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기후와 정치적 폭동 사이의 역사적 관계는 문서로 잘 정리되어 있다. 

역사가들은 1788년 프랑스에 가뭄이 찾아와 널리 흉년이 들고 식량 가격이 폭등하여 이듬해 프랑스 혁명이 일어났다고 생각한다.  최근에는 시리아에 2006-2010년 4년 동안 가뭄이 발생하며 일어난 대규모 실업 사태로 지금까지도 격렬한 내전을 겪고 있다.  

자극적인 새로운 보고서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악명 높은 범죄조직이 탄생했다는 사례를 제시한다. 

마피아는 시칠리아에서 처음 1860년 무렵에 나타났는데, 섬의 취약한 지방정부와 로마에서 먼 거리를 이용해 지역에서 갈취행위를 벌였다. 몇 십 년 동안 그 조직은 하찮은 범죄자들로 구성되어, 지방의 수도인 팔레르모 주변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다 1893년 그 지역에 심각한 가뭄이 들면서 엄청나게 변화했다고 MIT의 경제학자 Daron Acemoglu 씨와 요크 대학의 공동연구원 Giacomo De Luca 씨 및 글래스고의 스트래스클라이드 경영대학원의 Giuseppe De Feo 씨가 논문에서 이야기한다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아직 다른 학자들이 검토하지 않았다는 뜻)의 연구보고서로 발표된 이 연구는 시칠리아의 농민들이 가뭄 이전에도 이미 취약했다고 주장한다. 대부분의 농민들이 대규모 농지를 소유한 지배층의 자비로 작은 농지를 임대하거나 노동하는 날품팔이로 살았다. 1년 전 흉년을 겪은 뒤 찾아온 가뭄으로, 섬의 밀 수확은 절반으로 떨어지고 올리브유와 포도주, 보리의 생산도 비슷하게 감소했다. 논문에 의하면, 어떤 지역에서는 농업 생산이 1893년에 비해  65% 이상 떨어졌다. 

가뭄과 그로 인한 실업이 사회주의 운동에 불을 지폈고, 도시에서 시작되었지만 농민들이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하면서 Fasci Siciliani dei Lavoratori가 농촌에서도 퍼졌다. (Fasci의 이름은 “파시스트”와 똑같은 어원이다. —둘 다 이탈리아어로 “무리”라는 뜻— 하지만 후기의 정치 운동과는 무관하다.) 파쇼 운동은 곧 수십 만에 이르러 시칠리아 전역에서 177개의 지부로 조직되었고, 지배층에 항의하며 임금 인상과 장기의 토지 임대 계약 및 지주에게 더 무거운 세금을 부과해 세금 부담을 줄여 달라고 요구했다. 

지주들은 이탈리아 정부에게 파쇼를 해산시키기 위한 파병을 요청했다. 하지만 좌파 성향의 이탈리아 총리Giovanni Giolitti 씨는 농민에게 우호적이었다. 그래서 지배층은 자신들을 보호하고자 돌아서기 시작했다. 바로 마피아에게로.  1893년 내내 파쇼의 집회는 마피아 선동자들에 의해 난폭하게 붕괴되었고, 나중에 군대에 의해 진압될 더 큰 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논문은 몇 가지 전형적인 사건을 서술한다. 

1893년 12월 25일 유황 광산이 있는 팔레르모 지방의 큰 마을인 레까라Lercara에서, 그리고 1894년 1월 2일 트라파니 지방의 지벨리나Gibellina에서 지방 행정부와 세금에 항의하는 집회가 농촌의 경비요원들에 의해 폭력적으로 진압되었다. 두 사례 모두 종탑에 숨은 무장 경비요원이 중앙 광장의 군중을 향해 발포하고, 군대가 계속 개입하여 사망자가 증가했다.  비슷한 사건이 벨몬떼 메짜뇨Belmonte Mezzagno에서도 보고되었는데, 농민 두 명이 사망하고 여러 명이 부상을 당했다. 

연구진은 1885년과 1900년의 정부와 경찰 보고서를 인용해, 시칠리아 357개 자치체에서확산된 마피아를 지도에 표기했다. 그 결과, 가뭄으로 가장 심각한 영향을 받은 지역과 그에 이어 일어난 파쇼 사이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이 연구는 시칠리아의 도시와 마을에서 마피아의 활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0 (낮음)부터 3 (높음)까지의 척도를 활용했는데, 자치제에 파쇼가 존재하면 마피아의 활동이 1.5 포인트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보고서에서는 “1900년 시칠리아 전역에서 마피아의 강도 가운데 37%는 농민 파쇼에 대항하여 배치된 것일 수 있다”고 한다.  

몇 달 동안의 소요와 폭력 사태 이후 1894년 새로운 총리는 파쇼가 불법이라 선언하고,  대량 체포와 즉결 처형 같은 가혹한 단속으로 결국 운동을 종결시켰다.  지주들은 마피아를 사병으로 편입시켜 자신들의 지위를 유지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했지만, 그 결과 시칠리아에는 대담하고 막대하게 확대된 범죄의 요소가 남게 되었다.   

