내기 모습이랍니다. 물을 받은 건지 아닌지 모르겠죠?






728x90
728x90
사회 시간에 배웠듯이 제주는 화산섬이라 물이 풍족한 곳이 아니다. 그런 곳에서 요즘 지하수를 활용해 중산간에서도 농사를 짓고 그런다. 그런데 최근 지하수를 너무 남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와 지적이 계속 나오고 있다.

기사를 보니 한달에 5천원만 내면 마음껏 써도 된다고 한다. 지하수 남용 문제에는 골프장과 생수업체 들도 자유롭지 못하겠지만, 농업 부문도 떳떳하지는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더 나은 방법은 없을까? 제주도민들이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야 할 일이다.


728x90
728x90


how-much-water-is-needed-to-feed-the-world-low.pdf


how-much-water-is-needed-to-feed-the-world-low.pdf
0.93MB
728x90
728x90

http://www.agriculturesnetwork.org/resources/pdfs/learning-agricultures-module-2-full


This module discusses different aspects of soil and water systems, and reflects on soil and water sustainability issues for small-scale farming in particular. Certain principles about soil and water systems are common to all farms – such as how nutrient cycles and soil food webs work. Similarly, how water enters the farm and the dynamics of soil moisture follow the same principles everywhere. At the same time, there is a huge variety of soil types and climates around the world. A farmer who lives in a floodplain in Bangladesh needs a different type of management option to one living in dry regions like the Sahel or in the Middle East. While we cannot represent all different situations, this module covers a variety of cases of small-scale farming in different regions for students to develop insights into soil and water sustainability.

Module 2 addresses the question of how soil and water management practices can be improved on farms. How can soil and water management be improved in the wider context of farmers? What kinds of policies can support more sustainable management of land, soil and water?

Through a variety of educational resources, including games and exercises, articles, videos, photos and ideas for field visits, educators can inspire their students to reflect more critically about soil and water sustainability issues around the world as well as in their own region.

learning-module2-preview.pdf
0.6MB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을 배우자 4 -가축  (0) 2013.01.30
농업을 배우자 3 -작부체계  (0) 2013.01.30
농업을 배우자 1 -지속가능한 소농  (0) 2013.01.30
먹노린재  (0) 2013.01.27
일제강점기 쌀 생산량과 인구  (0) 2013.01.25
728x90

FAO는 2025년까지 1800만 명이 물부족 상태로 살 것이라고 추정한다.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수도와 하수, 특히 식량생산을 위한 담수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할 것이다. 농업은 이용할 수 있는 담수 가운데 엄청난 양인 70%를 사용한다 –전 세계에 심각한 물 공급 문제를 만들고 있다.





물 공급은 커지고 있는 과제인데, 세계 물의 날 같은 계획은 개발도상국이 직면한 심각하고 시급한 문제라며 우리의 주의를 끌지만 유럽 역시 문제가 되기는 마찬가지다. 남용과 비효율성으로 유럽은 개발도상국의 선례를 만드는 데 실패했다.

대부분의 유럽인은 당연히 담수를 공급받는다(유럽인의 2%만이 담수를 공급받지 못하는 데 비하여 아시아인은 65%, 아프리카인은 27%이다) 그러나 최근 물 부족 사태는 유럽의 커지고 있는 물 공급 문제에서 나타났다. 


고갈

10만 명 이상의 유럽 도시 가운데 60%는 자연적으로 보충되는 것보다  더 빠른 비율로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명백한 물 부족 사태가 있었다. 2008년 바르셀로나는 지역의 물 저장에 실패하여 도시로 물을 운송할 정도였고, 영국의 주요 수문학자들은 미래의 물 부족이 식량생산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너무 적은 물을 쓰게 되는 일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자원

가뭄과 물 부족은 지난 30년 동안 유럽 경제에 1000억 유로의 비용을 발생시켰고 개발도상국에서 물 부족이 삶이냐 죽음이냐의 현실로 이어지는 것과 같지는 않지만 유럽인에게도 무시할 수 없는 문제이다. 재정적 우려 외에, 자신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데 실패한 유럽은 그 손실을 보상받기 위하여 개발도상국의 토지와 기타 자원을 수탈하는 결과를 낳는다.


소비

우리는 하루에  기본적인 건강과 위생을 위한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20~50리터의 깨끗한 물이 필요하다; 이는 마시고 씻을 물만이 아니라, 식량을 기르는 데 필요한 물까지 포함한다. 



