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귀농 귀촌을 고민한다면.


최근 귀농 귀촌 실태와 시사점.pdf


최근 귀농 귀촌 실태와 시사점.pdf
0.91MB
728x90
728x90
농촌으로 이주하는 건 장거리 경주이다.
포기하고 싶을 수도 있지만, 그러지 마라.
당신의 길을 찾아라.
당신이 얻을 수 있는 삶은 그만한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ㅡAlissa Hessler




728x90
728x90

오늘 만난 농부의 이야기는 이랬다. 


자신이 몇 십 년 농사를 지은 결과, 소득 상위 5%를 겨냥한 고품질 농산물을 생산해야겠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들은 가격이 아무리 비싸도 품질이 좋은 것이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고 사먹는다.

나도 한때 가락동시장에 남들보다 농사를 잘 지어 비싼 값에 출하하고 했다.

하지만 지금 와서 돌아보면 아무것도 남은 게 없다. 

농사도 이제 고품질 고가격으로 갈 수밖에 없다. 

그런데 자기가 볼 때 지금의 친환경은 정답이 아니다. 

그게 다 전기고 에너지다. 지금 가락동시장에 가보면 오이가 3~5만원 하는데, 제철이 아닌 때 나오니까 그렇게 비싼 거 아니냐.

유기농도 이대로 가다가는 망한다. 

그리고 한중FTA가 통과하면 값싸게 수입할 중국산 친환경농산물이 대기하고 있다더라. 도저히 경쟁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난 토종을 도구로 삼아 그 길을 뚫어보려고 한다... 


정확한 현실인식, 빛나는 상황판단, 그리고 틈새를 노리는 과감한 결단력... 그저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었다. 

아래의 기사도 그러한 모습의 한 측면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



쌀 대신 시설채소·특용작물, 친환경농법·첨단기술로 키워
"시장 개방은 오히려 기회"

억대 부농 시대가 열리고 있다. 한·미 FTA 발효 등으로 농업 개방이 가속화하면서 한국 농업의 존립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여전하지만, 유기농법 등으로 경쟁력을 갖춘 강소농(强小農)들이 쑥쑥 커 올라오고 있다. 전국적으로 연간 소득이 1억원 이상인 농부는 2009년 1만4000여명이던 것이 지난해 1만7000명을 넘어섰고, 올해는 2만명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개방시대의 우리 농촌은 다양한 농법을 시도하고 있으며 일부 작목에서는 기대 이상의 성과를 올리고 있다. 전체 농업의 20%를 차지하는 쌀농사는 경쟁력에 한계를 보이고 있지만, 시설채소와 특용작물 등에서는 자신감을 키워가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 출생)를 중심으로 귀농·귀촌 행렬도 이어져 2011년 1만가구이던 귀농·귀촌 가구가 1년 만인 지난해 2만여 가구로 급증한 것으로 추산된다. 농촌 인구는 1960년대 이래 반세기 만인 2010년부터 감소세를 멈춘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수산식품부 이준원 농어촌정책국장은 "우리 농업은 단순 생산을 넘어 가공, 판매, 서비스가 어우러진 복합 산업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도전하고 혁신하는 농업인들에게 시장 개방은 오히려 도약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희망의 불씨는 친환경 농법과 첨단 기술, SNS 마케팅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소비자들에게 농업 관련 각종 문화행사와 농촌 체험 기회를 제공하면서 친소비자 농업으로 전환하는 모습도 나타난다. 이 흐름의 첨단에 억대 부농들이 있다. 이들의 도전과 성공을 통해 우리 농촌의 활로를 찾아본다.


728x90
728x90

농촌경제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농어촌으로 이주를 희망하는 사람의 가장 큰 요인은 각박한 생활(46%), 개인주의적 생활(15%), 자연과 떨어진 생활(15%)이 뒤를 이었음. 생활비라는 답은 7%로 미미. 돈 때문에 가는 게 아니라는 뜻임.


반면 농어촌 이주를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은 만약 이주를 한다면 높은 생활비(28%)와 각박한 생활(25%) 때문에 가겠다고 답했음. 두 집단 사이의 차이점을 느낄 수 있는 대목임.


도시민이 이주하기를 바라는 농촌의 모습. 오염되지 않은 농촌경관이 잘 보존된 곳이면서 텃세가 심하지 않아 자유로이 어울릴 수 있는 공간을 바라는 경향이 강함. 