연구진은 이로 인하여 시칠리아의 경제와 공공기관의 효율성에 심각하고 장기적인 부정적 결과가 초래되어 지방 정부가 약화되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예를 들어, 1885년부터 1900년까지 마피아의 존재가 1에서 2로 증가한 지역에서 1921년 문해력이 약 10% 떨어지고, 1961년에는 고등학교 졸업률이 33% 감소했다. 또한 연구진은 마피아의 부상이 유아사망률의 증가와 상수도 같은 기반시설에 대한 지출의 감소로 이어졌다는 사실도 밝혔다.  저자들은 약한 자치제는 공공재를 제공할 수 없으며, “지방 정부의 역량 발전을 저해하는 많은 요인 가운데 하나는 여러 범죄 조직의 영향이다. 아마 아무도 시칠리아의 마피아만큼 유명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적고 있다. 

시칠리아의 마피아와 그 미국의 후손은 대부와 좋은 친구들,  소프라노스 같은 영화와 드라마를 통해 낭만적으로 그려졌다. 하지만 Acemoglu, De Luca, De Feo 씨가 시사한 바와 같이, 시칠리아의 부유층을 위해 사설 경비력으로 부상하여 약 100년 동안 섬을 파멸로 이끈 이들은 아무 매력도 없다. 

728x90
728x90
요즘 동남아와 아프리카에서 핫한 벼농사 방법인 SRI 농법이 있습니다. 영어로는 "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라 하여, 한국어로 옮기면 벼 강화 체계라고 하면 되겠죠?

이 농법은 1983년 프랑스의 예수회 신부인 앙리 뭐시기라는 사람이 개발해 마다가스카르에서 시험하여 크게 성공을 거둔 방법이지요. 핵심은 두 잎인 어린모를, 한 포기씩, 기존보다 듬성듬성 최소 25x25cm 이상의 간격으로 심어 이들이 마음껏 가지를 치고 뿌리를 뻗을 공간을 확보해주고, 논에 대는 물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대신, 풀을 제거하는 노동력이 좀 들어가는 그런 방식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할 점은 바로 물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인다는 점입니다. 물 관리법이 기존 벼농사와 다릅니다. 지금은 논에 물을 충분히 받아서 어느 정도 자란 모를 심는 방식이지요. 과거엔 이와 달리 물을 확보하기가 더 어려웠으니 논에 최대한 물을 받아서 키가 큰 다 자란모를 꽂는 방식이었구요. 이건 아주 어린모를 심기 때문에 논에 물을 많이 받을 수 없습니다. 고작 1-2cm 정도 겨우 찰랑찰랑할 정도만 받아서 모내기를 한답니다. 그러고는 그냥 말려요. 논에 물을 더 댈 필요도 없이 논이 마를 때까지 놔둡니다. 그렇게 논이 마르면 다시 물을 살짝 1-2cm만 댑니다. 단, 벼꽃이 피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물을 유지해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삭이 패면 또 물을 살짝 댔다가 말렸다가를 반복하다가, 수확하기 2-3주 전에는 아예 물을 떼어 버립니다. 그러니 기존에 가능하면 계속 물을 담아놓는 방식에 비해, 그리고 그 담는 양에서 얼마나 많은 차이가 나겠습니까. 물을 절약하는 벼농사 방식일 수밖에요. 허나, 물을 받는 가장 큰 목적 중 하나가 제초 문제 아니겠습니까? 그건 또 다른 방법을 강구해야 할 수밖에 없겠네요.

아무튼 가뭄이 이제 주기적으로 더욱 강하게 찾아올 것이라 예견된 이 마당에, 농사방법을 좀 다르게 해봐야 할 필요가 있지 않나 하는 생각에 잘 알지도 못하면서 떠들어 보았습니다.

사진은 SRI 농법을 실천하는 곳에서 촬영한 모내기 모습이랍니다. 물을 받은 건지 아닌지 모르겠죠?






728x90
728x90

작물 재배의 효율을 극대화하려는 이런 연구도 재밌긴 하다.

그러니까 일부러 '한골띄기(Skip-Row)'로 완충지역을 조성해서 가물었을 때 그곳에 있는 수분을 작물이 활용할 수 있어 물의 압박을 이기도록 돕는 방식이다. 이런 효과를 얼마나, 어느 정도로 배치했을 때 가장 효율이 좋은가를 연구한다.

아주 넓은 땅에 대규모 단작 방식으로 농사를 짓는 곳에서는 매우 유용하겠는데, 땅이 작고 오밀조밀한 농사를 짓는 곳에서는 어떤 식으로 응용해 볼 수 있을까 궁금하다. 아무튼 무조건 빽빽하게 심는 것보다는 어느 정도 공간의 여유를 주는 것이 작물들에게도 스트레스가 덜하겠다는 생각은 든다. 요즘 논은 사람이 걸어다니기 힘들 정도로 모를 배게 심는데 옛날 논에선 그렇지 않았다는 사실을 떠올려보면, 그런 효과를 고려해서 간격을 잡은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 그런다. 이것도 이야기하기 시작하면 한도 끝도 없겠네.


http://cropwatch.unl.edu/2017/skip-row-corn-provides-improved-drought-tolerance-dryland-corn



Skip-row corn (left) and solid corn (right) in western Keith County in the extremely dry year of 2012. Both fields had suffered moderate hail damage. (Photos by Robert Klein)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농업의 소개  (0) 2017.03.20
유기농업의 병해충 관리  (0) 2017.03.15
맥류와 콩의 사이짓기  (0) 2017.02.21
벼논양어를 소개합니다  (0) 2017.02.17
생울타리 바람막이  (0) 2017.02.14
728x90

Huynh Anh Dung(34) 씨가 베트남 속짱Soc Trang 성에 있는 가족 농장을 둘러보고 있다. 그의 벼농사는 소금기 있는 물 때문에 2월에 망했다.


