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요즘 엄마들 사이에서 아이의 건강과 머리가 좋아지게 한다고 뜨고 있는 곡물이 있다. 

저 멀리 라틴아메리카의 안데스 지역에서 재배하는 퀴노아가 그것이다. 



이것이 바로 퀴노아이다. 명아주과라고 하는데 과연 그와 생김새가 닮았다.



나도 주변에서 아이에게 퀴노아를 먹이는 엄마를 보았기에 이 열풍이 장난이 아님을 실감하게 되었다.


그래서 궁금해졌다. 

도대체 퀴노아의 영양성분이 어떻길래 그렇게들 난리인가?


구글에 Quinoa를 치면 검색결과가 주르르르륵 뜬다. 한국보다 외국에서 더욱더 인기라는 것을 잘 보여준다.

그중에서 퀴노아의 영양성분을 다루는 한 사이트를 찾아보니, 미국 농무부의 분석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미국 농무부의 분석에 의하면, 퀴노아 185g에는 단백질 8.14g, 지방 3.4g(같은 양의 소고기는 33g), 칼로리는 222칼로리, 이외에도 39.41g의 탄수화물과 31mg의 칼슘, 2.76mg의 철분, 318mg의 칼륨, 13mg의 나트륨, 2.02mg의 아연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그러니까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곡식으로 밥을 지어 먹는 한국인에게는 특별할 것이 없다고 말할 수 있다.


왜냐하면 쌀의 100g당 영양성분을 보면 아래의 표와 같다.




식품명

열량
(kcal)

단백질
(g)

지방
(g)

당질
(g)

섬유
(mg)

회분
(mg)

칼슘
(mg)

비타민

B1
(mg)
B2
(mg)
니아신
(mg)
C
(mg)

현미 
7분도미
백미

351
356
366

7.4
6.9
6.8

3.0
1.7
1.0

71.8
74.7
79.6

1.0
0.4
0.4

1.3
0.8
0.5

10.0
7.0
5.0

0.54
0.32
0.15

0.06
0.04
0.03

4.5
2.4
1.5

0
0
0


이게 뭣이여? 퀴노아 185그램과 쌀 100그램을 비교하면 단백질이나 지방이 훨씬 많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칼슘이나 칼륨, 철분 같은 성분이 퀴노아에 비해 떨어지지 않냐고 반문한다면 또 할 말이 있다.


쌀밥에 쌀만 먹지 말고 잡곡을 섞어서 먹으면 다 해결된다아아아아! 


아이들이 백일에 먹는다는 수수팥떡의 주재료 수수를 보면 이렇다.

에너지
(kcal)
단백질(g)지방
(g)
콜레스
테롤
(mg)
탄수
화물
(g)
식이
섬유
(g)
칼슘
(mg)

(mg)

(mg)
나트륨
(mg)
333.010.53.10.076.53.710.0191.02.14.0
칼륨
(mg)
아연
(mg)
Vit A
(RE)
Vit E
(mg)
Vit C
(mg)
Vit B1
(mg)
Vit B2
(mg)
니아신
(mg)
Vit B6
(mg)
엽산
(㎍)
524.02.70.00.70.00.30.12.00.385.0

  


에잇, 귀찮다. 기장쌀이니 좁쌀이니 보리쌀이니 쌀밥에 넣어서 먹을 수 있는 다양한 곡물들의 영양성분을 보려면 여기로 가서 한번에 보시길 바란다. http://koreanfood.rda.go.kr/fct/FrameCustView.aspx?url_path=Easy/Kaa.aspx?sikpumGun=%B0%EE%BD%C4%B7%F9



그러니까 결론인즉 이렇다.

퀴노아가 슈퍼푸드라고 난리치는 것은 밥을 먹지 않는 서구의 사람들의 경우 그렇다는 것이다. 

늘상 쌀밥을 지어 먹는 아시아인들의 하나인 한국인은 굳이 그런 걸 먹지 않아도 쌀밥에 잡곡만 잘 섞어 먹어도 된다는 말씀.