한편 농촌이주를 바라는 사람들은 이주한 뒤 72%가 비경제적 활동을 하고자 함. 마을사업, 봉사활동, 자아실현 활동을 하겠다는 의견이 압도적. 이상으로 보아 현재 농어촌 이주를 준비하는 사람들은 "생태적 삶"에 대해 열린자세를 가지고 있음. 





농어촌으로 이주할 때 가장 걱정이 되는 점으로는 생활의 불편(21%), 이웃주민과의 친교(13%)로 나타남. 즉, 사회기반시설과 문화시설의 부재와 텃세를 가장 걸림돌로 생각함. 전자는 하나의 목소리로 지자체에 꾸준히 요구해야 할 사항이고, 후자는 선배 귀농인들이 이끌어주면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함.




결론적으로 현재 농어촌으로 이주하려는 사람들은 "생태적 귀농"에 충분히 관심을 보일 만한 자세를 지닌 분들이라 생각된다. 단지 그런 것이 있는지 알지 못하여 생태귀농이라는 걸 생각하고 있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점. 이런 분들에게 어떻게 하면 "생태귀농학교"와 <귀농통문>을 접하게 할 것인지... 귀농운동본부에서 좀 더 적극적으로 홍보에 나서야 하는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이 든다.



아래의 농촌경제연구원의 자료를 참고.


PRN042.pdf


PRN042.pdf
0.43MB
728x90
728x90

1996년 중후반, 한국 사회에서 처음으로 '귀농'이란 주제가 사회운동의 하나로 조직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귀농 교육이 시작되었다. 운동의 초기 모습이 대개 그렇듯이, 당시의 귀농 교육은 주로 당위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다. 그래서 초기의 귀농자들은 마치 투사와도 같은 모습이었다. 귀농이란 깃발을 하나 들고 농촌으로 쳐들어가는(?) 모습이었다고나 할까.


그도 그런 것이 관행농업이 판을 치는 농업, 농촌에서 유기농업이란 낯설고 이상하기까지 한 방법을 주장하며 풀밭이 되더라도 고집스럽게 그 원칙과 방법을 고수하는 귀농자들은 쉽게 마을사람들의 손가락질과 질타를 받았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이 지닌 당위성을 바탕으로 그러한 억압과 시련(?)을 이겨낼 수가 있었다. 말이라 쉽지 정말 길고도 외로운 싸움이었다.


미리 예견한 것은 아니지만, 1997년 터진 IMF 사태로 엄청난 수의 실업자들이 한꺼번에 귀농학교의 문을 두드리게 되었다. 그런데 그들에게 필요한 건 당위가 아닌 현실이었다. 그들은 투사가 아니라 생활인이었던 것이다. 그것은 당위성에 충실한 귀농자들도 마찬가지였다. 투사이기 이전에 그들도 가족을 부양해야 할 생활인이었다. 결국 현실성을 갖추지 못한 초기의 귀농자들 가운데 대부분이 결국 다시 역귀성하여 도시로 나왔다.


그러나 어려움을 이겨내며 잘 정착한 초기 귀농자들 사이에서 현실적 요구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우린 당위성으로만 살 수 없다. 현실성을 확보해야 한다." 그리고 귀농운동본부에서는 이를 받아서 조금씩 실용적인 농업/생활기술에 대한 강좌를 마련했다. 그 강사로는 정착한 귀농자들이 실력을 발휘했다. 그들의 강의는 펄떡펄떡 살아 있었다. 학자들의 고리타분하고 죽은 자식 고추 만지는 듯한 이론뿐인 교육이 아니라, 현실 속에서 살면서 이러저러한 고민과 갈등, 번뇌 끝에 일궈낸 내용이기에 귀농 희망자들의 머리와 가슴을 울릴 수 있었다. 그렇게 강사진이 하나둘 귀농자들로 꾸려지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과제는 남아 있다. 귀농자들의 경험이 현장성이 살아 있고 실용적인 것은 사실이나, 체계화나 이론적 측면에서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런 부분은 천상 학자들의 몫이 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들은 잘 움직이지 않는다. 바로 밥그릇 문제 때문이다. 그래서 그런 학자들이 주로 활동하는 무대는 대부분 관청과 연계한 귀농교육이다. 그곳에는 지원금 같은 돈이 넘친다. 그런데 그곳의 교육은 현실성만 강조하고 상대적으로 당위성은 취약하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귀농하여 돈을 버는 데는 성공할지 모르나 농촌이란 사회에는 오히려 해가 될 때도 있다.