 베트남의 푸릇함으로 가득한 메콩강 삼각주 한가운데 있는 When the rice shoots began to wither on Lam Thi Loi의 농장에서 벼 싹이 시들기 시작했을 때, 그녀는 어려운 선택에 직면했다. 메마른 땅에서 죽도록 놔둘 것이냐, 아니면 강에서 소금기 있는 물을 퍼올려 기회를 줄 것이냐. 


이곳의 많은 숙련된 농민들처럼 그녀는 소금기 있는 물을 주었다. 벼는 며칠 안으로 죽어버렸다.


베트남의 최고 곡창지대인 메콩강 삼각주는 프랑스 식민지 시절인 1926년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후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다. 거대한 균열이 어디에서는 발 깊이까지 단단한 땅위에 새겨졌다. 누렇게 말라 죽은 벼들이 들판에 가득하다. 가뭄은 해충이 땅위에 쪼끌쪼글 말라 죽어 있을 정도로 심각하다. 


“내가 13살부터 벼농사를 지었지만, 이런 가뭄은 처음 봅니다”라고 깔끔히 정돈된 거실에 앉아 Loi(38) 씨는 말한다. “2월에 벼 1가마를 수확했어요. 지난해에는 1.4톤이었죠.”


동남아시아에서 엘니뇨의 효과가 점점 더 심해지면서 폭염이 증가하고 강수량이 줄어드는 기상 현상의 원인이 되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곳 삼각주의 흉작도 그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한다. 그러나 그것만이 전부는 아니다.




농민들은 공산주의 정부가 전통적으로 1~2모작을 해오던 자신들에게 3모작을 강요한 결과, 토양의 양분이 고갈되고 가뭄에 더욱 영향을 받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바닷물이 평소보다 얕아진 메콩강 하류에 침범하고, 전보다 더 먼 삼각주까지 소금기 있는 물이 쓸려와 논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베트남 인구의 1/5인 1700만 명이 거주하는 삼각주의 13개 성 모두는 농경지의 소금물로 고통을 겪고 있다고 정부에서는 이야기했다. 농업농촌개발부는 3월에 20만 가구가 심각한 물 부족을 겪고 있으며 그 숫자는 증가할 것이라고 보고했다.


소금기 있는 물은 오래전부터 삼각주에 침범해 왔지만, 가뭄 때문에 강에 충분한 민물이 부족하고 그 지류에는 바닷물이 뒤섞였다. 염분이 더욱 해로운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벼 작물의 위기는 벼 재배에 중점을 두는 정부의 정책을 더 수익성 있고 실용적인 대안인 새우 양식업을 권장하는 등으로 조정할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자연보존을 위한 국제연합(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의 고문인 Nguyen Huu Thien 씨는 말한다.



속쩡 성에 사는 Lam Thi Loi(38) 씨. “내가 13살부터 벼농사를 지었지만, 이런 가뭄은 처음 봅니다”라고 한다.



“베트남은 태국 다음가는 세계 2위의 쌀 수출국입니다”라고 동남아시아 지역을 언급하며 Thien 씨는 말한다. “그러나 농민들은 빛을 보지 못했기에 영광도 없고, 삼각주에서는 많은 이주자들이 생겼죠.”


정부는 베트남 전쟁에서 공산주의가 승리한 뒤 1970년대를 뒤따라 “쌀 우선” 정책에 푹 빠져 있다. 당시는 사람들이 굶주리고 국가는 고립되어 무역 상대도 잃고 제조업 부문도 없던 때였다.


그때 당시, 정부는 소금물을 빼고 벼 재배에 더 나은 상태를 만들고자 삼각주에서 주요 운하를 따라 흙 제방을 건설하기 위하여 사업팀을 동원했다고 코넬 대학에서 삼각주에 대해 연구하는 Timothy Gorman 씨는 말한다.


그는 정부에서 재정을 지원받은 수문이 1990년대에 건설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2001년까지 소금물을 저지하는 데 진저리가 난 일부 농민들은 수문을 공격하고 파괴했으며, 삼각주의 서부 지역에서 타이거새우를 양식하려고 했단다. 


많은 농민들이 소금기 있는 물이 새우 양식에 좋다고 알고 있다고 Gorman 씨는 말한다. 그러나 벼에 대한 보조금 때문에 새우 양식업으로 전환하기 꺼려한다고.



메콩강 삼각주의 속쩡 성에서 벼농사를 짓는 Huynh Anh Dung 씨는 가뭄으로 농사가 망했다.



삼각주 상류의 수력발전 댐의 건설과 중국 남부 윈난성의 댐은 악재를 더하고 있다. 


메콩강 위원회(Mekong River Commission )에서 발표한 2010년의 연구는 라오스와 캄보디아의 11개의 댐 건설이 귀중한 퇴적물을 가두어 삼각주에 도달하는 것을 가로막을 것이기에 우려를 표했다. 보고서는 무시되었고, 2개는 건설중이고 나머지는 앞으로 건설할 예정이다.


