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마른장마로 인한 가뭄으로 고통받는 제주의 농민들...

머리털 나고 처음으로 제주를 찾아가 깜짝 놀란 것은, 중산간에서도 대규모로 농사를 짓는다는 사실... 그리고 그것이 모두 지하수에 의존해서 이루어진다는 사실... 이었다. 그러면서 제주의 지하수 의존도가 너무 높아 큰 문제가 일어나지는 않을까 우려스러웠다.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제주에서 심심치 않게 가뭄 소식이 들린다. 제때, 제대로 비가 내리지 않으면 지하수가 없어 농업에도 심각한 타격을 입는다는 것이 그 소식의 골자이다.

관개방법을 효율적으로 고치지 않고서는 이대로 지속가능하지 않을 것 같다.
제주에서는 나름 저수지도 만들고 열심이지만, 그런 근대적 방식으로 공급량 자체를 조금 늘린다고 해서 해결될 문제는 아닌 듯하다. 

---------



 
▲ 뙤약볕에 농사짓는 것을 포기한 농민들이 마을회관에 모여 쉬고 있다.


뜨거운 햇볕이 내리쬐는 30일 오후 3시.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 한참 농사를 지을 시간에 마을 사람들이 농장에 있지 않고 마을회관에 삼삼오오 모여 있다.

“물 안 나오난 사람이 말라 죽엄서.(물 안 나와서 사람이 말라 죽어가고 있다)” 한 주민이 더위를 못 이긴 듯 연신 부채질을 하면서 말했다.

“밭에 나가도 할 일이 어서. 물이 나와사주. 다 손 놔부러서.(밭에 나가도 할 일이 없다. 물이 나와야지. 일을 포기했다)” 또 다른 주민이 기자에게 말을 건넸다.

마을 주민들은 일을 하고 싶어도 농업용수가 나오지 않아 일을 못하고 있다. 도대체 왜 물이 나오지 않는 것일까?

유수암리는 대부분의 주민들이 노인들이다. 중산간의 조그마한 마을이다. 이들 주민들은 주로 감귤 농사나 콩 농사를 짓는다.

마을의 콩밭으로 향했다. 뜨겁게 내리 쬐는 햇볕은 둘째치고라도 땅바닥에는 이글거리는 열기에 숨이 막힌다. 사람이 숨이 막힐 정도니 식물들은 얼마나 힘들까?


 


 

▲ 가뭄으로 땅이 메말라 농작물이 자라지 못해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1시간 가량 마을의 농경지를 둘러봤다. 물을 뿌리는 스프링클러는 멈췄다. 밭마다 농작물은 힘을 잃은 채 축 늘어져 있다. 일부는 노랗게 말라 죽어가고 있었다. 밭에서 일하는 농민은 찾아볼 수도 없다. 말 그대로 ‘황폐해진 상황’이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상황이 이런데도 최근 이 곳에 농업용수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오랜 가뭄으로 인해 농업용수 조차 말라버리고 있는 것이다.

“난 물 안줭 내불엄서. 물 계속 못 주민 결국엔 거둘 것도 어실껀디. 무사 일 나가사크라 게. (난 물 안 주고 내버려둔다. 물을 계속 못 주면 결국엔 거둘 것이 없을 텐데. 왜 일을 나가겠냐.)” 강희춘(79) 할머니는 마을회관에 앉아 먼 산을 바라보며 한숨을 지었다.

“올해 농사 망쳐부런. 큰일 나서. 겐디 이거는 비가 와사주. 나라도 어떵 못 헌다 게. 기우제까지 지내신디 무사 안 왐신고 게.(올해 농사 망쳤다. 큰일 났다. 그런데 이일(농사일)은 비가 와야지. 정부도 해결하기 힘들 것이다. 기우제도 지내는데 비는 왜 안 오는지.)” 강 할머니는 푸념 석인 말을 이어갔다.

현재 유수암리는 농업용수를 하루는 아랫동네에, 하루는 윗동네로 번갈아가면서 뿌리고 있다. 워낙 들어오는 양이 적다 보니 골고루 물을 뿌리려면 어쩔 수가 없는 결정이다. 이렇다 보니 햇볕이 가장 뜨겁게 내리쬐는 낮에도 물을 뿌릴 엄두조차 나지 않는다.

이종환(67) 유수암리 이장은 “가뭄으로 용출량이 워낙 적다 보니 물이 턱없이 모자란다. 조금 있는 물도 나눠 쓰고 있다. 버티기 힘들다”고 하소연했다.

지난 10일에는 물 공급이 힘들어 질 것을 우려해 공사한 농업용수 관을 새로 연결한 신설분 통수식도 있었다. 그러나 단 보름 만에 고철쓰레기로 전락해 버렸다. 당시 물은 옮기던 수관에 이제는 물이 메말라 버렸기 때문.

기름진 땅을 꿈꾸던 중산간 주민들의 가슴에 비수가 꽂힌 셈이다. 주민들은 비가 오지 않는 야속한 하늘만 탓할 뿐, 더 이상 할 수 있는 방법이 아무것도 없다. 그러니 손을 놓는 수밖에.

이 이장은 “다음 달이면 식수도 부분 단수된다고 한다. 농작물은 물론 우리는 어떻게 사나 걱정이다. 먹을 물도 농사지을 물도 없다”며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 텃밭에 심은 고추와 호박이 오랜 가뭄으로 잎이 말라버렸다.


이날 제주 지역의 낮 최고기온은 36.6℃. 올해 들어 최고기온이다. 게다가 14일 동안 발효됐다가 이틀 동안 숨죽여 있던 폭염주의보가 다시 발효된 지 이틀이나 됐다. 그야말로 찜통더위의 연속이다.

이달 한 달간 제주 지역에 내린 비의 양이 지난해의 최저 3% 수준. 제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28일간 도내 강수량 분포를 조사한 결과, 고산 6.1㎜, 제주 14.7㎜, 성산 16.4㎜, 서귀포 18.8㎜다. 지난해 각각 195.1㎜, 207.3㎜, 169.9㎜, 195.5㎜인 것과 비교하면 3.1~9.7%로 극히 적다.

비가 연이어 오지 않은 날을 나타내는 ‘연속 무 강수일수’도 이달 한 달간 19~22일을 기록해 가뭄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처럼 가문 여름은 제주지역 중산간에서 보기 힘든 일. 때문에 중산간 지역에는 물 부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농업용수는 이미 바닥을 드러냈다. 마실 물도 언제 끊길지 모른 상황이다. 농민들의 가슴은 거북 등껍질처럼 갈라져버린 땅처럼 찢어지고 있었다.

