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용수6 가뭄 대응형 벼농사 요즘 동남아와 아프리카에서 핫한 벼농사 방법인 SRI 농법이 있습니다. 영어로는 "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라 하여, 한국어로 옮기면 벼 강화 체계라고 하면 되겠죠?이 농법은 1983년 프랑스의 예수회 신부인 앙리 뭐시기라는 사람이 개발해 마다가스카르에서 시험하여 크게 성공을 거둔 방.. 2017. 6. 23. 제주의 지하수 문제 사회 시간에 배웠듯이 제주는 화산섬이라 물이 풍족한 곳이 아니다. 그런 곳에서 요즘 지하수를 활용해 중산간에서도 농사를 짓고 그런다. 그런데 최근 지하수를 너무 남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와 지적이 계속 나오고 있다.기사를 보니 한달에 5천원만 내면 마음껏 써도 된다고 한다. 지.. 2017. 6. 21. 세계를 먹여살리는 데 얼마나 많은 물이 필요한가? how-much-water-is-needed-to-feed-the-world-low.pdf 2014. 8. 21. 농업을 배우자 2 -흙과 물 http://www.agriculturesnetwork.org/resources/pdfs/learning-agricultures-module-2-full learning-module2-preview.pdf This module discusses different aspects of soil and water systems, and reflects on soil and water sustainability issues for small-scale farming in particular. Certain principles about soil and water systems are common to all farms – such as how nutrient cycl.. 2013. 1. 30. 갈증에 시달리는 농업 FAO는 2025년까지 1800만 명이 물부족 상태로 살 것이라고 추정한다.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수도와 하수, 특히 식량생산을 위한 담수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할 것이다. 농업은 이용할 수 있는 담수 가운데 엄청난 양인 70%를 사용한다 –전 세계에 심각한 물 공급 문제를 만들고 있다. 물 공.. 2012. 12. 24. 제주의 물 부족 문제가 현실화되다 2008년 제주 전역에서 토종종자 수집을 하면서 느낀 점. 제주는 중산간에서까지 농사를 짓고 축사에서 가축을 기르는데, 원래 물이 부족한 곳이 아닌가? 이 농축산업을 위해 물은 어떻게 확보를 하는가? 앞으로 제주에 심각한 물 문제가 일어나겠다. 그 이후 계속 관심을 가지고 제주의 지.. 2012. 11.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