베트남의 보기 드문 양보로 중국은 지난 3월 윈난성의 댐에서 물을 방류했지만, 수량이 너무 적어서 벼농사의 흉작을 막지 못했다고 베트남의 정부기관은 이야기했다. 


주민들 사이에서 정부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지방정부는 그것을 숨기고 있다고 주민들은 말했다. 지난 10월 메콩강으로 유입되는 캄보디아 똔레샵의 수위가 위험할 정도로 낮았다고 한다.


논을 젖시는 데 도움이 되는 베트남 안장An Giang과 동탚Dong Thap 성에 있는 다른 두 중요한 취수원 역시 수위가 매우 낮았다.



속쩡 성의 가뭄으로 말라붙은 운하. 1년 전에는 배가 지나다닐 수 있었다.



Loi 씨는 아무런 경고가 없었다고 한다.  그녀는 앞당겨서 쟁기질하고 파종했다. 그녀는 1천 달러 이상의 종자, 비료, 노동력 비용을 잃었다고 한다. 


그런데 그녀가 이 문제를 논의하고자 최근 지역관리가 소집한 모임에 참석했을 때 마을사람들은 경멸을 받았다고 그녀는 말한다. “그들은 120달러만 나에게 제안했어요.”라고 그녀는 말했다. “그건 아무것도 아니예요. 우린 그들과 협상할 권리조차 없어요. 그들은 농민들이 아무것도 모른다고 얘기해요. 그러나 우리는 농사일에 전문가예요.”


두 시간 거리에 있는 강의 유역에서, 더욱 번창한 벼농사 농민인 Huynh Anh Dung(34) 씨는 약 100년 전 할아버지 때부터 물려받은 7200평의 농사를 짓는다.


그가 2월에 소금기 있는 물 때문에 벼농사를 망쳤을 때, 그는 3모작을 버리기로 결심했다. 그는 또 한다는 게 어리석은 일임을 알았다.


“친구가 염분을 측정하는 기계가 있어요”라고 그는 말했다. “1000에 4.8이었어요. 1000에 2 이상만 되면 어떤 식물이든 죽어요.”



속쩡 성의 Nga Nam 수상시장에서 많은 농민들이 농산물을 내다 팔며 생활한다.



일부 농민들은 마을 인구의 절반이 마을을 떠나 호치민 시로 일자리를 찾아갔다.


마을에는 일부 Dung 씨 같이 세련된 목재 가구와 텔레비전, 길가의 오토바이와 강가의 모터보트를 지닌 편안한 가정의 농민들이 있다.  그 집에서는 얼음을 갈아넣은 부드럽고 달콤한 아이스티가 손님에게 제공되었다. 


Dung 씨는 조상의 땅을 물려받아 머물러 있다. 그는 농사로 충분한 돈을 저축하여 시간제 일자리가 필요없다. 그의 삼촌은 가족농장의 일부에 유기농 여주를 재배하기 시작하여 잘 되고 있다.


최근 아침에, 그는 농지에 얕은 도랑을 파려고 일꾼을 고용했다. 비가 내리면 현재 땅에 박혀 있는 소금기가 더 빨리 사라지게 하려고 말이다. 


평안한 삶은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2010년 댐에 대한 보고서의 저자 가운데 하나인 Thien 씨는 말했다. 너무 많은 댐들이 상류에 자리잡아 퇴적물의 부족이 100년 안에 결국 삼각주를 죽여 황무지로 만들 것이다.


“댐의 충격은 되돌릴 수 없을 것입니다”라고 그는 말했다. 


Dung 씨는 미래를 멀리 내다볼 수 없었다. 그가 염해와 그을린 땅을 생각할 때, 멀리서 천둥소리가 들렸다. 6개월 만에 처음으로  먹빛 구름이 머리 위에 떠 있었다. “비가 오면 좋겠어요”라고 그는 말했다. 





http://mobile.nytimes.com/2016/05/29/world/asia/drought-and-rice-first-policy-imperil-vietnamese-farmers.html?smid=tw-nytimesphoto&smtyp=cur&referer=




728x90
728x90

우리가 옷을 발가벗고 맨몸으로 햇빛과 공기 중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당연히 추위와 더위를 더 느끼고, 피부는 건조해질 것이다.


흙도 마찬가지이다.

흙을 우리의 피부라고 생각해 보자.

흙이 햇빛과 공기 중에 그대로 드러나 있다면 어떨까?

당연히 더 뜨겁거나 차가워지고, 또 증발량이 많아져 건조해질 것이다.


수분이 적당하지 않은 흙에서는 농사 또한 잘 되지 않는다.

흙을 맨살 그대로 노출시키지 않는 방법으로는 덮개식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덮개작물이라 하지 않고 덮개식물이라 한 것은, 살아 있는 풀을 이용하는 방법과 베어낸 풀이나 짚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기 때문에 그렇다.


다음 동영상을 보고 이제는 가급적 흙에 예쁘고 멋진 옷을 입혀주도록 하자.

