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담/농업 전반

중국 상하이의 도시농업

by 雜것 2011. 5. 12.
반응형



상하이에서 먹을거리의 안전과 유기농산물의 비싼 가격이 일부 시민들이 깨끗하고 안전하고 값싸고 신선한 채소를 손수 기르게 만들었다(grow veggies) Yao Minji는 베란다 농부를 방문했다. 

Kevin Liu는 저녁으로 달걀에 골파를 넣어 볶은 요리를 하려고 창가에서 지난 봄 그가 심은 것을 수확하려고 한다.

Liu는 지난 봄부터 채소를 집에서 기르기 시작했고, 상하이의 수천 명이나 되는 "베란다 농부" 가운데 하나이다. 중국에서 먹을거리의 안전에 관한 관심이 높아져, 도시에서 스스로 채소를 기르는 것이 유행이 되었다. 그들은 더 안전하고, 신선하고, 값싼 채소를 길렀고, 베란다는 훌륭한 텃밭이 되었다.


2050년까지 세계 인구population의 80%가 도심에서 살 것으로 예상되어, 그들을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먹여 살리는 것이 정부의 과제로 다가올 것이다. 도시농업의 개념 –옥상 텃밭, 지역사회 텃밭, 수경재배법, 공중재배법을 포함하여– 은 세계의 도시에 새로운 것이 아니다. 8억 명이 도시농업에 참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예를 들어 PlanNYC 2030 프로젝트는 뉴욕New York 시민이 옥상 텃밭을 만들도록 일하고 있다;  설치비의 35%의 세금을 경감. 일본은 광섬유, 공기정화장치, 온도 유지기를 써서 성공적으로 지하에서 먹을거리를 기른다. 미국인 생태주의자 Dickson Despommier는 고층건물에서 농사짓고 가축을 기르는 수직농업(vertical farming) 또는 고층건물 농업(skyscraper farming)이란 발상을 제안했다. 

성장하는 먹을거리 수요

먹을거리(food)와 더 많고 좋은 먹을거리에 관한 개념은 또한 중국에서 높아지고 있다. 인구 통계학자에 따르면, 2009년 중국 인구(population)의 46.6%인 6억 2200만 명이 도심(urban center)에서 살고 있으며, 그 숫자는 2035년까지 70%로 높아질 것이라 한다.  

“도시농업(Urban farming)은 지구온난화의 충격, 쓰레기 감소, 대기 개선, 열섬효과 감소, 건강한 생태계 촉진에 도움이 된다”고 지속가능한 전략의 의사결정과 연구, 그리고 비영리 지속가능성 조직 GoodtoChina에 특화된 회사인 Kplunk의 설립자 Susan Evans는 말한다. 

“중국China에서 우린 녹색도시green cities에 대한 관심이 시작되는 것을 보고 있다. 도시농업이 옥상, 베란다, 고층 빌딩에 그것을 가져왔다”고 Evans는 말한다.

2009년에 그녀는 상하이Shanghai의 400가구에 대하여 지속가능성의 인식과 행동이란 Kplunk 연구를 주도했다. 거기서 조사자의 약 95%가 먹을거리의 안전에 관심이 있는데, “농사법, 농약과 화학비료의 수치, 제조과정에 대한 불신 때문”이란 사실을 발견했다.

그 조사는 또한 유기농산물이 너무 비싸고 구하기 어렵다는 것도 밝혔다.

2010년에 약 120명에 대한 또 다른 Kplunk의 연구에서는 60%가 손수 채소를 기르는 데 관심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변화를 위한 잠재력과 더 푸르르고 건강한 도시(greener healthier cities)를 개척하기 위한 능력은 거대하다”고 Evans는 말한다.

“그러나 아직 적합하지만은 않다. 체계가 아직 도시농업을 시작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간편하고 매우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쉽게 만들어지지 않았다.”

그렇다.

많은 도시민이 베란다와 창가에서 해보고 싶어 하지만, 프로젝트는 뉴욕의 경우처럼 한 아파트의 옥상을 너머 지역사회 텃밭이나 공공장소로 확대되기 어려운 형편이다.


2010 초반, 거주지역에서 채소를 기르려는 경향은 부동산 관리인이 많은 거주자들의 거름 냄새, 벌레에 대한 불만사항과 토지 소유권과 많은 다른 쟁점에 압도되면서 끝났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장식용 정원과 휴식공간이 일이 많은 텃밭으로 바뀌는 걸 바라지 않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