그러니 괜히 슈퍼푸드니 뭐니 하며 우르르 몰려가지 말고 밥을 잘 지어서 잘 먹으시길 권하는 바이다.

저 멀리 라틴아메리카에서 배 타고 건너오며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낭비할 것이며, 그로 인해 기후변화는 얼마나 더 촉진되겠는가. 

또 요즘 가뜩이나 쌀 관세화니 뭐니 해서 한국 벼농사가 망할지도 모르게 생긴 판국에 한국 농업을 지킨다는 마음으로 국내산 곡물을 애용해 주시길 바란다. 괜히 슈퍼푸드 같은 것에 흔들리지 마시란 말이다.


맛좋은 품종의 건강한 방식으로 재배된 쌀과 잡곡으로 지은 밥을 잘 챙겨먹으시면 그것이 바로 슈퍼푸드이올시다.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전자변형 작물의 왕국, 미국  (0) 2014.08.29
통일벼와 농민  (0) 2014.08.01
작물계의 바람둥이, 옥수수  (0) 2014.07.16
옥수수의 가치사슬  (0) 2014.06.25
작물의 야생종이 중요한 까닭  (0) 2014.06.04
728x90

고추에 병 하나 없이 깨끗함. 이건 초록물의 효과일까? 


호박은 별로 달리는 게 없음. 


오이는 오늘 잔뜩 땄다. 반 푸대는 되겠다.



토마토는 이례적으로 사상 최초로 병으로 시들거림. 


고구마는 폭풍 확산 중. 거기에 섞어짓기하는 조도 이삭이 나와 잘 크고 있음.



기장은 이삭이 나와 조금씩 익어가고 있다. 이걸 새들에게서 어떻게 보호할지 걱정이 되기 시작.



콩은 무럭무럭 자라서 꽃이 피었음. 하얀꽃과 보라꽃.



팥은 튼실하게 자라고 있음. 


녹두는 이제 꽃이 피면서 하나씩 꼬투리가 달리기 시작. 



밭벼는 아직 이삭이 패지 않았음. 논벼들은 벌써 이삭이 패기 시작하던데 좀 늦다.



이상 오늘의 텃밭.




마지막으로 텃밭 지킴이... 사마귀...


728x90

'농담 > 텃밭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이 왔다  (0) 2014.03.02
기장 수확  (0) 2013.08.26
환삼덩굴과 놀다  (0) 2013.07.27
토종 자주감자 수확과 맛  (0) 2013.07.02
복슬황차조  (0) 2013.06.28
728x90


기장주요해충및피해증상.hwp



기장 가해 주요 해충은 노린재류, 나방류로 우점 노린재는 흑다리잡초 노린재>시골가시허리노린재>알락수염노린재 순이며, 우점 나방은 조명나방 및 멸강나방이며 벼 포장주변 기장 재배시 애멸구 발생 많음


다발생 및 피해시기는 노린재가 결실기~수확시, 조명나방은 출수기~ 결실기, 애멸구는 출수기 이후, 멸강나방은 생육초기에 다발생하여 피해를 줌


노린재 피해증상은 이삭을 흡즙하여 기장을 기형이나 색깔을 변색 시키며, 조명나방은 줄기나 이삭 목에 구멍을 뚫어 식물체를 부 러뜨리거나 고사시키며 애멸구는 양분 흡즙 및 배설물에 의한 그으름병 유발로 생육 저하 및 고사 유발, 멸강나방은 생육초기 잎을 가해하여 생육 저하시킴


   ○ 노린재 및 조명나방, 특히 논 주변 기장재배시 애멸구 피해가 많아 방제 필요


기장주요해충및피해증상.hwp
8.31MB
728x90
728x90


국내산과수입산기장의외형상차이.hwp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기장에서 수입산과 국내산을 간편하게 구분할 수 있는 간이 구별법으로서 국내에서 생산된 도정된 기장과 조곡을 수입하여 도정한 기장은 알곡에 배유부분에 있는 배곱의 색깔이 차이가 나며 배꼽의 색깔이 검은색을 띄는 것이 국내산으로 구별할 수 있음