내 옷만 살 일이 아니라 흙을 잘 가꾸고 꾸미는 일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양의 유형과 개량제  (0) 2015.02.03
무경운 이앙기  (0) 2015.01.28
왜 무경운이 중요한가  (0) 2015.01.25
전통 농법의 중요성  (0) 2015.01.25
녹비작물을 심자  (0) 2015.01.14
728x90


A trader herds his camels at Pushkar Fair in the desert Indian state of Rajasthan. Picture taken November 2013. REUTERS/Stringer




NEW DELHI, June 18 (Reuters) - About a quarter of India's land is turning to desert and degradation of agricultural areas is becoming a severe problem, the environment minister said, potentially threatening food security in the world's second most populous country.

India occupies just 2 percent of the world's territory but is home to 17 percent of its population, leading to over-use of land and excessive grazing. Along with changing rainfall patterns, these are the main causes of desertification.

"Land is becoming barren, degradation is happening," said Prakash Javadekar, minister for environment, forests and climate change. "A lot of areas are on the verge of becoming deserts but it can be stopped."

Land degradation - largely defined as loss of productivity - is estimated at 105 million hectares, constituting 32 percent of the total land.

According to the Indian Space Research Organisation that prepared a report on desertification in 2007, about 69 percent of land in the country is dry, making it vulnerable to water and wind erosion, salinization and water logging.

The states of Rajasthan, Gujarat, Punjab, Haryana, Karnataka and Andhra Pradesh are the among the most arid. These are some of the cotton and rapeseed growing states of India.


728x90
728x90


Raul Taborga of Denny's Organic Farm sells vegetables and berries grown in Nipomo, Calif., at the Marina del Rey farmers market. 



fesh fruits and vegetable prices will go up an estimated 6%  in the coming months, the federal government said Wednesday, as California’s ongoing drought continues to hit price tags in grocery stores across the country.  

"You’re probably going to see the biggest produce price increases on avocados, berries, broccoli, grapes, lettuce, melons, peppers, tomatoes and packaged salads,” said Timothy Richards, a chair  at the Morrison School of Agribusiness at Arizona State University. 













In its monthly report on the food price outlook,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said the price of fruit and vegetables will continue to rise.


As farmers continue to battle for water in the summer months, The USDA’s Economic Research Service reported that California’s drought has the potential to increase food price inflation above the historical average in coming years.  


Although the department is sticking with its overall forecast that U.S. food prices will increase by up to 3.5% this year over last, it cautioned that the cost of meat, dairy, fruit and vegetables will jump.


California farmers produce half of the nation’s fruits and vegetables, and most of its high-value crops such as broccoli, tomatoes and artichokes.


But the rising cost of water has forced farmers to idle about 500,000 acres of land and produce less, making certain foods more expensive.


“Lettuce prices increased the most and that’s a direct result of the California drought,” said Annemarie Kuhns, an economist with the USDA.  “Almost 70% of the nation’s lettuce is grown in California.”


The department now expects 2014 U.S. fresh fruit prices to jump by up to 6%, up from its May projection of about 4%. A devastating citrus disease in Florida also sent citrus prices up 22.5% this year.


Consumers will also see a bump in dairy prices due to increased demand.


Drought conditions in states like Texas and Oklahoma have also driven up beef prices 9% this year, and the department expects that hike to continue.   


“The drought in 2012 damaged a lot of feed crops,” Kuhns said. “As a result we have the lowest herd size in the U.S. since 1951.”


California’s three-year drought is also affecting staple crops such as rice, which could also cost 10% to 20% more this year, said Daniel Sumner, director of the Agriculture Issues Center at UC Davis.


Swelling prices have been an ongoing trend after the parched state survived its driest year on record.


Food prices rose half a percent in May, the largest hike since August 2011, according to the U.S. Labor Department, and California farmers expect the hikes to continue.


“Consumers will see rising food prices because farmers have had to significantly curtail production due to lack of water,” said April Mackie, an advisor for the American Farm Bureau.


Mackie also works for a large, 7,500-acre strawberry and vegetable farm in Salinas, Calif. She said the drought will boost the prices of her crops next season, and Americans should expect to pay more for fresh food as the years go on.


“We are seeing issue with the water levels within our wells, so we will have to plant less crops next season and that’s what increases U.S. prices,” said Mackie.


The Salinas farm planted more strawberries this season because they use less water, cutting production of lettuce, broccoli and other veggies by 25%.


"We have conservatively projected that the average American family will spend about $500 more on food this year because of the drought," said Paul Wenger, president of the California Farm Bureau. "But with what we are hearing from farmers, we expect that number to go up."

728x90
728x90





  • Sri Lanka is smarting under a severe drought

  • Dry spell has resulted in 20 per cent shortage in crop yield

  • Government is pushing for alternative crops that require less water





Sri Lanka is in the throes of a possible drought, which could adversely affect its farm output this year, indicate latest updates from the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agencies.
 
A 15 per cent reduction in paddy production is expected during the main harvesting season that ended in April due to dry weather conditions, says a report released by the World Food Programme and Sri Lanka’s ministrie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disaster management on 19 May.
 
According to the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sation (FAO), the food grain output could be 3.8 million metric tons, nearly 20 per cent lower than that of 2013. This, in fact, is about eight per cent lower than the average harvest recorded in the last five years, says FAO’s latest global information and early warning system on food and agriculture.
 
