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고고학18

고대의 곡물이 우리에게 알려주는 사실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발굴된 고대의 곡물을 분석하니, 그 곡물들이 부족한 양분으로 재배했다는 결과가 나옴. 그를 통해 그 당시 사회가 농업의 집약화가 아니라 농경지의 확대를 통해 도시의 밀집화를 해결했다는 그림을 그리는 논문. 하지만 곡물을 재배하는 환경의 변화나 광대한 .. 2017. 6. 7.
소로리 볍씨는 가장 오래된 재배 벼인가? 한때 한국의 농업 관련된 사람들을 흥분시켰던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의 발견. 물론 그것이 의미는 있으나 가장 오래된 재배 벼는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하는 게 중요하다. 그 볍씨를 가지고 한반도가 최고의 벼농사 지역이었다는 둥, 그래서 우리 민족이 대단하다는 둥 하는 류의 이.. 2016. 6. 23.
멕시코에서 발굴된 초기 농업의 증거 멕시코 누에보레온(Nuevo Leon) 주에서 기원전 3500~3000년 무렵의 것으로 계산되는 수렵채집인의 씨앗, 옥수수자루, 옥수수 잎이 발견되었다. 아직 이와 관련된 고고학적 유적은 발견되지 않은 상태인데, 이 증거물들이 유목하는 수렵채집인의 것이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 멕시코에서는 1950~19.. 2013. 12. 12.
인간은 왜 농사를 시작했는가 Prehistoric "pantries": This illustration is based on archaeological findings in Jordan of structures built to store extra grain some 11,000-12,000 years ago. For decades, scientists have believed our ancestors took up farming some 12,000 years ago because it was a more efficient way of getting food. But a growing body of research suggests that wasn't the case at all. "We know.. 2013. 5. 27.
두류 재배기원에 대한 고고학적 고찰 두류 재배기원에 대한 고고학적 고찰.pdf 2012. 8. 21.
고고학은 농업이 아닌 좋은 농사를 가르친다 From GENE LOGSDON 난 최근에 농부가 역사학보다 현대 과학에서 지속가능한 농사에 관해 더 많이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농업은 "앞으로" 거대한 도약을 해왔고 고고학은 "뒤로" 거대한 도약을 해왔는데, 둘은 모두 흥미롭고 몰입하게 만든다. 둘의 작업은 불리한 조건에서 행해진다. 고고학은 조용.. 2011. 4.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