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과학도서관에서 자료를 뒤지다 조선총독부 농사시험장 25주년 기념집을 보았습니다.
재밌는 내용이 참 많은데 찬찬히 볼 시간은 없어 일단 토종 벼의 특징만 추려보았습니다.
--------------------------------------------------------------------
전국에서 벼 재래종 종자 3,331점을 수집해 수원에서 기르니 그 특징이,
1. 까락 있는 것이 많다( 까락 2,704점. 특히 서북부지방에서. 남부지방으로 갈수록 까락 없는 것이 많아진다).
까락 |
함북 |
함남 |
평북 |
평남 |
황해 |
강원 |
경기 |
충북 |
충남 |
경북 |
경남 |
전북 |
전남 |
계 |
있음 |
26 |
72 |
119 |
130 |
104 |
233 |
371 |
237 |
399 |
346 |
192 |
219 |
256 |
2704 |
없음 |
9 |
8 |
36 |
27 |
12 |
22 |
105 |
33 |
93 |
91 |
60 |
49 |
82 |
627 |
계 |
35 |
80 |
155 |
157 |
116 |
255 |
476 |
270 |
492 |
437 |
252 |
268 |
338 |
3331 |
2. 대개 일찍 익는다.
서북부지방의 품종은 평균적으로 이삭 패는 때가 7월 하순~8월 상순, 중부지방의 품종은 8월 중순, 남부지방은 8월 하순.
생육일수는 서북부지방의 품종은 130~140일을 중심으로 가장 이른 것은 110일 안팎. 중부지방 150일 안팎, 남부지방 160일 안팎을 중심으로 가장 늦은 것은 180일을 넘는 것도 있음.
3. 새끼치기를 적게 하고, 키가 커서 쓰러지기 쉽다.
가지의 수는 대부분 평균 6~7개, 가장 많은 것은 15개. 대체로 서북부지방의 품종이 가지 수가 적다.
가장 키가 작은 것은 45㎝, 가장 큰 것은 125㎝. 대부분 95~105㎝ 사이. 대체로 서북부지방의 품종이 작다.
4. 도열병에 약하다.
못자리 상태일 때 도열병균을 넣고 얼마나 죽는지 살펴보았다.
|
10 |
20 |
30 |
40 |
50 |
60 |
70 |
80 |
90 |
100 |
계 |
비고 |
대만 논벼 |
74 |
2 |
- |
1 |
- |
- |
- |
- |
- |
- |
77 |
2년 평균 |
중국 논벼 |
24 |
2 |
- |
1 |
1 |
- |
- |
- |
1 |
3 |
32 |
2년 평균 |
일본 밭벼 |
13 |
4 |
- |
1 |
1 |
1 |
- |
- |
- |
- |
29 |
2년 평균 |
일본 논벼 |
12 |
22 |
11 |
10 |
7 |
6 |
8 |
5 |
5 |
3 |
89 |
3년 평균 |
조선 논벼 |
1 |
21 |
6 |
7 |
4 |
4 |
3 |
3 |
3 |
8 |
42 |
3년 평균 |
조선 재래종 가운데 도열병에 가장 강한 것은 조정조早丁租(평균 병사율 8.4), 가장 약한 것은 지조池租(92.1) 연안조延安租(95.5) 대궐조大闕租(95.3) 옥경조玉京租(96.1) 백황조白荒租(100) 남조南租(90.3) 등
5. 알이 큰 것이 적다.
6. 한 이삭의 낟알 수가 대체로 많다.
대부분 150~200알 사이. 특히 남부지방의 품종은 평균 낟알수가 300알 이상임. 찰벼 품종은 메벼보다 낟알수가 더 많은 편이다.
이삭 길이는 가장 짧은 것은 6㎝, 가장 긴 것은 33㎝, 대부분 20~25㎝로 일본 품종에 비해 길다.
따라서 거름 많이 주어 수확량을 늘리는 데에는 알맞지 않다.
하지만,
1. 가뭄에 강하다.
2. 이삭이 패고 나서 빨리 익는다.
3. 물이 없어도 싹이 잘 튼다.
그래서 좋지 않은 자연조건에서도 성적이 좋다.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종 조사 후기 3일째 - 시골이라도 일요인은 쉬나? (0) | 2009.01.09 |
---|---|
토종 조사 후기 2일째 - 교동도 사람들은 역사와 함께 산다 (0) | 2009.01.03 |
[스크랩] 목화 (0) | 2008.08.07 |
전통농업에서 배우자(32)-의성 오세석 선생 (0) | 2008.06.18 |
토종벼 기록 (0) | 2008.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