최근 은퇴자의 증가와 함께 귀농귀촌 바람이 불고 있다. 2011년에는 1만 여 가구가 귀농을 했다고도 한다. 그런데 그러한 귀농자들의 실상을 들춰보면, 10가구 중 6가구가 1인가구로 귀농을 한다고 한다. 곧, 농촌사회에는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기에는 어려운 면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부부가 함께 귀농할 때, 또 한 살이라도 젊은 사람이 귀농할 때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아무튼 앞으로 귀농운동과 교육은 당위성을 바탕으로 개개인에게 도움이 되는 현실성을 갖추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당위 따로 현실 따로 이루어지는 방식으로는 온전한 귀농인을 양성할 수 없다. 정부 차원의 귀농교육이 우려되는 점은 바로 이러한 측면 때문이다. 그렇다고 사회단체 차원의 귀농교육이 아무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그곳에선 더 다양하게 현실성을 갖추고 전문적 역량을 키울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선 역시 안정적 자금이 필요하다. 이에 동의하심 회원가입을 바란다... http://t.co/dlMc1hMW


귀농운동본부는 이명박 정부에서 시행하는 4대강 사업에 반대하다 정부 지원 사회단체에서 탈락했다. 그래도 버틸 수 있었던 건 1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꾸준히 벌여온 귀농사업 때문이었다. 이제 귀농자와 그 뜻에 동의하는 사람들이 꽤 두터워진 덕이다. 그래도 그 저변이 확장된다면 더 큰 힘과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이다. 귀농, 농촌, 농업 문제는 서로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다. 그 모든 것은 하나로 꿰뚫어져 있다. 귀농운동이 잘 되어야 농촌이 살고, 농촌이 살아야 농업이 산다. 마찬가지로 농업이 살아야 농촌이 살고, 농촌이 살아야 귀농운동이 잘 된다. 모두 農이라는 이름으로 묶인다. 

728x90
728x90

귀농 귀촌이 열풍이다. 하지만 그것이 삶의 전환이 아니라 단순히 직업의 전환이 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이 기사에 보이는 기러기 아빠의 문제이다. 가족이 오손도손 행복하게 사는 것이 아니라 여느 도시의 기러기 아빠처럼 남자는 돈만 벌고, 여자는 아이만 키우는 이상한 가족의 모습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귀농은 기사의 지적처럼 감상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일이 아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돈만 많이 버는 농업의 형태를 선택하는 것도 방법은 아닐 것이다.






굵은 비가 대지를 적신 지난 23일 아침 경기도 안성. 지방도에서 벗어나 울퉁불퉁한 비포장도로를 200m가량 지나서야 만난 '농부' 김영재(44)씨는 "비 오는 날은 휴일"이라며 "하늘과 비즈니스를 하다 보면 이런 불규칙함이 오히려 편하다"며 웃었다.


서울에서 담배회사 마케팅 팀장으로 일하던 그가 이곳에 자리를 잡은 것은 2010년. 부친 소유인 13만9000㎡의 밭에서 고구마와 감자, 마를 키우는 게 일이다. 작년 수입으로 저온 저장시설을 짓고, 고구마 재배용 트랙터를 사고도 7000만원을 넘게 남겼다.

"도시 생활보다 여유가 있는 것 같다"고 했더니 그는 정색을 했다. "땅을 빌린 임대료는 아버지에게 주변 시세와 똑같이 드리고, 농번기에는 주말·휴일도 없습니다. 야근, 밤샘도 많아요. 천안 연암대학에서 2개월간 숙식을 하며 강도 높은 교육을 받고, 전문가와 상의해 면밀한 사업계획서까지 마련하며 1년 넘게 준비를 했는데도 힘이 들어요. 제가 선택한 길이라 스트레스를 덜 받고, 농한기(12~1월) 재충전 시간이 있다는 게 그나마 장점이죠."