“The losses are mounting because we have not had any significant rains since last November,” Rajith Punyawardena, chief climatologist, department of agriculture says.
 
“The urgent need is to come up with an integrated national policy that brings together agriculture, water resources, nutrition and healthsectors,” he says.
 
One of the worst-hit regions is the northern province. The province registered a shortfall of whopping 60 per cent as the harvest was mere 112,000 metric tons as against an estimated 300,000 metric tons.
 
“The losses were primarily due to planted area drying out for the lack of water,” Sivapatham Sivakumar, provincial director for agriculture tellsSciDev.Net.  
 
Sivakumar says harvest losses in the northern province have raised fears of deteriorating food security among its poorer sections. The FAO said that April saw rice prices soaring to record levels, 23 per cent higher than a year ago.
 
Officials at Sri Lanka's department of irrigation warn that the drought is likely to extend due to a weaker monsoon due to set in by end-May.
 
“All the major irrigation reservoirs are running well below capacity level, at around 30 or 40 per cent. If the monsoon fails, our advice will be to reduce the harvesting extent,” Badra Kamaladasa, director general, irrigation, says.  
 
The Ministry of Agriculture proposes to use 35 per cent of the 779,000 hectares of paddy-growing area to plant alternative crops such as onions, potatoes and chilies during the dry season between May and August. The government will provide high yield seeds and fertiliser at concessional rates for farmers who are ready to make the switch.
 
Sri Lanka last suffered a similar dry spell between December 2011 and October 2012, which affected an estimated 1.8 million people living in arid parts of the country's northern, eastern and southern provinces; and cut the 2012 rice harvest by seven per cent compared to 2011.

728x90
728x90



Over the last few months, the cost of coffee has risen dramatically. Since January, the average price of coffee futures on commodity markets has increased by more than 50 percent:





It's taken a while for this to be reflected in the retail price of coffee, because roasters generally have a few months' stock of beans on hand. But we're finally beginning to see slight increases in retail prices of coffee too.


Last month, according to the Consumer Price Index, the average retail cost of a pound of coffee in the US went from $5 to $5.20, an increase of four percent. The underlying trends driving this rise have experts predicting that retail prices will continue to increase, especially for high-end speciality coffee blends.

So what are the causes of this recent price increase?

Ultimately, you can blame two main factors: a severe drought that's currently impacting Brazil and the swift spread of a disease called coffee rust in Central America.

Brazil is suffering from a wicked drought




You might not know it — because Brazil doesn't produce that many of the high-end speciality coffees that have the country of origin on the label — but Brazil is a giant in the world of coffee production.

It's easily the number one country in terms of total beans produced, and accounts for about about a third of all coffee grown on the planet. It also produces about half of the world's arabica coffee — a variety considered to be higher quality than robusta, the other widely-grown type.

That's why this year's drought in Brazil has had such a dramatic effect on world coffee prices. Normally, the harvest period in Brazilbegins in May, but the drought — which some are calling the worst in decades — has led to severely decreased yields this year.

Some growers are reporting yields that are down 30 percent from last year. In some cases, coffee plants' berries are ripening as they usually do, but when farmers go to harvest, there are no beans inside.

In total, Brazil's 2014 production of arabica beans is projected to be 16 percent lower than last year's. Given Brazil's critical role in the world coffee market, this is a huge deal.

A coffee rust disease is infecting Central America

In Guatemala, Rigoberto Umul shows the effect of coffee rust on plants.




If you combined the small coffee-producing countries of Central America (Guatemala, Nicaragua, Honduras, Costa Rica, and El Salvador) into one nation, it'd be second to Brazil in overall coffee production — and might be first in production of high-end speciality arabica beans.

But this year, a disease called called coffee rust is spreading across Central America, infecting plants in every country and driving down yields significantly. It's estimated to have caused more then $1 billion in damage this year so far.

"The fungus attacks the leaves," says Leonardo Lombardini, a plant scientist at Texas A&M. "It doesn't kill the plant right away, but the leaves fall off because they're infected, and the plants put out new leaves which then get infected. After several months of this, the plant ends up starving."

Even in cases where the fungus — which causes orange or yellow spots on the leaves before eating holes in them — doesn't kill the plants, it can reduce bean yields by infecting the coffee berries, ruining the beans inside.

The disease has been present in Central America since the 1970s, but scientists think the fungus has spread virulently due to unusually high amounts of rain during what is normally the dry season over the past few years. Increasing temperatures and other effects of climate change have also played a role.

"Locally, the coffee rust has been devastating," says Phil Arneson, a retired plant scientist who now tends his own small coffee farm in Honduras. "I had to cut down nearly half of my plants, and the remaining plants have lost many branches and will produce very little fruit."

The main weapon we have against coffee rust is the use of fungicides, but they aren't always effective and have other downsides. The chemicals are often too expensive for small-scale growers, and can't be used for beans intended to be sold as organics. What's more, scientists say excessive use of fungicides can be harmful to the people who harvest coffee beans, as well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ings are only going to get worse




In the short term, there are a few reasons why you might expect coffee commodity prices to continue rising — and for this to increasingly affect retail coffee prices too.

For one, meteorologists predict that El Niño will return this year. Many project that itcould bring drought to coffee-growing countries in Central America, further reducing yields.

