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庫間/문서자료

[스크랩] 우리나라 농, 축산물 가상수(假想水)

by 雜것 2011. 4. 4.
반응형

 

우리나라 농, 축산물 (假想水)

가상수(virtual water)란 90년대 초 런던대학교 Tony Allen 교수에 의해 제시된 개념으로, 어떠한 농산물, 공산품 등을 생산함에 있어 실제 완성품이 만들어질 때까지 소비되는 물을 뜻합니다. 이는 농산물이나 공산품의 수입과 수출이 실질적으로 물을 교역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 다는 것을 뜻하는데, 예를 들면 밀 1톤 생산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량이 1,000㎥이라고 한다면, 우리나라가 미국으로부터 1톤의 밀을 수입하면 1,000㎥의 물을 수입하는 것과 같다는 것입니다.

 

필요

 

수량(L)

 

필요

 

수량(L)

 

필요

 

수량(L)

1파인트 맥주 (568ml)

170

커피 1 (125ml)

140

오렌지 주스 1 (200ml)

170

우유 1 (200ml)

200

인스턴트커피 1 (125ml)

80

사과 주스 1 (200ml)

190

1 (250ml)

35

와인 1 (125ml)

120

오렌지 1 (100g)

50

1 (30g)

40

1쪽과 치즈 1조각

90

감자 1봉지 (200g)

185

달걀 1 (40g)

135

토마토 1 (70g)

13

햄버거 1 (150g)

2400

감자 1 (100g)

25

사과 1 (100g)

70

가죽 신발 1켤레

8000

A4 용지 1 (80g/m2)

10

티셔츠 1

(중간 사이즈)

4100

반도체 (2g)

32

주요 농축산물 및 공산품 가상수량 (출처: Zygmunt (2007))

 

그리고 물발자국(water footprint)이론은 UNESCO-IHE를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물이 어떻게 사용되고 어디로 이동하는 가에 대한 개념입니다. 즉, 물의 이력에 관한 이론으로 국가별 작물 생산량 및 수출입량을 산정하여 가상수의 이동을 추정하는 것입니다.

이 이론은 국가 내 총 가용수자원량 산출시 국제 무역을 통한 가상수 수출입량을 고려한 물수지 산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실제 Chapagain and Hoekstra (2004)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97년〜'01년 기간동안 가상수 순 수입량이 320억 리터에 달하여 전 세계 5위의 수입국이라고 합니다.

 

가상수 순수입국

가상수 수량 (억m3/year)

수입

수출

순수입

1. 일본

980

70

920

2. 이탈리아

890

380

510

3. 영국

640

180

470

4. 독일

1,060

700

350

5. 대한민국

390

70

320

6. 멕시코

500

210

290

7. 홍콩

280

10

270

8. 이란

190

50

150

9. 스페인

450

310

140

10. 사우디아라비아

140

10

130

'97년〜01년기간 전 세계 가상수 순수입국 상위 10개국 (출처: Chapagain and Hoekstra (2004))

물론 가상수와 물발자국 이론을 현실에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특히, 가상수는 생산단계까지 사용된 물을 주로 측정하기 때문에 2차, 3차 추가 가공단계를 거치는 물품의 경우 정확한 가상수의 산정이 어렵고 또한 사용된 물이 타 용도로 쓰일 경우의 기회비용이 고려되지 못하여 물의 경제적 가치가 정확히 반영되지 않은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국가별 물의 이동 흐름을 파악할 수 있어 한정된 수자원에 대한 갈등이 사회적 문제로 야기되고 있는 오늘날 물의 효율적 분배와 물 분쟁 등의 해소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분명 국가적 차원에서 본다면 가상수는 각 국가별로 물과 관련된 정책을 세우는 데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될 것임은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1인당 평균 물 사용량(물발자국)(㎥/capita/year) (출처: Chapagain (2006))

 

우리나라 농작물의 가상수를 주요 선진국과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가상수량을 보인 것은 으로서 11,390(m3/ton)의 가상수량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는 (5,016m3/ton)과 콩/대두(3,840m3/ton) 순입니다.