하늘도 무심한지, 이런 상황에도 반가운 비 소식은 여전히 깜깜 무소식. 기상청은 다음 달 초까지 많은 비는 없을 것이라는 ‘청천벽력’ 같은 예보도 내놨다.

기상청 관계자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강한 세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다음 달 초순까지 제주도 지방은 대류불안정에 따른 국지적인 소나기를 제외하고 본격적인 비가 내릴 가능성이 적다”고 예보했다.

이 이장은 “여기 살아오면서 이렇게 가문 여름은 드물었다. 제주 중산간 하면 시원한 곳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지금 이렇게 더우니 그 명성도 사라졌다. 어떻게 버틸지 걱정이다”며 “다음 달부터 식수도 부분 단수 되는데. 어떻게 살아가라는 건지 모르겠다. 하늘도 무심하시다”며 하늘만 쳐다봤다. 


[제이누리=이소진 기자] 


728x90
728x90

기후변화로 농업이 어려워지고 있다는 말은 기후변화로 인해 농업생산이 어려워지고 있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그건 곧 생산량이 줄어들고 있다는 뜻이다.

생산량이 줄어들면 가장 큰 문제는 사람들이 먹고살 식량이 부족해진다는 뜻이다. 선진국은 돈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지만, 개발도상국의 경우 그렇게 하기 힘들다. 그래서 현재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 같은 곳에서 농업이 가장 뜨거운 감자로 취급되고 있는 것이다. 경제성장을 하려면 농업 부문의 발전(?)이 필수적이다. 농업생산성이 좋아져야지만 대부분이 소농으로 살고 있는 개발도상국에서는 충분한 노동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소농의 이탈은 곧 노동자의 양산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현재 세계의 선진국에 속한 기업들은 개발도상국의 농업개발에 아주 큰 관심을 두고 있다. 이들이 경제성장을 한다는 것은 자신들에게 새로운 시장이 확대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한국이 그러했듯이 현재 개발도상국의 소농들, 사람들도 큰 변화를 겪어야만 한다. 이농 현상, 토종 종자의 소멸과 새로운 하이브리드 품종(현재는 유전자변형 종자), 농업의 규모화와 현대화 등의 과정이 차곡차곡 진행될 것이다. 그 와중에 힘 없는 사람들이 스러져 갈 것은 보지 않아도 눈에 선하게 그려진다.

이러한 주류의 방향에 맞서 새로운 대안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아프리카에도 존재한다. 아래 기사에 그러한 사람들의 모습이 그려지고 있다. 아프리카는 과연 어떤 길을 선택할 것인가? 권력과 자본은 물론 한국에서 일어났던 그 일을 아프리카에서 되풀이하려고 할 것이다. 중요한 건 아프리카의 사람들이 어떤 길을 선택할 것이냐는 점이다. 난 그들이 현명한 길을 택했으면 좋겠다. 제발.

---------



기후변화의 위험 속에 놓인 식량안보와 농민의 생계와 함께 케냐는 정책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하나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만이 아니라 화학비료와 농약의 사용을 개선하고 확대에 의존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통지식과 국가의 생물다양성에 의지하는 것이다. 

전례 없는 기후변화에 직면한 소농들의 생존이 걸려 있다. 

농업부에 따르면, 약 800만 케냐 가구 가운데 500만이 직접적으로 그들의 생계를 농업에 의존하고 있다고 추산한다. 그러나 케냐의 농민, 특히 소농은 극단적인 기후 조건 때문에 불확실한 시대에 직면해 있다. 

지난 영농철의 자료를 보면 국가의 주요 수자원이 그들이 과거에 활용했던 것보다 적게 생산되는 걱정스러운 최근의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케냐 산, 마우 산림구역, 아버데어, 체란가니 구릉, 엘곤 산에서 발원하는 강과 하천의 물이 현재 덜 생산되거나 건기에는 완전히 말라버리고 있습니다”라고 리프트 벨리 주 엘버곤(Elburgon) 농업지도소의 Joshua Kosgei 씨는 말한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2012/2013년 케냐에 대한 보고에서는 "단기 우기"인 10~12월 동안의 강우량이 평균 이하였다고 보고했다. 또한 “건조한 기간이 이어져 싹이 제대로 트지 않아 3번까지 다시 심는 일이 늘어나고 있으며, 작물이 고사하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케냐 농업연구소(KARI)에 따르면, 케냐의 전체 4000만 인구 가운데 1000만 명 이상이 대부분 식량구호로 생활하는 식량불안의 상태이다.

농업 부문은 이 동아프리카 국가의 GDP 가운데 약 25%와 적어도 수출의 60%를 차지한다. 정부의 통계는 소규모 생산이 적어도 전체 농업 생산의 75%와 농산물 출하의 70%를 차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케냐 국립 통계국에서 약 11.7억 달러에 상당하는 국가의 최고 수출품인 차는 가장 위험에 처한 작물이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가 차 생산자의 비용을 총 수익의 30%까지로 높일 수 있다고 추산한다.


케냐의 농민, 특히 소농은 극단적인 기후 조건 때문에 국가의 주요 수자원이 지난 시기보다 부족해지면서 불확실한 시기에 직면해 있다.



“차는 기후변화에 매우 민감합니다”라고 센트랄 케냐 농업지도소의  Kiama Njoroge 씨는 말한다. “그 결과, 50만의 소농이 생계 불안에 직면해 있습니다.”

센트랄 케냐의 소농 Joel Nduati 씨는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것이 우리의 주요 문제입니다”라고 덧붙인다.

Nduati 씨는 농민들이 직면하고 있는 또 다른 문제는 물 부족이라고 이야기한다. “필요하지 않을 때는 물이 너무 많고, 이후 건기가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필요한 것은 이러한 변화에 견딜 수 있는 작물 품종입니다.”

그러나 Kosgei 씨에 따르면, 기후변화에 맞서기 위한 방법은 이미 개발되었다. 부족한 것은 효과적으로 이를 농민들에게 전하는 것이라 한다. 

“예를 들어, 케냐 차 연구재단은 45품종의 차를 개발했지만, 대부분의 농민들은 그것이 존재하는지 몰라서 아직 그걸 채택하지 않고 있습니다”라고 말한다. 