Another short-term problem is one that makes coffee prices volatile in general. Coffee consumption isn't very elastic, meaning that it doesn't respond strongly to price increases.

When other commodities get expensive, usage can be curtailed — if corn prices went up significantly, for example, Coke might use sugar or another sweetener instead of high-fructose corn syrup in its beverages. The reduced demand for corn helps slow the increase in the cost of it.

For the most part, coffee doesn't work this way. An estimated 54 percent of American adults drink coffee every day, and tea won't suffice. Coffee is an exotic plant that can only be grown in very specific ecosystems thousands of miles away, but we've come to see it as a daily staple, and many Americans who depend on drinking it will do soregardless of price increases.

There are also longer-term problems that might cause coffee prices to continue rising in the coming years. one is that substantial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drought and coffee rust take time. Unlike say, corn, planting more coffee during the next growing season won't mean more beans are available at the next harvest — it takes several years for a coffee plant to reach maturity.

And even when it does, it might be struck by the rust fungus as well. As a solution, scientists are currently looking for and breeding rust-resistant coffee varieties (USAID recently donated $5 million towards this goal).

Still, there are even reasons to think that these efforts will be futile. "Coffee doesn't have a very broad genetic base," Lombardini says. "It originated from just a few plants that were taken out of Ethiopia a few hundred years ago, so it has a very narrow, homogenous genome."

This means that finding variations that might allow for rust-resistance will be difficult. Even if they're identified, a mutation in the fungus' genome could easily allow it to conquer the resistant plants. "My worry is that producers will over-plant this variety and when the inevitable mutant rust strain capable of infecting it arrives, we will be back towhere we are now," Arneson says.

And even apart from coffee rust, there are other long-term trends that suggest coffee prices will just continue rising. For years, coffee has been grown in developing countries and shipped off to wealthy ones, but the actual residents of those counties seem to be developing a taste for the delicious beverage. This could increase global demand.

More troublingly, scientists project that climate change could drive price increasesthrough a few different mechanisms. Coffee can only grow within a certain band of temperatures, so in Brazil, Uganda, Central America, and elsewhere, heat will reduce the suitable area. It'll also help pests spread, and extreme weather might increase the number of crop failures.

728x90
728x90

며칠 전, 몬산토에서 한화로 1조 원을 들여 기후 관련 빅데이터 업체를 인수했다는 뉴스가 떴다.

역시나 몬산토. 앞으로 무엇이 돈이 될지 잘 알고 과감히 투자하고 있다.

내가 만약 주식놀이를 했다면 돌아보지 않고 몬산토의 주식을 사들였을 것이다. 그만큼 탄탄하고, 앞으로 20년은 흔들리거나 무너질 염려가 없다고나 할까.

하지만 이 다국적 농기업이 농업 전반이나 생태계 등의 관점에서 보면,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은 면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물론 이에 대해 반박할 사람도 수두룩하다는 걸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적어도 나와 비슷한 관점을 지닌 사람들은 모두 동의할 것이다.


앞으로 몬산토과 기후와 관련하여 어떤 사업을 펼쳐 돈을 벌어들일지 예상하는 재미난 글이 있어 올린다.

의역과 오역이 난무하니 영어가 가능한 분이라면 원문을 보시길.

---------------







지구온난화는 지난주 9억3000만 달러에 기후변화를 지향하는 기후 관련 기업을 인수한다고 발표한 관행농업의 거인 몬산토에게는 끝내주는 사업기회가 될 수 있다.

세계 토지의 약 40%를 사용하는 농업은 앞으로 다가올 기후변화에 큰 영향을 받을 것이다. 2007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은 온난화가 해충 발생으로 이어지고, 기후와 관련된 극단적 날씨가 식량안보에 영향을 미치며, 상승하는 기온이 적도 지역의 농장의 생산을 저해할 것이라 예측했다. (적도에서 먼 지역에서, 기온 상승은 단기간에는 생산을 증가시킬 것으로 추산되나, 만약 장기적으로 계속하여 기온이 3도 정도 오르면 생산에 해를 끼칠 것임.) 한편, 세계 인구의 증가는 농민들이 농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걸 중대하게 만들 것이라고 캘리포니아 대학 데이비스 캠퍼스의 Tu Jarvis 교수는 말한다. "근본적으로 앞으로 식량생산의 증가는 단위면적당 생산량에 달려 있다"고 Jarvis 씨는 말한다. 기후가 어떤 장소의 농업을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더라도 말이다. 

한편 몬산토는 기후변화에 적응하려는 농민들에게 판매할 상품을 준비해 왔다. 다음은 이 기업에서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이미 판매하고 있거나 판매할 계획이 있는 다섯 가지 상품이다. 


