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리6 와라비 모찌, 그것은 고사리떡 와라비 모찌, 와라비 모찌 해서 도대체 고사리로 어떻게 떡을 만든단 말인가 했는데... 그것은 우리가 먹는 잎과 줄기 부분이 아니라 뿌리로 만드는 것이었가. 쿠즈떡, 이른바 칡떡처럼 뿌리에서 전분을 추출해서 떡처럼 해먹는 것이다. 그러니까 한마디로, 구황식품이겠다. 먼저 고사리 뿌리를 캔다. 고사리 뿌리는 이렇게 생겼다고 함. 이걸 잘 씻으면 이런 색과 형태를 볼 수 있다. 믹서 등으로 잘 갈아서... 베 같은 걸로 잘 거르고. 재워 놓으면 전분이 아래에 가라앉는다. 몇 번을 반복하면 고운 전분만 바닥에 가라앉음. 그럼 그걸 잘 긁어모아 설탕과 섞고. 살살 끓이면서 졸이면... 와라비 모찌의 재료가 완성. 먹기 좋게 잘라서, 원하는 고물이나 양념 등을 얹어 먹으면 끝. 2024. 8. 25. 교토의 식문화 -1장 교토의 풍토 제1장 교토의 풍토 "여름은 덥고 겨울은 추운 도시" 교토는 왜 더운가?교토에 살고 있다고 하면, "얼마나 부러운지"라든지, "좋겠네요, 교토이니까" 등이라는 사람이 꽤 있다.너무 면전에서 부정하는 것도 거리껴서 입을 다문다.때로는 "아니요. 놀러 방문하면 좋은 도시이지만, 사는 건 꽤 힘들어서"라고 본심을 말하는데, 좀처럼 납득하지 않는다. 겸손해서 그렇게 말하고 있는 것처럼 생각하는 듯하다. 하지만 '살기에는 힘들다'라는 건 주민에게는 그대로의 감상인 것이다. 하나의 이유는 말하지 않아도 아는 '관광 공해'이다. 2020년에 들어서자마자 세계를 혼란에 빠뜨린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관광객의 발길이 뚝 끊겼지만 한때는 끔찍했다. 교통기관의 혼잡, 여행자의 캐리어의 바퀴 소리나 큰소리의 대화,.. 2024. 7. 15. 현대 농업의 일상적 모습 아래의 사진은 인도네시아의 팜야자를 재배하는 플랜테이션 농장의 사진이다. 얼마전 큰 산불이 나서 주변국들에게 연기 피해를 심각하게 끼쳤다는 소식은 들으셨을 것이다. 그 주요 원인이 바로 아래와 같은 팜야자 농장을 개발하기 위해 숲을 불태우는 행위와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 .. 2013. 7. 4. 숲을 밀어버리고 농경지를 만들어요 해리슨 포드 씨가 끝내주는 목소리로 전합니다. "이 풍경은 단지 숲이 불타는 게 아닙니다. 이것은 기후변화의 문제입니다." 우리가 즐겨 먹는 라면을 튀기는 데 팜유를 쓰죠. 그 팜유는 이렇게 숲을 밀어버리고 생산됩니다. 예전에 보도가 된 사진입니다. 인도네시아에서 팜야자 농장의 .. 2013. 3. 22. 교토의 슈퍼마켓에서 본 농축산물 여행을 가면 맛난 음식을 먹으로 식당에만 갈 것이 아니라, 그 음식을 만드는 재료를 파는 시장에 가 보라. 더 나아가 그 농축산물을 재배, 사육하는 농가에 가서 보고, 농민과 만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면 더욱 좋다. 여행을 가면 빼놓지 않고 들르는 곳이 마트나 시장의 농산물 판매점.. 2012. 12. 27. 「도서지방 나물과 약초의 생태민속학적 연구」를 읽고 이 논문은 생태민속학적 관점에 따라 기존 반농반어의 생계방식에서 ‘고사리섬’이라 불리게 된 남해 창선도의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그 주요한 요인은 자연환경과 사회적 변화로 인한 것이었다. 이를 ‘내부 혁신’을 통하여 새로운 생산기술이 확립·확산하면서 현재와 같은 모습을 형성하기에 .. 2011. 4. 1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