그는 또한 다섯 가지 새로운 감자 품종과 몇 가지 양배추 품종이 케냐 농업연구소에서 개발되었다고 덧붙인다. “그러나 현재 많은 농민들이 채택은 커녕, 이런 새로운 품종이 있었냐고 되묻습니다.”

이런 정보가 전파되는 일이 지도원의 부족으로 어려운 상태이다. FAO에서는 지도소 하나에 400명의 농민을 상대로 하라고 권장하지만, 현재 케냐는 지도소 하나에 1500명의 농민을 상대한다고 국제 농업농촌개발연합에서 지적한다. 

케냐의 소농은 그들이 할 수 있는 능력의 단 1/5만 생산하고 있다고 지도원은 이야기한다. 

그러나 모두가 Kosgei 씨의 처방에 동의하는 건 아니다.

케냐 중부 지역의 농민이 강우량 주기가 바뀌면서 작물에 물을 주려고 우물에서 물을 퍼올리고 있다. 

“해결책은 광범위한 풀뿌리 생태농업 운동을 촉진하여 토착지식을 회복하는 데에 있습니다. 서로 함께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농사 전략을 제공하는 방법입니다”라고 아프리카 생물다양성 네트워크의 책임자 Gathuru Mburu 씨는 말한다. 

“농민들은 화학물질을 남용함으로써 부적절하게 생산하고 있습니다. 농생태학은 동물의 분뇨를 활용합니다. 이전 수확에서 나온 잔여물도 거름으로 되돌려 농사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라고 Mburu 씨는 설명한다.

르완다와 에티오피아, 가나 같은 국가가 토착지식을 활용함으로써 식량안보와 생계를 상당히 개선해 나아가고 있다며 Njoroge 씨는 동의한다.  

그러나 농생태학이란 방법은 거대한 잠재력을 지닌 새로운 기술을 외면함으로써 일부에게 공격을 받는다. 

"화학물질을 범죄시하는 건 해결책이 아닙니다. 농민들은 과학적 혁신을 수용해야 합니다"라고 생물다양성 연구원 John Kamangu 씨는 말한다. “우린 더 높은 기온과 폭우에 견딜 수 있는 종자를 생산할 수 있는 유전자변형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Mburu 씨는 기후변화에 맞서는 전략으로 거대 다국적 농기업에게 의존하는 것에 반대하며, 아프리카에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경고한다. 

“아프리카의 정부들은 농업 부문에 대한 재정적 부담을 포기하고 있으며, 자금을 제공하면서 아프리카를 착취하는 다국적 기업을 위한 공간을 만들고 있습니다”라고 말한다. 

“이들은 화학물질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그들의 종자는 재배하려면 더 많은 화학물질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종자들은 또한 특정 지역에서만 재배할 수 있습니다”라고 Mburu 씨는 말한다. 

Kosgei 씨는 이러한 다국적 기업이 이익률을 중시하지 아프리카를 먹여살리지 않을 거라는 이야기에 동의한다. 

Mburu 씨는 또한 다국적 기업을 옹호하는 방법으로 정부들이 국가 식량의 적어도 70%를 생산하는 소농을 해칠 수 있는 정책을 채택하고 있다는 점에 우려한다. 

“다국적 기업은 비공식 부문, 즉 소농을 범죄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등에 업고 있습니다. 그 정책들 가운데 일부가 종자법과 반복제법입니다”라고 Mburu 씨는 설명한다. “반복제법은 인증된 종자만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인증받지 않은 토종 종자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이 법이 적용되면 더 이상 그걸 재배하지 못할 것입니다.”

Mburu 씨는 이러한 종자들이 “기후변화와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이러한 종자들은 수억 달러를 투자하는 세계의 6개 기업들에 의해 통제되며, 그 종자는 토종 종자와 비교하여 우리 생태계에 적합하지 않습니다”라고 이야기한다. 



http://www.ipsnews.net/2013/07/in-kenya-small-is-vulnerable/


728x90
728x90

농법에는 참으로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씨뿌리기부터 김매기, 북주기, 순지르기 등을 거쳐 수확하는 일까지 참으로 다양한 방법이 있다.

농사꾼에게 자신이 해온 농법을 바꾸라는 일은 그동안 자신이 살아오던 생활습관을 일시에 바꾸라는 말과 똑같다.

그만큼 농사꾼은 자신의 방법을 믿고 의지한다. 그도 그럴 것이 해를 거듭하며 쌓아온 관록과 경험이 그를 바탕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혹시라도 농법을 바꾸었다가 농사가 잘 안되거나 망하면 그 책임은 누가 질 것인가? 농법을 알려준 사람이? 절대 아니다. 그 말을 듣고 따라한 본인이 책임을 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농사꾼이 자신이 농사짓던 방법을 바꾸기란 더욱더 어려워진다.


그래도 바꾸는 때가 있다. 누군가 그 새로운 농법을 받아들여서 몇 해에 걸쳐 농사를 잘 짓는다면 그때서야 "나도 한번 바꿔 볼까" 하게 된다. 그것도 아니면, 보조금 등이 나오거나 그에 대한 확신이 서는 순간에는 언제 그랬냐는 듯이 무척 과감하게 농법을 바꾸곤 한다.


처음 농사짓는 사람들은 누구에게 농사를 배웠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왜,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말이 있지 않은가? 그 말과 똑같다. 

주말농사를 처음 시작한 사람들의 경우, 그 주말농장의 운영자가 누구인가에 따라서 농사짓는 방법이 결정된다. 거기서 확 바뀌는 일이란 앞의 농사꾼의 경우처럼 그리 흔하지 않다.


텃밭 농사를 시작하면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것이 바로 감자이다.

감자는 심는 방법도 쉽고, 관리하기도 쉬우며, 무엇보다 나중에 수확할 때 큰 기쁨을 느낄 수 있는 작물이라 초보 농부들이 좋아한다. 감자 하나를 캐면 감자가 줄줄이 알사탕처럼 들려 나올 때 느끼는 희열이란 이루 말할 수 없을 지경이다.


그런데 이 감자를 심는 방법에서도 크게 두 가지 모습을 보여준다.


먼저 아래는 요즘 많이들 쓰고 있는 감자 심는 법이다. 높고 좁은 두둑을 짓고 거기에 감자를 심는다.

이 농법은 '비닐'의 사용을 기본 전제로 하는 농법이다. 사진에는 비닐이 없지만 흔히 여기에다 이른 봄에는 투명한 비닐을, 좀 지나서는 검은 비닐을 덮고서 감자를 심는다. 