국내산과수입산기장의외형상차이.hwp
2.15MB
728x90
728x90


잡곡의 유통실태.pdf


잡곡의 유통실태와 과제.pdf


잡곡의 유통실태와 과제.pdf
0.57MB
잡곡의 유통실태.pdf
0.68MB
728x90
728x90


과명Poaceae (화본과)
학명학명 : Panicum miliaceum L. 
이명 :
일반명영문명 : proso millet[..., 출처 :World Econ Pl ]
한글명 : 기장
기타명 :
            mijo[..., 출처 :Ann Mo BG. 1996 ]
형태특성



  • 서남 아시아 원산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1~1.7m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녹색을 띤 둥근통모양이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길이 30~50cm, 너비 1~2.5cm로서 털이 드물게 나며, 밑부분이 긴 잎집으로 되고 겉에 긴 털이 퍼져 있다. 꽃은 꽃줄기 끝과 때로는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차례에 달리며 대개 완전하지 않다. 작은 이삭은 분열한 줄기마다 나오며 고개를 숙인다. 열매는 껍질열매(潁果)이고 둥글며 노란빛이고 익으면 떨어지기 쉬우며 도정하면 조와 비슷하나 조보다 좀 크다. 열매는 한자로 황백색은 기(?), 황갈색은 거(?), 적갈색은 미(?)라고 표기한다. 그러나 이들 열매는 정백하면 모두 노란빛을 띤다. 종자 1000알의 무게는 4.5g 내외이고, 1ℓ의 무게는 500~530g이다. 수확량은 적지만 생육기간이 짧고 가뭄에 잘 견디므로 일찍부터 재배된 작물이다. 속명(Panicum)은 라틴어 panus(기장의 이삭)에서 유래하며, 종명(miliaceum)은 ‘나도겨이삭속(屬) 식물과 같은’을 뜻한다.
재배내력
  • 0085_T1.jpg
    -[표] 재배면적 및 생산량-

  • 원산지는 인도, 이집트, 아라비아, 터키라는 설이 있으나 요즈음에는 화북과 만주지방이라는 학설도 있다. 기장의 재배역사는 명확하지는 않지만 이집트 등에서 유사이전부터 재배돼 4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졌다고 한다. 또한 남부 러시아의 고대부락과 스위스의 호서인(湖棲人) 거주지에서 기장의 유적이 발견됐다. 인도에서는 불사, 혼사 때에 기장을 먹는 습관이 있다고 하며, 중국에서도 일찍이 5곡의 하나로서 ≪육부경종법(六部耕種法)≫에 ‘오곡의 신을 기장신[稷神]이라 한다‘고 기록돼 있다. ≪산해경(山海經)≫의 ’부여에서는 기장을 먹는다‘는 기록이나, ≪맹자≫의 ’맥(貊)에는 오곡이 나지 않고 다만 기장이 난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한국에서도 매우 오래 전부터 재배됐음을 알 수 있다. 함경북도 회령읍 오동의 청동기시대 유적에서도 기장이 출토됐다. 주로 강원도나 경상북도의 산간지대에서 재배됐으나 지금은 거의 재배되지 않는다. 옛 문헌의 ≪물명고(物名考)≫에서는 기장의 명칭에 관해 ‘직(稷)은 메기장을 가리킨다. 직을 피라고 보는 것은 잘못이다. 서(黍)는 차기장을 가리킨다’고 했다. 직은 고대 중국에서는 조를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당나라 이후에 그 뜻이 모호해지기 시작해 명나라 때부터 메기장을 가리키게 된 것이다. ≪명물기략≫에서는 ‘서(黍)는 직의 차진 것으로 속간에서는 적량(赤梁)이라고도 한다. 기장이라는 말은 이 적량의 음이 바뀌어 된 것이다’고 기장의 어원을 설명하고 있다.
분류 및 품종