농작물

가상수량 (m3/ton)

한국

호주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일본

영국

미국

988

1,588

1,491

895

757

734

501

849

1,301

1,022

-

1,553

-

1,221

-

1,275

옥수수

1,042

744

353

482

442

1,493

-

489

호밀

662

6,513

1,588

492

352

-

686

332

메밀

2,555

-

1,782

1,107

-

3,450

-

2,850

5,016

-

-

2,982

-

6,733

-

-

콩, 대두

3,848

2,106

1,203

1,756

2,072

2,326

-

1,869

11,390

1,604

-

2,448

2,460

1,913

2,076

2,223

주요 농작물의 가상수량 (출처: Chapagain, A.K. and Hoekstra, A. Y. (2004))

축산물의 가상수량은 축산물 사료의 물의 양, 축산물이 마시는 물의 양, 축산물에게 부수적으로 들어가는 서비스 물의 총 양으로 정의되는데 농산물에 비해 국가별 편차가 크지 않습니다. 이는 축산물이 상대적으로 기후 등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축산물

가상수량 (m3/ton)

한국

호주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일본

영국

미국

5,408

6,251

5,567

4,689

4,672

5,549

4,659

5,874

10,586

11,730

9,636

7,744

7,768

9,535

7,759

10,063

돼지

2,802

6,126

3,276

1,936

2,110

4,082

2,106

3,374

쇠고기

17,091

18,936

15,559

12,506

12,545

15,395

12,531

16,248

돼지고기

3,163

6,766

3,631

2,152

2,345

4,550

2,333

3,732

가금류 고기

2,383

3,056

1,753

1,031

1,138

2,633

1,018

1,684

밀크, 크림

1,815

1,580

1,072

884

927

1,427

926

1,074

치즈

6,697

5,832

3,962

3,268

3,429

5,269

3,423

3,970

소 정액

416,090

461,009

378,799

304,470

305,418

374,803

305,076

395,563

주요 축산물의 가상수량 (출처: A.K. Chapagain, A.Y. Hoekstra(2003))

 

우리나라 농산물 가상수 평균 순수입량은 271억㎥규모입니다. 연평균 288억㎥의 가상수를 수입하고 연평균 17억㎥의 가상수를 수출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더불어 축산물 가상수 평균 순수입량은 57억㎥ 규모인데, 평균 67억㎥의 가상수 수입과 9억㎥의 수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해가 지날수록 그 양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연도별 농・축산물 가상수 순 수입량 (출처 : 국토해양부)

이제 우리는 가상수의 개념을 통해 그 동안 한 국가나 지역에 국한된 물 문제를 전 세계를 대상으로 폭넓은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물-식량-무역이라는 세 가지 요소의 연관성을 통해 국내 물관리정책, 농업정책, 통상정책의 상관관계를 밝히는데 유용하게 활용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오늘날 기후변화, FTA의 확대 등으로 인한 경제여건의 변화를 고려할 때, 세계적인 경제여건변화 움직임은 불가피하며 그에 따라 국내 산업 구조 역시 변할 것이며 이는 결국 국내 수자원 수급에 변화를 야기할 것입니다.

농업용수의 경우, FTA로 인한 주요 농산물 수입의 확대로 가상수 수입이 증가하면 국내 농산물 생산은 반대로 감소하여 실제 농업에 필요한 용수량은 감소할 수 있습니다. 반면, 새로운 수출 농산물 품목의 생산이 증가하여 필요 용수량이 증가되고 가상수 수출 또한 늘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 변화 속에서 가상수와 물발자국 이론을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고 적용하여 농업용수의 수요와 공급, 그리고 효과적 관리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여야 할 것입니다.

물론 가상수 이론을 물관리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가상수 혹은 물 발자국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그 정확성이 향상되어야 할 것입니다.

 

 

한국농어촌공사

수자원관리처 수자원기획팀

허남주

 

 

 

출처 : 농어촌사랑
글쓴이 : 한국농어촌공사 원글보기
메모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