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랭지12 소양호의 흙탕물을 줄여라 지난 18년 동안 소양호 상류의 흙탕물을 줄이려고 1020억 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했지만 전혀 해결되지 않았다는 소식이다. https://news.v.daum.net/v/20191114145454749 1년에 약 57억 원의 돈을 썼다는 계산이 나오는데 안타깝네. 솔직히 답은 뻔하지 않은가? 고랭지의 밭에서 비바람에 의한 토양침식.. 2019. 11. 14. 고랭지의 토양을 지켜라 3탄 먼저, 고랭지 농경지의 토양침식을 막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는 농촌진흥청의 수고를 칭찬한다. 개망초를 시작으로, 눈개승마를 거쳐, 이번엔 콩을 들고 나왔다. 아마 소득 유인을 위해 선택한 것 같은데, 실제로 중남미에서는 경사지에 콩과작물을 이용해 토양침식을 막고 소득.. 2019. 8. 2. 강원도의 흙 강원도는 어쩔 것이냐. 지나친 경작, 비료와 농약의 남용, 그리고 토양의 유기물 부족 등으로 강원도 농경지의 흙은 완전히 망가진 상태이다. 그런데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예기치 않은 시기에 많은 비가 쏟아지니 그 비탈밭의 흙이 견디지 못하고 심한 침식이 발생했다고 한다. 이거 이러.. 2018. 5. 25. 고랭지 배추밭을 지켜라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azTO&articleno=547 고랭지 배추밭. 멋지죠? 그런데 농사를 아는 사람이 보기에는 우려스러운 것도 사실입니다. 그곳의 배추 덕에 도시민들이 옛날처럼 김장에 매달리지 않아도 김치를 먹을 수 있는 건 고마운 일인데, 배추가 자라지 않을 때는 삭막하거.. 2017. 12. 13. 고랭지밭의 흙을 지켜라 강원도의 고랭지밭. 이곳에 광범위하고 빠르게 배추 중심의 대규모 단작 농사가 확산되면서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으니, 그것은 바로 토사의 유출.토사가 얼마나 심하게 유출되는지 사람도 죽일 지경이 되었다고 한다. 하천의 생태계를 망치는 것은 더 말할 필요도 없다. 물론 농사.. 2017. 4. 18. 고랭지 농사는 지속가능할까? 한 베트남 농부가 카사바 농사를 기가 막히게 잘 지어서 왜 그런가 살펴보았더니, 카사바 농사에 풀과 콩과식물의 작은 나무를 활용하는 것이 비결이었다는 이야기. 그도 그럴 것이 카사바를 주로 산비탈에 심는데 엄청난 급경사도 있고 그렇단다. 그래서 토양침식도 빈번하고 그런 상황.. 2016. 8. 5.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