일상에서 필요한 물의 양을 계산할 때 흔히 농업용수 소비는 잊기 쉽지만, 농업은 담수의 가장 큰 소비자로서 실제로 약 70%의 모든 이용할 수 있는 담수가 농업에서 사용된다(pdf).


상승하는 수요

인구 증가로 2050년까지 담수에 대한 수요가 18% 상승할 가능성(개발도상국에서 40%)이 있고, 식량생산에서 필요의 상승은 2030까지 개발도상국의 농업에서 관개 농지의 4000만 헥타르(추가적으로 20%)가 추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담수 추출의 15~35%는 지속가능하지 않다고 평가되기에 관개용수의 사용 증가는 우려의 원인이 된다. 


식량인가 식수인가?

모든 지구의 물 가운데 2.75%만이 ‘담수’이고, 이것의 대부분이 빙하이다;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담수는 지구의 물 가운데 0.7% 미만이다.

담수의 부족과 수요의 증가는 농업, 식량생산과 도시의 물 공급 사이의 경쟁이 심화됨을 의미한다. 우리의 물 수요는 물 부족을 악화시키고, 기후변화와 연결된 극단적 기상이변은 물 부족과 가뭄으로 관리하던 지역이 홍수가 나면서 물 관리 정책을 헛수고로 만든다.

기후변화가 물 관리에 대한 예측불가능한 요소로 추가되면서, 농업용수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물 부족을 최소화하고 w가뭄의 영향을 줄이는 핵심이 될 것이다  -반복하여 –현재 이용할 수 있는 담수의 70%를 농업에서 사용한다.


한 방울당 더 많은 작물

유엔 FAO는 ‘물 한 방울당 더 많은 작물’을 생산해야 한다는 생각을 추진해왔다 -빗물 의존 농사의 생산 효율성을 개선하고, 관개기술을 현대화하여 물 낭비를 줄인다. 농업 생산의 최대화는 담수 관리를 개선함으로 얻는 중요한 핵심이다 –우린 더 적은 물로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해야 한다.



작물 생산을 최대화하는 것은 농민이 비슷한(또는 더 적은) 양의 물로 더 많은 식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뜻한다. 농업 전문지식의 보급과 농민에게 양질의 종자와 같은 농업기술의 제공 및 작물보호(농약) 제품은 작물 손실을 예방하는 핵심이다.

농약의 사용 없이 작물 손실에 대한 추정은 수확량의 40~80% 사이로 달라진다*. 이러한 손실 규모는 적어도 효율적으로 담수를 사용하려고 노력하지 않는 한 파괴적일 것이다. 

담수는 우리의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서, 병해충에 손실될 작물에 낭비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고, 정치적/사회적/경제적 문제에 직면한 오늘날 용서할 수 없는 일이다. ‘한 방울당 더 많은 작물’은 해결책이고, 그 방법은 혁신적은 농업이다. 우리가 담수를 보존하길 바란다면, 농민이 농업기술과 작물보호 도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Safeguarding production – losses in major crops and the role of crop protection‘, E.C. Oerke and H.W. Dehne, Crop Protection, Volume 23, Issue 4, April 2004, pp 275-285


728x90
728x90

2008년 제주 전역에서 토종종자 수집을 하면서 느낀 점. 제주는 중산간에서까지 농사를 짓고 축사에서 가축을 기르는데, 원래 물이 부족한 곳이 아닌가? 이 농축산업을 위해 물은 어떻게 확보를 하는가? 앞으로 제주에 심각한 물 문제가 일어나겠다.

그 이후 계속 관심을 가지고 제주의 지하수 및 농업용수 문제를 지켜보았다. 그러면서 막대한 양의 지하수를 농축산업만이 아니라 생수시장에도 공급한다는 사실을 더불어 알게 되었고, 더욱 우려는 커졌다. 지난해 가을 장마가 찾아왔을 때 기존 관정이 말라버리면서 그 빈 공간으로 바닷물이 침투해 못 쓰게 되었다는 소식까지 들었다. 올해는 아래와 같은 기사가 떴다. 2015년이 되면 물 자체가 부족해질 우려가 있다는 보고다. 현재 제주 전역에서 마을마다 소형 저수지를 만드는 사업을 하고 있는데 그게 근본적인 해결책인지는 장담할 수 없겠다. 그런 저수지는 어차피 시멘트를 발라서 만들어질 것이기 때문에 뭐랄까... 거시기하다.