이렇게 심으면 좋은 점은, 감자가 높고 좁은 두둑 안에 집중적으로 달리기에 나중에 수확하기 수월하다는 것이다. 대신 김을 매고 북을 주는 데에는 불편할 수 있다. 그래서 비닐이 기본 자재로 쓰일 수밖에 없다. 저 두둑에 비닐을 덮어 놓으면 김을 맬 필요도 없고, 북을 줄 필요도 그리 크게 없다. 비닐이 보온만이 아니라 보습 효과와 잡초를 억제하는 역할까지 도맡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비닐을 쓸 때는 참으로 좋은 감자 심는 방법이지만, 비닐을 쓰지 않을 때에는 글쎄... 봄은 바람이 많이 불어서 건조한 날이 많은데 두둑이 너무 노출되어 있어 바람에 증발되는 수분도 많아진다. 감자가 수분이 많이 필요하지 않은 작물의 하나라고는 하지만 저렇게 드러나 있으면 별로 좋을 건 없다.





다음 사진은 '헛골 농법'을 활용하여 감자를 심는 방법이다.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평두둑에 밑거름을 준 다음 골을 탄다. 골을 타는 방향은 두둑의 방향대로 타도 괜찮고, 아니면 두둑과 직각이 되도록 타도 된다. 

이 골이 바로 '헛골'이 되겠다. 골은 골인데 진짜 골이 아니라 가짜 골이라서 헛골이다. 나중에는 이 골이 앞서 보았던 좁고 높은 두둑으로 변하기에 그러하다. 그건 나중에 더 살펴보도록 하고... 




그리고 헛골에 적당한 간격으로 구멍을 파고 감자를 심는다. 이렇게.




이 얼마나 간단한가! 좁고 높은 두둑을 만드는 노동력이나, 헛골을 타는 노동력이나 거기서 거기일 것이다. 감자를 심는 것도 마찬가지이고 말이다. 그러나 비닐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전제에서는, '헛골 농법'이 김을 매고 북을 주는 데 훨씬 쉽기 때문에 더 좋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가뭄을 덜 탄다는 점에서도...


참고로 나는 3가지 토종 감자를 심었다. 횡성에서 자란 감자와 사천에서 재배된 자주감자와 분홍감자. 이렇게 세 가지 종류이다. 양이 많지 않아서 올해는 증식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모든 작물이 마찬가지이지만, 감자 역시 그 싹부터 다르다. '싹수가 노랗다'라는 옛말이 허투루 나온 것이 아니라는 걸 농사지으면서 절실히 깨달았다.


먼저 횡성에서 온 횡성감자와 그 싹이다. 지난 12월 전여농 토종씨앗 행사에서 얻어왔는데, 깜빡하고 관리를 잘못하여 싹이 너무 길쭉하게 자랐다. 너무 긴 것만 제거하고 어지간한 싹은 그대로 심었다.



다음은 사천에서 재배되어 올라온 분홍감자와 그 싹.



마지막으로 역시 사천에서 재배되어 올라온 자주감자와 그 싹. 역시나 분홍감자나 횡성감자와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 보이는가?



감자 싹이 무럭무럭 자라면서 아래의 사진과 같은 모습이 된다. 아직은 풀이 많이 자라지 않았지만 조금만 지나면 헛골을 타느라 쌓아놓은 흙무더기에서도 풀들이 자랄 것이고, 감자의 줄기는 더 크고 튼실해질 것이다. 그때 감자에는 북을 줄 필요가 생긴다. 그래야 줄기에서 더 많은 뿌리들이 나와 알이 굵은 감자가 달릴 수 있기 때문이다. 감자의 북은 흙은 괭이나 호미로 헛골을 타면서 쌓아놓은 흙을 무너뜨려서 주면 된다. 그렇게 하면 북주기와 김매기가 동시에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헛골의 장점으로는 봄철에 가뭄을 덜 탄다는 점이다. 아무래도 두둑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기에 바람과 햇빛 등의 영향을 덜 받게 되고, 아침저녁으로는 이슬도 더 많이 맺히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가뭄을 덜 탄다는 점도 이 농법이 지닌 장점이다.




자, 그럼 헛골 농법의 완성형을 보자! 


3월 말에서 4월 초에 감자를 심으면 5월 중하순 무렵이면 순지르기도 끝낸 상태가 되고 흙더미에 풀들도 어지간히 자란다. 그러면 그 풀을 호미로 김을 매면서 흙더미를 무너뜨려 감자에 북을 주면서 높은 두둑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이 작업을 마치면 감자의 두둑은 아래와 같이 바뀐다. 두둥!



어떠한가? 놀랍지 않은가?

새롭게 생긴 두둑 위 고랑 부분의 풀은 일부러 덮어준 것이다. 처음부터 감자를 높은 두둑을 만들어 심는 것이 아니라 헛골에다 심는 방법의 과정은 이러하다. 앞에서 이야기한 장점들이 이렇게 하여 완성되는 것이다. 올해는 감자 농사가 잘 되겠다! 


하지만 역시 비닐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은 단점 아닌 단점이 될 수밖에 없다. 비닐을 사용하면 그 효과는 수확량으로 돌아온다. 똑같은 유기농이더라도 비닐을 쓴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의 수확량은 2배 정도가 차이난다고 한다. 유기농이냐 관행농이냐에 따라 또 2배 정도의 수확량 차이를 보인다고 하니, 관행농으로 농사지으며 비닐을 쓴 곳과 비닐 없이 농사지은 유기농 감자밭의 경우 수확량에서는 4배 이상이 차이가 난다고 보면 된다. 그러니 더 비쌀 수밖에 없지 않은가? 이렇게나 많은 노력과 정성이 들어가는데.


수월한 관리와 수확량을 목적으로 하는 농업에서는 비닐을 쓰는 편이 훨씬 경제적이고 효율적일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밭, 작은 밭에서 자급을 목적으로 하면서 농사짓는 곳에서는 비닐을 구하는 것이 오히려 더 어렵고 돈만 많이 들기에 비닐을 쓰지 않고 농사짓는 것이 훨씬 나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선택은 농사짓는 사람에게 달려 있다. 작은 평수에서 자급용 감자를 기르려고 한다면 난 망설이지 않고 '헛골 농법'으로 농사를 짓도록 권하고 싶다.





