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촌7 최근 귀농 귀촌 실태와 시사점 귀농 귀촌을 고민한다면. 최근 귀농 귀촌 실태와 시사점.pdf 2017. 9. 22. 귀농 귀촌을 바라는 사람들에게 농촌으로 이주하는 건 장거리 경주이다. 포기하고 싶을 수도 있지만, 그러지 마라. 당신의 길을 찾아라. 당신이 얻을 수 있는 삶은 그만한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ㅡAlissa Hessler 2017. 9. 8. 억대 농부, 첨단기술의 농업 오늘 만난 농부의 이야기는 이랬다. 자신이 몇 십 년 농사를 지은 결과, 소득 상위 5%를 겨냥한 고품질 농산물을 생산해야겠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들은 가격이 아무리 비싸도 품질이 좋은 것이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고 사먹는다. 나도 한때 가락동시장에 남들보다 농사를 잘 지어 비싼 값.. 2013. 2. 5. 농어촌 이주를 바라는 도시민에 대한 조사결과 농촌경제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농어촌으로 이주를 희망하는 사람의 가장 큰 요인은 각박한 생활(46%), 개인주의적 생활(15%), 자연과 떨어진 생활(15%)이 뒤를 이었음. 생활비라는 답은 7%로 미미. 돈 때문에 가는 게 아니라는 뜻임. 반면 농어촌 이주를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은 만약 이주.. 2013. 1. 31. 귀농운동의 역사와 과제 1996년 중후반, 한국 사회에서 처음으로 '귀농'이란 주제가 사회운동의 하나로 조직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귀농 교육이 시작되었다. 운동의 초기 모습이 대개 그렇듯이, 당시의 귀농 교육은 주로 당위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다. 그래서 초기의 귀농자들은 마치 투사와도 같은 모습이.. 2012. 12. 23. 귀농도 취업… 야근·기러기아빠 생활까지 각오해야 귀농 귀촌이 열풍이다. 하지만 그것이 삶의 전환이 아니라 단순히 직업의 전환이 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이 기사에 보이는 기러기 아빠의 문제이다. 가족이 오손도손 행복하게 사는 것이 아니라 여느 도시의 기러기 아빠처럼 남자는 돈만 .. 2012. 3. 27.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