  • 기장속(Panicum)에 딸린 유사종으로는 아프리카 원산이며 가축의 먹이로 쓰이는 맥시뭄기장(Panicum maximum), 여러해살이풀인 비르가툼기장(Panicum virgatum) 등이 있다.한국에는 개기장(Panicum bisulcatum)과 미국개기장(Panicum dichotomiflorum) 등이 자라고 있다. 품종은 이삭의 형태에 따라 나누어진다. 이삭가지가 사방으로 퍼지는 평수형(平穗型)이나 산수형(散穗型), 가지 줄기가 길지만 한쪽으로 몰려 있으며 한국의 품종이 거의 속하는 기수형(寄穗型), 가지 줄기가 짧고 밀생하는 밀수형(密穗型)이 있다. 또한 기장도 조처럼 봄기장, 그루기장이 있는데 봄기장은 북부나 산간지방에서 봄에 씨를 뿌려 가을에 거두어들이고, 그루기장은 남부의 평지에서 여름에 씨를 뿌려 가을에 거둬들인다. 한편 씨알의 빛깔에 따라 얼룩기장, 흰기장, 누런기장, 붉은기장으로 나누기도 하는데 한국에는 흰기장과 누런기장이 많이 재배된다.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으로 구별되기도 한다.
재배환경
  • 따뜻한 곳을 좋아하며 수분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 수분 요구량은 밀의 54%에 불과해 건조한 기후에도 잘 견딘다. 토양은 배수가 잘되는 양토가 가장 좋으나 산성토양에도 강하다. 토양은 별로 가리지 않아 간척지 등의 불량환경에서도 잘 재배되며 흡비력이 강하므로 무비료에 가까워도 재배가 가능하다.
재배기술
  • 0085_T2.jpg
    -[표] 메기장의 영양성분-

  • 파종시기와 파종법은 조와 비슷하다. 파종시기는 조보다 약간 늦게 뿌리는 것이 좋다. 생육기간은 장소와 품종에 따라 80~120일의 변이가 있다. 조생종의 생육기간이 가장 짧다.
수확
  • 수확기는 조보다 빠르며, 같은 이삭이라도 차츰 끝으로 내려가며 성숙하기 때문에 알이 떨어지기 쉬우므로 이삭이 70~80% 성숙하면 수확한다. 대체로 북부 또는 산간지대의 봄기장은 8월 하순에서 9월 상순 사이, 남부 그루기장은 9월 하순에서 10월 상순경에 거둔다. 1960년대까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하는 나라는 인도였다. 인도의 재배면적은 약 1600만ha로 세계의 43%를 차지하고 중국 26%, 서아프리카 12% 순이었다. ha당 생산량은 엘살바도르가 1.2톤으로 가장 높고 중국과 일본이 1.1톤이었다. 한국에서는 광복을 전후해 1만ha 이상 재배했으나 1974년부터는 1000ha 이하로 재배면적이 감소했다.
병해충
  • 주요 병해충으로 조명나방과 멸강나방의 피해가 크므로 철저히 방지해야 하며, 또한 야생조류의 피해도 심하다.
용도이용
  • 기장에는 단백질, 지질, 비타민A가 많이 들어 있다. 메기장은 정백해 쌀, 조, 피 등과 섞어서 밥이나 죽으로 해먹고, 차기장은 쪄서 떡, 엿, 술의 원료로 쓴다. 가루를 내어 기장단자를 만들기도 한다. 새나 가축의 사료로 쓰기도 하며, 줄기는 지붕을 이는 데나 땔감으로 쓴다. ≪명의별록≫에 ‘황기장은 속을 고르게 하고 설사를 그치게 하며, 청기장은 당뇨병을 다스리고 속을 보한다. 장수하려면 기장으로 죽을 쑤어 먹는다’고 했고, ≪식료본초≫에는 ‘모든 위병과 구토에는 생강과 백기장을 함께 먹으면 좋다’고 했으며, ≪의학입문≫에는 ‘메기장은 단(丹), 흑, 적 3종이 있는데, 이들은 허파의 곡물이므로 폐병에 먹으면 좋다’고 했다. 또한 ≪본초강목≫에도 ‘황기장은 곽란과 설사를 다스리고 번열을 없앤다. 백기장으로 밥을 지어먹으면 속을 편안하게 하고 번갈(煩渴)을 없앤다’는 기록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약용으로도 이용됐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두꺼운 땅속줄기에서 새로운 개체가 나오기 때문에 한때는 토양침식을 막는 식물로 쓰이기도 했다.
  • 담당자 :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운영자 031-299-1846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에서 인의 문제와 해결책  (0) 2012.07.12
식량안보를 위한 사회적으로 포괄적인 길  (0) 2012.07.12
고추 풋마름병  (0) 2012.07.11
토마토 품종  (0) 2012.07.11
벼농사 문화의 조감  (0) 2012.07.11
728x90