문제의 해결은 근본적으로 농축산업의 방법을 바꾸는 데 있지 않을까? 하지만 그것도 쉽지 않은 것이 당장 농민들의 생계가 걸려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생산방식이 아니고는 지금의 사회에서 버틸 수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래저래 어려운 과제이다.





진단=지하수 천국 제주 경보음


[제주도민일보 오석준 기자] 무한할 것만 같았던 제주의 수자원이 수요 증가와 비효율적인 공급체계, 과다개발 등의 문제로 바닥을 드러내면서 물 부족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대로 간다면 최대 수요량을 기준할 때 생활용수와 공업·관광·축산 등 기타용수를 비롯한 상수도가 오는 2015년이면 1일 4만686t, 2020년에는 6만7239t, 2025년에는 9만8778t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농업용수도 10년 빈도 가뭄을 기준으로 할 때 1일 31만5977t이 추가공급돼야 한다는 분석이다.


 3. 현실화된 물 부족


2011년 말 기준 도내 상수도 취수원 시설용량은 1일 51만1125t이다. 지하수가 1일 31만7000t으로 62%를 차지하고 용천수가 17만7000t으로 34.6%, 어승생과 해수담수장은 각각 1만5000t·2000t이다. 1일 평균 급수량은 20만259t으로 시설용량에 비하면 여유가 많다.


그러나 34.6%에 이르는 용천수 수원이 최갈수기가 아닌 평균 용출량으로 산정돼 과다책정되고, 수량과 수질 문제로 공급이 중단된 삼양3수원과 현실적으로 활용이 어려운 자굴이(1일 1만5000t)·회수(1일 7000t)·상예(1일 9000t) 광역상수원이 포함돼 있다. 과거 시·군 당시 개발된 마을 상수도는 급수구역이 마을단위로 운영돼 용량에 여유가 있어도 활용이 어렵다. 76.7%의 유수율과 14.9%의 누수율 통계도 현실과 다르다는 것이 수자원관리 종합계획 용역팀의 판단이다.


이를 감안할 때 갈수기 등에도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한 실제 상수도 용량은 1일 41만4625t에 불과하다. 이는 2015년 최대 수요량 1일 45만5311t에 비해 4만686t이 모자란다. 2020년에는 1일 최대수요량 48만1864t에 비해 6만7239t, 2025년 최대수요량 51만3403t에 비해 9만8778t이 부족한 용량이다. 물 부족이 멀지않은 현실이라는 얘기다.


용역팀은 이에따라 어승생 제2저수지를 기존 저수지와 연계해 1일 1만5000t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1일 1만t 규모의 어승생2정수장을 시설하는 한편 서귀포 동·서부지역에 각각 1일 1만t 규모의 취수원을 개발해 정수시설을 증설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광역상수도 수원 가운데 지하수 부존량이 많은 곳은 취수량을 늘리고 읍·면지역 상수도 관정을 단계적으로 광역상수도로 전환할 것도 주문했다.


농업용수도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 2011년말 기준 도내 농업용수 개발량(보장량)은 1일 89만8332t이고 1일 수요량은 평균 20만5870t으로 보장량의 23%, 최대 56만3070t으로 62.7% 수준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10년 빈도 가뭄을 기준한 2020년 농업용수 최대수요량은 1일 121만4310t으로 현 농업용수 공급능력을 28%나 초과하게 된다. 서부지역은 1일 보장량이 33만6000t으로 최대 수요량 31만2000t에 비해 7% 많지만 동부지역은 10만6000t으로 최대 수요량 23만6000t의 45% 수준에 불과하다. 남부지역도 1일 보장량이 25만2000t으로 최대 수요량 40만4000t의 62%, 북부지역은 보장량이 20만4000t으로 최대 수요량 26만t의 77% 수준에 그친다.


용역팀은 이에따라 1~2개 관정별 소규모 급수구역과 시설체계를 권역별 공급체계로 전환하고 배수조 용량을 확대해 이용율을 높이는 한편 공공 용수원 중심의 대용량·군집 개발방식으로 전환할 것을 주문했다. 지표수와 용천수를 비롯해 하수처리장 방류수와 빗물 등 1일 8만9000t 규모의 대체수자원 개발과 노후·불량관정 폐쇄 또는 원상복구를 통한 과부족 조정,기존 급수시설 관로 연계를 통한 이용효율 증대와 급수구역 확대 등도 제안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