728x90

'농담 > 텃밭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안상추의 단점  (0) 2013.06.04
당분간 쌈밥!   (0) 2013.05.28
호박, 새싹이 나오다  (0) 2013.05.13
오늘의 텃밭 풍경  (0) 2013.05.13
앉은뱅이밀에 이삭이 팬 날  (0) 2013.05.08
728x90




Scarcity of water can be crippling to jobs and livelihoods, even in the richest nation on Earth as US farmers face worst droughts in living memory Photograph: David Gross/ZUMA Press/Corbis



As US farmers struggling with one of the worst droughts in living memory will tell you, a scarcity of water can be crippling to jobs and livelihoods, even in the richest nation on Earth. Amid the rice paddy fields of south-eastern Texas, the situation looks especially bleak.

Last week, the Lower Colorado River Authority voted for a second year running to withhold vital water from downstream farmers, citing precariously low reservoirs and a need to protect town supplies. It was a bitter blow for Edward Sunderman, manager of the Lucy Sunderman Farm in Colorado County, who depends on water as the lifeblood of his business.

"We don't have any crop unless we got irrigation," he says in his distinctive southern drawl. "I'm worried we might lose the farm 'cause we don't have any income." Sunderman, whose family-run farm has been operating since the 1940s, believes the dearth of water will devastate regional productivity. "There's 60,000 acres of rice that won't be planted all the way from here to the Gulf of Mexico."

The food industry's reliance on water, and susceptibility to drought, of course is nothing new. According to the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sation, food production accounts for 70% of all the freshwater extracted from lakes, aquifers and waterways – rising to almost 95% in developing countriesIndustrial usage pales in comparison at 22%.

Erratic and extreme weather, much of which is caused by climate change, only serves to highlight and exacerbate the industry's dependency problem. Yet with two-thirds of the planet predicted to live in water stressed regions by 2025, and a world population hurtling towards eight billion, competition for this precious resource is only set to grow.

Greater affluence in emerging markets and a predilection for water intensive, western-style appetites is seemingly aggravating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Fund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1,000 to 3,000 litres is generally required to produce a kilogramme of rice, while a kilogramme of grain-fed beef will sap some 15,000 litres. A tomato requires just 13 litres.

Such is the gravity of the growing water/food crisis that scientists from the Stockholm International Water Institute warned last year that unless industry and consumers drastically re-orientated toward vegetarian products by 2050, there may not be enough freshwater to feed the world's population.

"A vegetarian diet is less resource intensive not only in terms of water, but also land and energy use," says professor Jan Lundqvist, senior scientific advisor at the institute. "The problem is that a large part of the world's population is not used to only having vegetarian food." As such, Lundqvist believes businesses and consumers must also be persuaded to reduce excessive overeating and wastage.

"The amount of meat and dairy products that people are buying is much larger than they are eating. If people were more conscientious and would eat only what is necessary from a nutritional point of view, the demand for meat and dairy products could be reduced substantially," he says.

"Water scarcity and getting access to affordable, nutritious food are undoubtedly some of the biggest risks facing humankind – and they are likely to get worse in the future," says Dan Crossley, executive director of the Food Ethics Council, based in Britain. "However, it's not as simple as suggesting we all switch from food with high water footprints, like beef, to food which requires less water.

"Water's a very localised issue, and it's not just the quantity of water that's important, but also the quality."

Allegations abound of manufacturers in developing countries depleting or damaging local freshwater to produce nutritiously dubious products, but, even where operations do not impact a community's supplies, can multinationals really justify creating water intensive foodstuffs for foreign markets when so many in the source nation lack clean water?

Crossley suggests the issue is fundamentally an issue of rights. "We should not assume," he explains, "that we in the UK somehow have more of a right to the water that goes into producing our green beans or our tomatoes than those living in the [places] where they're grown."

Aware that water scarcity presents real challenges, the cohort of companies looking to find solutions is expanding. In Britain, industry body the Food and Drink Federation launched the Every Last Drop campaignto focus on the practical steps that can be taken to conserve water, including tracking usage and reducing, recycling and reusing supplies.

Food manufacturers "want to be responsible and do the right thing" insists Andrew Kuyk, the federation's director of sustainability. "What we eat in this country does affect the availability of water for domestic communities in Africa, South America, Australia or various other parts of the world – there is an inter-connectedness through global supply chains."

Around a quarter of food and drink manufacturers in England and Wales have now committed to reducing water usage by 20% by 2020. But if they want to fully protect themselves against future water crises, they need to think about the whole of their supply chain, says Kuyk. "In some parts of Africa the combination of temperature rises and water scarcity will mean that some traditional crops may not be viable in ten years time. So if you are a chocolate manufacturer you need to start thinking: what are the potential alternative sources?"

Many observers point to technological changes to help avert water crises. From genetic engineering and innovations in purification and desalination to novel changes to irrigation, recycling, piping and storage, there is reason to believe that water scarcity is not an "insoluble" problem, says Kuyk.

But as long as water is cheap, the disincentive to invest in water efficiency may be too great. "If you can turn a tap on and get water for free, why would you spend £20,000 installing a piece of machinery?"

Desperately seeking less water reliant crops, Sunderman has experimented with soy beans and sesame seeds, but to little avail. "Nothing else will grow here," he says, reflecting on Colorado County's all too changeable climate, where long periods of dry can be interrupted by short, sharp downpours.


728x90
728x90


Sprinklers water crops in Bakersfield, California, during a heatwave. Photograph: David McNew/Getty Images

The world's food crisis, where 1 billion people are already going hungry and a further 2 billion people will be affected by 2050, is set to worsen as increasing heatwaves reverse the rising crop yields seen over the last 50 years, according to new research.

Severe heatwaves, such as those currently seen in Australia, are expected to become many times more likely in coming decades due toclimate change. Extreme heat led to 2012 becoming the hottest year in the US on record and the worst corn crop in two decades.

New research, which used corn growing in France as an example, predicts losses of up to 12% for maize yields in the next 20 years. A second, longer-term study published on Sunday indicates that, without action against climate change, wheat and soybean harvests will fall by up to 30% by 2050 as the world warms.

"Our research rings alarm bells for future food security," said Ed Hawkins, at the University of Reading, who worked on the corn study. "Over the last 50 years, developments in agriculture, such as fertilisers and irrigation, have increased yields of the world's staple foods, but we're starting to see a slowdown in yield increases."