농촌진흥청은 조, 기장, 수수, 율무로 빚은 술을 선보인다.

 

농진청은 한국가양주협회와 공동으로 ‘잡곡 소비촉진과 잡곡산업 활성화를 위한 잡곡 가양주 개발 시제품 품평회’를 13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전통주 전문가, 시민, 산업체, 농업인 등 100여명이 참석해 잡곡 가양주 시제품 6종에 대한 의견을 나눈다.

 

잡곡 가양주 시제품은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가양주 제조 기법을 계승·발전시켜 조, 기장, 수수 등 건강에 좋은 기능성 잡곡의 특성을 살려 개발하였으며 현재 제조방법에 대한 특허출원을 준비 중이다.

 

또 지역농업과 연계한 산업화모델을 만들기 위해 산업화 공정을 추가적으로 개발하고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등과 연계해 민간에게 기술을 이전할 방침이다.

 

농촌진흥청 안진곤 기능성작물부장은 "최근 웰빙·건강기능성식품 등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잡곡의 연구개발로 식품 산업화를 촉진시켜 잡곡소비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728x90
728x90

올해는 벌레가 많아서 그런지 밭에 거미가 엄청 많습니다. 

이놈들이 벌레를 잡아 먹겠거니 생각하고 밭 한쪽에 긴무당거미 암컷이 떡 허니 자리 잡고 있는 걸 손대지 않고 있었더니, 어제는 방아깨비가 걸렸습니다.

거미의 배가 불룩한 걸 보니 알을 깔 때가 되었나 봅니다. 방아깨비가 새로 태어날 알에게 좋은 양분이 되겠습니다.

그나저나 이 덩치 큰놈도 잘못하여 거미줄에 걸리면 어쩔 수 없나 봅니다. 재수 없다고 생각해야겠지요.

 

적자생존은 결코 잔인하거나 비인간적인 현상이 아닌 듯합니다. 먹고 먹히는 관계만 인간적으로 보면 잔인하고 몹쓸 짓이겠지만, 자연이란 큰 울타리 안에서 보면 자연스런 섭리가 아닐까 합니다.

 

 

 

 기장이 익어가고 있습니다. 게을러서 제때 북을 주지 않았더니 이번 비바람에 알곡이 무거워져 쓰러지기 시작합니다.

가운데는 기장, 그 양 옆으로는 팥, 양쪽 끝에는 옥수수와 수수를 섞어짓기하고 있습니다.

사진에 오른쪽 아래에 팥이 조금이지만 제대로 보이네요. 수수는 안 보이지만 저쪽에 있습니다.

 

 

728x90

'농담 > 텃밭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의 농사력  (0) 2009.11.03
토종 병아리  (0) 2009.10.15
고추씨를 받다  (0) 2008.10.07
청파어린이집 특급 배추  (0) 2008.10.01
2008년 가을...  (0) 2008.09.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