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12

중국이 모잠비크부터 미주리까지 세계의 먹이그물을 잣다 중국의 해외농업 투자에 대한 흥미로운 분석 기사가 있어 옮겼다.그러니까 중국이 먹을거리 확보를 위해 처음에는 개발도상국에서 원재료를 생산하여 운송하는 방식을 취했는데, 그것이 여러 난관 -토지수탈 문제, 지역민의 반발, 해당 국가의 농산물 무역 규제, 들쭉날쭉한 생산량 등- .. 2017. 5. 30.
아프리카의 비옥한 농지가 세계를 먹여살릴 수 있을까 에티오피아의 기근이 발생하기 쉬운 고원에서 농기구와 가축을 이용하여 한 가족이 밀을 수확하고 있다. 교육은 소농이 더 효율적적으로 일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밀 수확량은 여전히 세계 평균의 1/3 이하이다. 에티오피아 인구의 1/3 이상이 영양부족 상태이고, 정부에서는 이를 줄이고.. 2014. 6. 29.
소농은 대부분의 연구, 개발에서 제외되어 있다 Agricultural R&D must include smallholder farmers to maximise development impact Attitudes are improving, but some scientists think they do not need farmers’ help Moving to multi-stakeholder projects will require longer funding cycles Smallholder farmers must be more involved in the research process to meet farmers’ needs and maximise its development impact, a meeting has .. 2014. 5. 31.
실험실에서 만든 고기가 아프리카의 식량을 보장하지 못한다 앞으로 어떤 미래를 열어줄지 모르지만, 한마디로 엉뚱한 곳에 돈을 쏟아붓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여기에 투자할 돈을 아프리카 농민들이 직접적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업에 투자하면 어떨까? 특히 소농과 생태농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단체와 개인들에게 말이다. 여기.. 2013. 8. 7.
개발 위협에 놓인 에티오피아의 부족들 이 아름답고도 슬픈 영상을 보셔요. 요즘 한국에서도 열심히 추진하고 있는 선진국들의 해외농업개발사업이 싸질러 놓는 결과입니다. 물론 해당 국가의 권력기관도 책임을 져야겠지요. --------- 에티오피아는 적극적인 해외농업 투자의 관심을 받으며 2008~2010년 상업농장 사업을 위해 약 3.. 2013. 6. 5.
농지를 지켜라 유기농산물이라고 하면 대부분 '비싸다'고 인식한다. 물론 대개의 유기농산물과 관련된 식품은 확실히 '비싸다'. 그러나 꼭 그렇지만도 않다. 바로 계약재배가 가진 장점 때문에 그러한데, 특히 관행농의 생산비가 특별한 사건으로 급증할수록 더욱 그렇다. 다음의 기사가 그 좋은 사례를.. 2012. 12.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