1. 농민들이 기후변화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 몬산토가 인수한 기후 관련 기업은 "세계의 모든 사람들이  기후변화에 적응하고 기업을 운영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는 사명에 따라 농민에게 상세한 날씨와 토양 정부를 판매한다. 이 자료는 농민들이 자신의 작물을 더 잘 심고, 관리하고 수확하여 궁극적으로 더 생산적이 되도록 돕는 수단이다. 그 보도자료에 의하면, 몬산토는 농업 자료 기업이 200억 달러의 시장가치가 있으며, 이 도구를 사용하는 농민들이 수확량을 30~50부셸(알곡으로 1700~2800파운드)까지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번 인수에 관한 인터뷰에서, 몬산토의 국제전략 부사장 Kerry Preete 씨는 TechCrunch에게 "우린 기후의 패턴이 더 불규칙해질 것이라 보며, 그것은 농민들에게 엄청난 과제가 될 것이다. 우린 정보를 통해 기후로 인한 많은 위험이 완화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Preete 씨는 말했다. "만약 당신이 날마다 현장에서 기후변화와 토양의 상태에 기반을 하여 무엇이 일어날지 안다면, 우리는 정말 농민들이 자신의 수확량에 영향을 미칠 과제의 일부를 완화시키는 걸 도울 수 있다."


2. 폭염, 혹한, 가뭄, 홍수나 기타 극단적 외부조건에 대비한 보험. 기후 관련 기업은 현재 연방정부의 보조금을 받는 작물보험과 흉년이 되었을 때 추가적인 혜택을 지불하는 추가계획(supplemental plans)을 판매한다. 연방보험이 농민에게 흉년이 든 작물의 손익분기점까지 보상을 하는 한편, 기후 관련 기업은 이윤의 손실분을 보장한다. 몬산토는 이 보험 사업을 유지할 것이라고 했다. 

주요한 자연재해가 기후변화로 더 자주 발생하여 손실이 많을 것이라고 보험산업에 대한 우려가 크지만, 작물보험은 일반적으로 도시 지역의 밀도보다 더 적은 밀도의 손상을 입은 작물에 대해 보상을 하기 때문에 덜 위험하다고 일리노이즈 대학의 명예교수 Gerald Nelson 씨는 말한다. 



3. 가뭄 저항성 옥수수. 몬산토는 가장 최근 탄소 정보공개 프로젝트에서 잠재적 "기회"로 기후변화와 관련된 강수량의 변화와 가뭄의 영향을 정리했다. 거기에서 "기후변화는 또한 농업이 더 탄력적이 되어야 할 것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 기업은 그것이 "농민들에게 기후에 탄력적인 제품을 전달하기 좋게 한다"고 덧붙인다. 올해 몬산토는 최초로 가뭄에 저항성을 갖도록 유전자변형된 새로운 제품군을 양산하기 시작했다. 이 종자는 외부조건이 가물 때 더 적은 물을 활용하여 가뭄의 압박에도 견디면서 수확량은 일반적인 상황과 똑같이 나도록 변형된 것이라Farm Progress에서 보도했다.

옥수수가 최대의 농산물인 아프리카 남부에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에서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서는 "이번 세기의 말까지 그 지역은 기후변화로 더 건조한 곳이 될 것이고, 이는 농업을 위기에 빠뜨릴 것"이라고 예측했다. 가뭄 저항성 옥수수가 현재는 미국에서만 팔리고 있지만, 남아프리카의 하이브리드 옥수수에 대한 수요만 해도 2억5000만 달러로 추산된다고 로이터에서 보도한 바 있으며, 아프리카 대륙은 옥수수 생산에 이용할 수 있는 농지가 80억 평으로 추산된다. 몬산토는 사하라 남부의 아프리카에서 현재 게이츠재단의 자금을 지원 받는 Water Efficient Maize for Africa 프로그램과 종자와 가뭄 저항성 옥수수의 기부를 통해 지역의 단체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그 영향력을 높이고 있다고 로이터는 이야기한다. 


4. 재배하는 데 물이 덜 필요한 면화. 옥수수만 몬산토가 기후변화에 맞춰 유전자변형하는 작물이 아니다. 이 기업은 적은 물을 사용하여 재배하고 가뭄에서도 생존하는 "물 사용을 향상시킨" 유전자변형 면화도 시범적으로 생산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은 앞으로 기후변화가 남반구에서 면화 생산량을 감소시킬 것이라고 2007년에 예측했다. 텍사스처럼 면화를 생산하는 주에서는 폭염이 토양과 저수지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물을 증발시키는 물 부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미국 남동부의 대부분과 텍사스에 이르는 옥수수 곡창지대에 자리한 주들은 최근 폭염과 가뭄에 시달려 왔다. NOAA의 최근 보고서는 기후변화가 우리에게 일어나고 있는 극단적인 폭염의 강도와 가능성을 모두 높였지만 "2012년 미국 중부의 강수량 부족이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을 밝혔다.


5. 생물연료를 위한 작물. 1993년 이후, 몬산토는 특히 에탄올로 만들기 위해 설계된 다수확, 고발효성 옥수수 종자를 판매했다. 그렇게 한 최초의 기업이었다. 관련 프로그램을 통해 몬산토와 제휴한 에탄올 가공업자들은 옥수수의 단위당 더 많은 수율을 생산하기에 프리미엄을 주고 그 옥수수를 구입했다. 이 기업은 또한 생물연료의 생산에 쓸 콩과 수수도 판매한다. 

에탄올이 진정한 "녹색" 연료인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최근 온실가스 배출과 외국의 석유 의존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법안이 그 생산을 부추겼고, 옥수수로 만든 에탄올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하여 "경제적 기회가 사업에 중요해질 수 있다"고 탄소 정보공개 프로젝트에서 몬산토는 말한다. 



http://www.motherjones.com/environment/2013/10/monsanto-profit-climate-change-corporation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