He said increasing frequency of hot days across the world could explain some of this slowdown. "Current advances in agriculture are too slow to offset the expected damage to crops from heat stress in the future," said Prof Andy Challinor, at the University of Leeds. "Feeding a growing population as climate changes is a major challenge, especially since the land available for agricultural expansion is limited. Supplies of the major food crops could be at risk unless we plan for future climates."

Hawkins, Challinor and colleagues examined how the number of days when the temperature rose above 32C affected the maize crop in France, which is the UK's biggest source of imported corn. Yields had quadrupled between 1960 and 2000 but barely improved in the last decade, while the number of hot days more than doubled.

By the 2020s, hot days are expected to occur over large areas of France where previously they were uncommon and, unless farmers find ways to combat the heat stress that damages seed formation, yields of French maize could fall by 12% compared to today. Hawkins said there will be some differences with other crops in different locations, but added: "Extreme heat is not good for crops."

The second study is the first global assessment of a range of climate change impacts, from increased flooding to rising demand for air conditioning, of how cutting carbon emissions could reduce these impacts, published in Nature Climate Change. "Our research clearly identifies the benefits of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 less severe impacts on crops and flooding are two areas of particular benefit," said Prof Nigel Arnell of the University of Reading, who led the study, published in Nature Climate Change.

One example showed global productivity of spring wheat could drop by 20% by the 2050s, but such a drop in yields is delayed until 2100 if firm action is taken to cut greenhouse gas emissions.

River flooding was the impact which was most reduced if climate action is taken, the study found. Without action, even optimistic forecasts suggest the world will warm by 4C, which would expose about 330m people globally to greater flooding. But that number could be cut in half if emissions start to fall in the next few years. Flooding is the biggest climate threat to the UK, with over 8,000 homes submerged in 2012.

Another dramatic impact was on the need for air conditioning as temperatures rise. The energy needed for cooling is set to soar but could be cut by 30% if the world acts to curb emissions, with the benefit being particularly high in Europe. However, climate action has relatively little effect on water shortages, set to hit a billion people. Just 5% of those would avoid water problems if emissions fall.

"But cutting emissions buys you time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s impacts]," said Arnell. "You can buyfive to 10 years [delay in impacts] in the 2030s, and several decade from 2050s. It is quite an optimistic study as it shows that climate policies can have a big effect in reducing the impacts on people."

Ed Davey, the UK's secretary of state for energy and climate change, said: "We can avoid many of the worst impacts of climate change if we work hard together to keep global emissions down. This research helps us quantify the benefits of limiting temperature rise to 2C and underlines why it's vital we stick with the UN climate change negotiations and secure a global legally binding deal by 2015."

728x90
728x90




For more than a decade, academic and industry scientists have promised crops that would endure hot, dry weather. That weather has arrived. The crops have not. In a land where corn is king, the king is stunted and withered.

How could this be? The answer offers a window into some of the fundamental tensions of modern agriculture, with no easy scapegoats nor obvious solutions.

“We need a systems approach to doing this — improved genetics, improved agronomy, adopting some organic methods,” said Doug Gurian-Sherman, a food expert at the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a nonprofit advocacy group. “If we just rely on the companies, we’re not going to get there.”

“It’s arguably the most important trait for world food stability that there is,” said Joe Keaschall, director of maize research at Pioneer Hi-Bred, the world’s largest corn seed producer.

In the United States, corn covers an area the size of California, and nearly all the seed comes from Pioneer and Monsanto. It’s been a biotechnological bonanza: 88 percent is genetically engineered, primarily for resistance to pests and herbicides.

The first drought-tolerant varieties, however, bred by Pioneer and branded collectively under the Optimum AQUAmax trademark, only went on sale in 2011, as did Syngenta’s AgriSure Artesian corn. Another variety, developed by Monsanto and called DroughtGard, was approved by the USDA this year and is expected to go on sale in 2013.

None have been tested in large-scale, real-world conditions, and the claims made for them are cautious: They won’t flourish during droughts, but might do a bit better than existing plants, hopefully surviving for one more rainfall.

'There will be no silver bullet.'
If they work as advertised, the varieties could be quite useful in droughts of low to moderate intensity. Their utility in the crucible that much of the central and western United States is expected to become, however, will likely be limited.

It’s a far cry from traits like Bt pesticide production and Roundup herbicide tolerance. Those are powerful and ubiquitous, the agricultural analogues of blockbuster drugs, and have dominated company research efforts. “They are incredibly large products, and that’s why the companies have emphasized them,” said agricultural economist Greg Graff of Colorado State University.

Given the costs of developing new products, agriculture companies, just like drug companies, focus on those with the biggest payoffs. As for drought tolerance, said Graff, “We haven’t been trying that hard for that long.”

Yet even if drought tolerance hasn’t been a central commercial priority, it hasn’t been ignored. As Keaschall noted, Pioneer has worked on it since 1977, and so have hundreds of academic scientists. A more fundamental problem is sheer biological intractability.

Unlike pest or herbicide resistance, drought tolerance doesn’t come from a few easily added genes. It’s the result of complex traits involving hundreds of genes, their activity difficult to orchestrate. “Drought is not going to be a single-gene solution,” said Keaschall.

Even when the genetics can be grasped, they’re often antithetical to farmers’ aims. A slow-growing plant with tiny leaves that shutters its metabolism in the absence of rain would do fine during a drought, but for farmers it’d be slightly more useful than a cactus.

Indeed, inasmuch as high productivity is required of drought-resistant corn, the limitations of genetics may be inescapable. “If you add it all up, what it says to me is that there are limitations to what you can do in a plant like corn,” said Gurian-Sherman.

That makes non-genetic approaches, such as using cover crops to manage soil characteristics and fine-tuning planting times, all the more important. But those methods are knowledge-based, and it’s much harder to monetize knowledge than genes.

As a result, research in those areas has lagged, said Gurian-Sherman. “We need to invest public research into those things that companies are not doing as much, such as agroecology and breeding other crops that are promising but neglected,” he said. “The efficiency of these methods could be greatly improved, and they need to be. But the result is going to be methods farmers can use, not products.”

Pioneer’s Keaschall said the company does work with these methods. “We’re doubling the number of agronomists working directly with customers,” he said. “The idea is to work with growers to get the right product on the right acre with the right management.”

The drought is expected to last through October.Image: National Weather Service

In some ways, this disagreement resembles that around new crops genetically engineered to resist multiple herbicides, a controversial approach prompted by industrial over-reliance on a single approach to pest control. Companies say they’ve learned their lesson, but that remains to be seen.