그는 작년 농번기 때는 밤새도록 인부들이 쓸 낫을 갈고, 낮에 마무리 못한 밭일을 하느라 휴대용 랜턴과 전구를 켜고 작업을 하는 일이 많았다고 했다. 그는 고등학교 1학년인 딸이 대학에 갈 때까지 '기러기 아빠' 생활을 농촌에서 해야 하지만, "새 일터에서 안정된 기반을 잡기 위해 이 정도 각오는 하고 왔다"고 했다.

◇"귀농도 취업, 감상은 금물"

지난 12일 경기도 수원에 문을 연 농촌진흥청 산하 귀농귀촌 종합센터(031-299-2200ㆍwww.returnfarm.com)에는 요즘 예비 귀농·귀촌자들의 문의가 쇄도한다. 전화 상담원들의 목이 쉴 정도다. 센터 관계자는 "한 사람이 많으면 하루 200통의 문의전화를 받는다. 호기심 차원의 문의도 많지만, 절반 이상은 진지하게 귀농 계획을 세우는 분들이어서 우리도 놀란다"고 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도시에서 농어촌으로 총 1만503가구, 인구로는 2만3415명이 빠져나갔다. 2010년 4067가구의 2.6배다. 작은 수도권 신도시 하나가 농촌으로 옮겨간 셈이다. 올해 귀농·귀촌자는 2만 가구를 넘을 것이라는 게 농식품부의 예측이다. 하지만 위 김영재씨의 사례에서 보듯 감상이나 낭만은 금물이다. 도시에서 창업하거나 취직하려는 사람 못지않은 준비가 필요하다.

농식품부가 선정한 우수 귀농인 25명 중 한 사람인 한동훈(36)씨 역시 철저한 사전 준비로 빛을 본 경우다. LG CNS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하던 그는 2009년 말 가업(家業)인 임업에 뛰어들어 13만2000㎡ 부지에 느티나무, 왕벚나무 등을 키우고 있다. 작년 수익은 1억원 정도. 그는 "귀농 전 1년간 전국의 임업농가 100곳 이상을 탐방하며 나무 품질과 품종을 파악했고, 요즘도 최신 재배 동향을 파악하고, 필요한 나무 품종을 확보하느라 한 달 1만㎞ 이상을 도로 위에서 보낸다"고 했다.

◇상대적으로 젊은 귀농 인구

귀농 열풍이 농촌에 반가운 이유는 귀농 인구가 기존 농촌 인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젊기 때문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작년 귀농자의 76%가 50대 이하로 전체 농촌 인구 중 50대 이하 비중 58%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귀농자 중 40대와 50대 비중은 각각 26%와 34%로 전체 농촌 인구 중 40대와 50대 비중인 12%와 19%를 크게 웃돌았다. 〈그래픽 참조〉

서규용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은 "30~40대 농촌 인구 평균소득이 도시보다 많은데 이는 젊은 영농후계자와 함께 귀농자들의 역할이 컸다"면서 "귀농자들이 농촌의 리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장태평 마사회장(전 농식품부 장관)은 "귀농인들이 스스로 '경영자'라는 자각을 가져야 한다. 농업도 다른 산업 못지않게 기술과 경영 능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아직 귀농자의 절반 이상(52.7%)은 생산기술이 단순하고 초기 투자 비용이 적은 벼나 배추로 농사를 시작한다. 이들이 보다 높은 기술을 요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작물에 도전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 농업계가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728x90
728x90

요즘 언론과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억대 부농 이야기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그런데 대강 계산해 보니까 전체 농민 가운데 억대 부농의 비율은 2~3%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아무리 농사를 잘 지어도 되기 힘든 것이 억대 부농인데 왜 그걸 전면에 내세우는가? 은퇴자들에게 듣기 좋은 소리로 귀농귀촌을 유도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아무튼 귀농귀촌자가 많아지는 것은 반가운 소식이나, 그들에게 억대 부농이니 그런 환상을 심어주기보다는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삶으로 전화하는 걸 알렸으면 좋겠다.  

---------






귀농·귀촌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반영하듯 전국적으로 귀농·귀촌 가구 수가 가파른 증가 추세다. 지난 2월 23일 농림수산식품부가 발표한 '2011년 귀농·귀촌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 가구 수는 1만503가구로 나타났다. 인구수로는 2만3415명으로 가구당 2.2명꼴이다. 귀농·귀촌 가구 수는 집계를 시작한 2001년 880가구이던 것이 2005년에는 1240가구, 2010년에는 4067가구로 급증하는 양상을 보이더니 지난해에는 급기야 1만 가구를 훌쩍 넘어서며 전년 대비 무려 158%나 증가했다. 이에 따라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귀농·귀촌 가구 수는 3만82가구로 늘어났다.


