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두6 공부모임: 금양잡록 1 일시: 6월 21일 14~16시 장소: 전통농업 연구소 출석: 주인혜 김초희 김정석 우영미 ㅣ-------------------------ㅣ ㅣ ㅣ 윤명숙 ㅣ-------------------------ㅣ 안철환 김석기 태완 내용; <금양잡록> "서문"과 "농가 1"의 벼 품종, 콩과 팥 품종, 녹두, 동부, 완두까지 강독 <금양잡록>은 1470~1480년대에.. 2014. 6. 23. 팥, 녹두 재배법 1. 알맞은 파종 시기 가. 팥의 파종 시기 팥의 파종기는 지온(10℃ 이상)과 품종의 생육기간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또한 토심 5㎝의 지온이 14℃ 이상으로 안정될 때 파종할 수 있으며, 평균기온이 15~16℃ 되어야 싹이 고르게 나고 잘 자란다. 만생종의 파종 적기는 6월 중순 무렵이고, 중·조.. 2013. 5. 30. 다양한 콩의 세계 토종 콩의 하나인 오리알태. 오리알의 푸르스름한 색과 비슷하여 그렇게 부른다. 이건 주로 콩나물을 길러 먹는다. 수박태. 수박의 푸른색을 닮아서 그렇다. 이 콩도 나물콩의 하나이다. 우렁콩. 이 콩은 나도 처음 보았다. 음, 밥밑콩의 하나 같다. 이 콩은 메주콩의 하나인 한아가리콩. .. 2013. 4. 17. 팥, 녹두의 파종기가 개화와 등숙에 미치는 영향 ˜_파종기가_개화_및_등숙에_미치는_영향.pdf 2012. 8. 21. 콩나물의 역사 영국으로 유학은 떠난 후배와 이야기를 하다가 숙주나물로 밥을 해 먹는 것을 보고 궁금증이 일었다. "콩나물은 한국 이외에는 잘 먹지 않는다는데 사실이냐?" 그랬더니 좋은 자료를 찾아 알려주었다. 그 자료를 대충 훑어본 결과 보통 콩나물이란 것은 동아시아권, 그러니까 쌀 문화권의 나라에서 길.. 2011. 2. 28. 괴산 지역 9차 토종 수집 조사 2010. 9.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