According to Graff, there’s another, subtler challenge to confront: limited consumer demand.
“When you sit down and talk with the farmers about this kind of thing, and with the companies that develop new seeds for them, I think the single most important insight is that market demand for this kind of trait is weak,” he said.

For all the social catastrophe caused by drought, and all the hardships that farmers do endure, farmers can buy insurance, Graff said. They can buffer themselves against the risk of drought — not completely, but enough to reduce the commercial value of drought tolerance.

“There’s a lot of traits for which there’s not enough incentive on the table for private investors,” Graff said. “It’s not a smart investment for anyone — except for society at large, because it improves the productivity of our agricultural base and keeps the price of food down.”

Graff suggests subsidizing farmers to purchase drought-tolerant seeds and focusing public research on market deployment rather than basic research. The public return on investment, he said, would be between 20 and 50 percent. Gurian-Sherman put that figure around 200 percent.

But even if all this advice were taken, the genetics and agronomy and economic facts perfected, the possibility remains that a drought like this summer’s — the worst since the Dust Bowl, emblematic of weather patterns predicted to result from climate change — might be too much to handle.

“Once it’s really bad, nothing is going to help,” Graff said.

“We need to acknowledge that there are limits to what we can do,” said Gurian-Sherman. “We need to be much more forthcoming that climate change is real, that it will make these situations worse, and that we need to do something about it.”


728x90
728x90





728x90

'곳간 > 사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자  (0) 2012.11.26
'밥상 주권' 위기  (0) 2012.11.24
1959년 충주 수박밭  (0) 2012.07.20
일제강점기 작물별 재배면적  (0) 2012.07.11
명태 어획량  (0) 2012.07.11
728x90




Consumers can expect the worst US drought in 50 years to cast a shadow across food prices throughout 2013, according to fresh government data released today. The estimates are the first to capture the effects of this summer's drought in America's heartland, and show food prices increasing at a rate well above normal expectations.

"We're expecting another year of tough food prices, bad news for consumers," said USDA food economist Richard Volpe.

"The difference between normal and higher than normal in this case is one hundred percent attributable to the drought," Volpe said. The food price index data is released by USDA each month; it is a set of numbers that indicates how much an average shopper is likely to pay at the supermarket.

Normal food inflation has been between 2.5-3.5 percent in recent years, Volpe said, and is calculated to include a variety of pushes and pulls on the economy, including fuel prices and the state of the American dollar. That so-called normal inflation rate will largely play out for the rest of this year, all things being equal, he said. The drought will surface in food prices next year.

Climate Desk has illustrated a handful of basic groceries in the graphic above, comparing the average prices for the last full year of data, 2011, with USDA's projected prices for 2013. While price increases may not seem too severe on the surface, they add up for a family on a budget across a year.

Climate Desk approached the USDA to ask whether food assistance programs like WIC or SNAPwill increase to help families meet their budgets. USDA spokesman Alyn Kiel said via email that price fluctuations are taken into account:

"USDA accounts for changes in food prices and the number of WIC participants when calculating the total budget request for WIC. The level of funding is set by Congress," he wrote. "USDA’s food plans... are updated monthly and reflect fluctuations in food prices."

One estimate says that the US, the biggest player in the world corn market, could slash world corn supply by 60 billion tons as a result of the drought. Looking further afield, food prices in the US have a big impact not only on prices around the world, but also on the potential forsocial unrest in developing countries. 

Animal-based perishable foods will be hardest hit. The USDA projects that poultry products will rise 3-4 percent next year, compared to this year's average. The biggest rises are seen in beef and veal, rising 4-5 percent from 2012 averages (Volpe says structural problems play a role in this sector, alongside the drought). Dairy products will take a hit too, rising up to 4.5 percent.

There is a lag in food prices because it takes time for the effects of a drought to ripple across the food system. Many food manufacturers lock in long-term prices with primary producers. Consumers are likely to see price hikes once the contracts are up, said Joe Parcell, Director, Agriculture and Applied Economics at the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We're going to start feeling the impact from September onwards," he said.

More than 60 percent of America's farms are located in areas experiencing drought. Two thirds of all crops and two thirds of livestock are produced in areas experiencing at least moderate drought.

It will take a another year before the drought has moved through the system, USDA's Volpe said.


728x90
728x90

In the midst of the nation's worst drought in 50 years, two of the world's largest agricultural companies are testing corn that is bred and genetically engineered to withstand low rainfall levels.

Monsanto's DroughtGard hybrid corn -- the first-ever hybrid genetically engineered for drought tolerance -- was planted this spring in initial field trials. Sowed amid sufficient rain and optimism for a record-breaking crop yield, the company has encountered a close to worst-case scenario to test its product.

In addition, DuPont Pioneer's hybrid AQUAmax corn -- developed using advanced breeding techniques rather than biotechnology -- debuted last year with five different versions. This year, the company is launching six more with drought tolerance traits combined with pest resistance and other high-yielding attributes.

But the drought ripping through the Midwest is persistent and widespread. Despite positive feedback from farmers, the companies admit that cutting-edge technology can only go so far.

"We know there's a limit; we know you cannot grow corn without water," said Jeff Schussler, senior research manager in maize stress product development for Dupont Pioneer. "There's nothing magical about these hybrids."

The western Plains states typically experience drought conditions nearly every year, but this year's arid weather is more widespread and is hitting the heart of corn country.

"I don't think there will ever be a solution for this severe of a drought," said Mark Edge, DroughtGard marketing lead at Monsanto. Instead, the company seeks to reduce losses.

"It's really about managing risk," he said. "It's still corn, and it still needs water."

Nevertheless, both companies are pleased with early anecdotal results of their work. About 250 farmers on close to 100,000 acres across the western Great Plains planted DroughtGard in the spring.

Among those is Clay Scott, a corn grower in western Kansas who volunteered to grow the engineered corn as part of Monsanto's field trials.

"We're starting to see some real winners in the plots," said Scott, whose land is located in a region in extreme to exceptional drought, according to the U.S. Drought Monitor. "I'm excited about it."

Last year, yields of AQUAmax corn were observed 8,000 times, with 680 of those considered to be in a stressed environment. AQUAmax yields were 7 percent higher in the stressed environments compared to conventional hybrids.

Questionable gains to society
Drought resistance comes through the plant's ability not lose its hydration through respiration. The hybrids are bred or engineered to reduce the size of the plant's stomata, pores on the surface that regulate the flow of water inside and outside the plant. In addition, genes to improve and increase kernel development or combat pests increase yield despite the lack of available water.

