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녹색혁명25

유전자변형 작물과 제왕나비 상당히 시사하는 바가 큰 논문이 발표되었다. 요즘 미국에서 한창 논쟁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바로 미국 중서부에 제왕 나비라는 종이 불러일으킨 일이다. 최근 이 나비가 감소하고 있는 게 발견되었는데, 유전자변형 작물에 반대하는 측에서는 이들이 현재 급속하게 사라지고 있는 원.. 2019. 3. 5.
녹색혁명의 숨은 공로자들 한국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녹색혁명의 공로자인 미국의 육종학자 오르빌 보겔Orville Vogel. 사진은 그가 새로운 하이브리드 밀과 기존 밀을 비교하고 있는 모습이다.노먼 볼로그와 함께 하이브리드 밀을 개발해 농업사에 한 획을 그은 이 사건은 이런 뒷이야기가 있다고 한다. 세실 살몬Cec.. 2017. 9. 1.
세계는 식량이 부족해서 굶주리는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는 지역별로 비만과 영양부족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주로 북미와 중남미, 유럽은 상대적으로 먹을거리가 넘쳐서 비만 인구가 많고, 아시아는 제3세계의 경제성장으로 고열량 위주의 식생활로 빠르게 변하면서 비만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오세아니아는... 잘 알.. 2017. 4. 28.
2015년 국제 농생태학 포럼의 선언 2015년 2월 27일, 말리의 닐레니(Nyéléni)에서 2015년 농생태학 국제 포럼이 열렸다. 이미 2007년 2월에도 식량주권을 주제로 포럼이 열린 적이 있는데, 다시 8년 뒤 같은 장소에서 농생태학 관련 포럼이 개최된 것이다. 당시 닐레니 선언이 발표되었는데, 여기서 전문을 다시 한번 읽어보.. 2015. 3. 4.
통일벼와 농민 통일벼와 한국의 농업정책에 관한 좋은 글... 한가지 지적할 점은 통일벼를 둘러싼 논란의 궁극적 원인은 밥맛은 물론 농법에도 있다는 사실이다. 김태호 박사가 미처 그것까지는 조사하지 못했는가 보다. http://t.co/LyoQDbQe3S 통일벼는 그 육종계통상 추위에 약한 품종인데다 생육기간이 긴.. 2014. 8. 1.
내경 벼의 품종명에 얽힌 이야기 2014. 4.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