지역별로는 강원(20.6%)·전남(17.2%)·경남(16.8%)·경북(16.7%)순으로 가구 수 비율이 높았으며 이들 상위 4개 도의 비중이 71.3%를 차지했다.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합계로 보면 경북(22.4%)·경남(16.3%)·전북(14.8%)·전남(14.1%)·강원(12.5%)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귀농·귀촌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강원도는 전년 대비 7배 가까이 늘어나 주목을 끈다.

이는 강원도가 다른 지역 대비 수도권에 인접해 있으면서도 전원생활 여건이 좋기 때문으로 보인다. 아닌 게 아니라 지난해 귀농 가구와 귀촌 가구의 지역별 비율을 보면 전남(84.4%)을 비롯해 경북(70.8%)·경남(68.2%)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귀농 가구 비율이 높은 반면 강원도는 귀촌 가구가 70.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귀농 가구(29.7%)의 2.3배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1년 전국 귀농·귀촌 가구 중 귀농 가구는 62.3%로 귀촌 가구(37.7%)의 두 배 가까이 된다.

지난해 귀농·귀촌이 급격하게 증가한 배경에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시작 시점과 맞물리며 전원생활 등을 통한 인생 2막에 대한 수요가 많아진 데다 귀농·귀촌에 대한 달라진 시각도 한몫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지난해 연령별 귀농·귀촌 현황을 보면 50대(33.7%)·40대(25.5%)·60대(18.7%)순으로 높게 나타나 40~60대 비중이 77.9%에 달한다. 50대와 40대가 각각 전년 대비 142%, 118% 증가한 데 비해 60대는 무려 230%가 증가했고 30대도 160%나 늘었다.

귀농·귀촌 전 직업 현황 결과로는 가장 높은 비율이 자영업(27.5%), 그다음 사무직(19.3)과 생산직(8.8%), 주부(5.6%)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농어촌에 이주해 농어업에 종사하는 귀농자의 주요 작목은 경종(벼·배추 등 노지 작물)이 52.7%로 가장 많았고 과수(17%)·원예(13.1%)·축산(6.3%)순이었다.

베이비부머 은퇴 시작과 맞물려

연간 1억 원 이상의 소득을 올리는 부농(富農)도 늘어나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가 전국 농업인과 농업법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연봉 1억 원 이상의 고소득자는 1만6722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1만4641명) 대비 14% (2081명) 증가한 것으로, 농업인은 2009년 대비 14% 증가한 1만5959명으로 조사됐고 농업법인은 18% 증가한 763개로 나타났다.

종사 분야별로는 축산이 7844명(46%)으로 가장 많았고, 과수(2817명, 17%), 채소(2087명, 12%), 벼(1663명, 10%), 특용작물(1145명, 7%)순이었으며, 벼는 2009년 대비 41%가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축산업도 9% 정도 증가했다. 지역별 부농의 수를 보면 역시 축산업이 가장 발달한 경북이 7499명(44.8%)으로 가장 많이 분포돼 있다. 이어 전남 2753명(16.5%), 전북 1568명(9.4%)순이었으며 전남이 2009년 대비 148.7%로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50대가 8220명(49.1%), 40대가 3785명(22.7%)으로 나타나는 등 40~50대가 71.8%를 차지했다.

소득대별 분포는 1억~1억5000만 원 미만의 소득을 올린 농민이 9885명으로 전체의 59%에 해당했고, 1억5000만원~2억 원이 2949명(18%), 2억~3억 원이 2128명(13%), 3억 원 이상이 1760명(10%)으로 조사됐으며 이 중 10억 원 이상을 버는 초고소득 농민도 164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억~1억5000만 원 소득 농민은 2009년 대비 1019명(12%) 늘었으며, 2억~3억 원의 소득 농민도 20% (350명)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이처럼 부농이 증가하는 요인으로 영농의 규모화 및 생산성 향상, 부가가치가 높은 친환경 농업의 기반 확대, 가공 산업 육성, 판로 안정, 현지의 마케팅 경쟁력 증대 등을 꼽았다.

박진영 기자 bluepjy@hankyung.com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