In turn, the agriculture companies expect to produce corn plants with less leaf rolling, indicating that the crop is managing water stress better. AQUAmax corn growers have reported full and uniform corn silk, said Schussler, which facilitates successful pollination and forms an ear full of kernels.

Scott, the Kansas grower who draws his groundwater from the strained Ogallala Aquifer, expects to yield 200 bushels per acre for his irrigated corn and 100 bushels for dryland corn. If conditions continue, the National Corn Growers Association anticipates a 131-bushel national average, far below the 167 bushels per acre anticipated in the spring.

The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a group advocating for the environment and scientific integrity, has been particularly critical of agricultural companies' claims, targeting the largest of them all: Monsanto.

The group released a report in June finding that Monsanto's drought-tolerant corn will only offer modest protection for drought tolerance. While it may help individual farmers recoup yield losses in drought conditions, it would not increase food production to sustain a climate-stressed world, the report says (ClimateWire, June 5).

DroughtGard would only increase productivity by less than 1 percent per year, said the report's author, Doug Gurian-Sherman, a senior scientist in the group's Food and Environment Program.

In the face of criticism, big agricultural companies have repeatedly said that advanced genetic manipulation -- through biotechnology or advanced breeding technology -- is no bull's-eye solution but is simply a tool to better manage arid conditions.

"We've always told farmers they need to have realistic expectations," Schussler said.

In a climate-stressed world, farmers will need to adapt with new management practices, and Edge hopes using drought-resistant hybrids will re-emphasize the importance of water conservation.

"We can make progress," he said. "But it's one step at a time."

Reprinted from Climatewire with permission from Environment & Energy Publishing, LLC. www.eenews.net, 202-628-6500


728x90
728x90

예전에는 논의 한쪽 귀퉁이에 둠벙이라고 하여 조그마한 연못이 마련되어 있었다. 뭐 논 하나하나에 있었던 건 아니지만 중요한 곳곳마다 둠벙을 설치하여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벼를 수확한 이후에는 거기에서 물고기도 잡고, 겨울에는 개구리도 잡아다가 먹었다. 이렇게 둠벙은 수리시설이면서 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유지해주는 공간이면서 좋은 영양공급원이기도 했던 것이다.

그러던 곳이 언제부터인가 하나둘씩 사라지기 시작했다. 아마 양수기가 팔리기 시작하고, 지하수를 퍼올리는 관정이 뚫리고, 콘크리트로 농수로를 정비하고, 경지정리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그때부터였을 것이다. 둠벙은 결국 바둑판 같이 반듯반듯한 논들이 자리하는 것과 함께 하나도 남김없이 사라지게 되었다.

그런데 몇 해 전부터 전라남도에서 둠벙을 되살리는 사업을 벌인 적이 있다. 처음 그 사업을 기획하고 시작한 것은 다른 목적보다 관광자원화의 의미가 컸던 것으로 기억된다.(http://blog.daum.net/stonehinge/8726075) 그런데 뜻하지 않게 올해의 극심한 가뭄에 둠범이 제역할을 톡톡히 발휘했다고 한다. 둠벙을 설치한 곳은 그 덕에 가뭄을 덜 탔기 때문이다. 

논에 벼만 자라는 지금의 환경을 다시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 둠벙 때문에 농지의 면적이 줄어들고 기계가 들어가가 어렵다고 생각하지만 말고 새로운 가치평가의 기준으로 새로이 둠벙을 바라봐야 하지 않을까? 이러한 작은 규모의 저수지인 둠벙이 논의 곳곳에 설치된다면 굳이 거대한 댐이나 대형저수지를 짓지 않아도 충분히 가뭄을 이겨낼 수 있을 것이다. 파괴되는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을 것이고, 여러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관점의, 패러다임의 전환이다! 

--------- 



기록적인 가뭄에 물 부족 해결 ‘효자’ 역할

포토뉴스

경남 고성군 고성읍 대독리에 있는 둠벙의 모습.

 “올해는 둠벙 덕 제대로 봤어요. 20여가구의 천수답 300마지기(19만8,000㎡·약 6만평)에 지금도 양수기로 계속 물을 퍼올리고 있습니다.”

 둠벙이 가뭄해소에 큰 역할을 하면서 각 지자체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친환경생명농업을 군 주요 시책으로 추진하고 있는 경남 고성군의 경우 지역에 산재해 있는 237곳의 크고 작은 둠벙에 석축을 보강하고 취수 시설을 설치하는 등 지속적으로 개보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문식 고성읍 대독리 이장은 “올해처럼 가뭄이 심한 해는 논 가장자리에 있는 둠벙이 큰 힘”이라며, “온 나라가 가뭄피해를 겪고 있는 요즘, 농업용수를 확보하고 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큰 걱정을 던 셈”이라고 밝혔다.

 대독리처럼 고성군 관내에 조성된 둠벙은 10곳이다. 군은 그동안 모내기철 가뭄대책으로 농업용 암반관정사업을 추진해 왔으나, 지하수위가 점점 낮아지면서 효용성이 떨어짐에 따라 2010년부터 수원(水源) 확보 방향을 둠벙 조성으로 바꿨다. 

 진영철 고성군 건설재난과 주무관은 “비용 대비 효과가 암반관정보다 훨씬 좋아 농업인들의 호응도가 높다”며 “둠벙이 안정적인 농업용수 확보는 물론 빗물의 효율적 이용, 생태계 복원 등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고 밝혔다.

 전남도에서도 친환경농업을 육성하면서 조성한 둠벙이 가뭄해소에 크게 기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에 따르면 최근 가뭄이 지속되면서 천수답의 모내기 지연과 고추·참깨·고구마 등의 생육부진이 우려됐으나 큰 차질 없이 농사가 진행되고 있다.

 진도군 군내면의 경우 둠벙에 저장된 물을 활용해 2.5㏊의 천수답 모내기를 정상적으로 마쳤고, 고추·대파 등 밭작물에도 양수기로 물을 끌어다 주면서 가뭄피해를 막았다. 도는 2007년부터 친환경농업단지내 생태계 복원과 수질개선 대책의 하나로 둠벙 424곳을 조성했다. 오는 2014년까지는 200곳을 더 만들 계획이다.

 전종화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둠벙이 생태계의 보고로 알려졌지만 올해처럼 가뭄이 극심할 때는 농업용수원으로 활용돼 그 중요성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고 말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