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근4 중국 농민들이 밀을 재배하기 시작한 이유는 오늘날 중국은 세계 최대의 밀 소비자로서, 국수와 만두, 빵 및 여러 반죽을 만드는 데 밀을 이용한다. 하지만 늘 그랬던 건 아니다. 밀은 신석기 시대가 끝날 무렵인 약 4600년 전 중국 북부 지역으로 들어왔다. 그리고 나의 연구에 의하면그 당시에는 맛이 별로 없었다. 초기에 밀은 기아를.. 2019. 11. 25. 소빙기와 기근 빅토르 위고의 "레 미제라블"에 등장하는 장발장은 빵 한 조각을 훔쳤다가 5년형을 선고 받고 복역하게 된다. 이후 탈옥을 시도하다 걸려 19년까지 형이 늘어나게 된다. 그런데 왜, 장발장은 빵을 훔친 것일까?1789년 7월 14일, 프랑스의 인민은 바스티유 감옥을 습격하여 점령해 버린다. 그들.. 2017. 5. 11. 배고픈 엄마가 더 많은 딸을 낳는다 성비조절 가설은 가설이 아닌 법칙이 될 수 있을까? 기근과 같은 살기 어려운 조건에서는 남성이 아닌 여성이 더 많아진다는 흥미로운 가설이다. 음, 그러면 다른 사회현상도 이를 통해 설명이 될 수 있을까? 아무튼 아직은 가설 수준이니 연구가 진척이 되기를 기대해보겠다. 여성에 대.. 2012. 3. 29. 동아프리카 기근 올해 온 세계에서 5살 이하의 아이 가운데 900만 명이 죽을 것이라고 합니다. 그들의 1/3 이상이 기아와 관련되어 죽음에 이를 것이라고 합니다. 2009년 11월 세계의 정상이 기아문제를 해결하자고 모였지만, 실질적인 대안은 마련되지 않았습니다. 브라질의 룰라 전 대통령은 "천문학적인 돈이 실패한 은.. 2011. 7.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