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라도 실태 조사 장소와 날짜

(1939년 2월 26~28일)

순천 2월 26일 → 광주 2월 26~27일 → 이리 2월 27일 →익산 2월 28일

 

 

전남 순천군順天郡 (1939년 2월 26~28일)



전라남도 순천군 순천읍 풍덕리豊德里

이 마을은 61호. 농업 47호(자작 10호, 자소작 10호, 소작 27호), 날품 13호. 따로 담배 말리는 곳 1호가 있다.

우물 네 군데.

순천읍에서 약 1.09㎞(10町), 순천역까지 1.09㎞(10町)

이동 노동력 : 모내기철 이 마을에 오는 다른 마을 사람은 5명, 20일 정도. 곧 총인원 100명 정도 된다.

소는 11마리 정도.

농사짓는 규모 : 대농은 논 37~40마지기(2.7町) 밭 5마지기(1反7畝). 소농은 논 2~3마지기 밭 없음. 아예 농사짓지 않는 집도 10~15호 있다.

 

 

조사 농가 ― 황귀연黃貴連

가족 12명 : 아버지(61), 어머니(56), 자기(32), 아내(32), 맏아들(9), 둘째 아들(4), 맏딸(1), 동생(25, 일본에 있음), 제수씨(22), 둘째 동생(19, 역무원), 둘째 제수씨(19), 셋째 동생(16)


농사땅

1. 집앞논(チバムノン), 집터 옆, 800평, 2배미, 소작료 6/10 볏짚은 소작인 것.

수확량 : 1936년 나락 10섬, 볏짚, 품종 은방주銀坊主.

        1937년 나락 6섬

모내기 그루 수 : 18×21㎝(6×7寸) = 86그루

뒷갈이 : 쌀보리 2섬(뿌리는 양 1말 7되 5홉)

왕골 1평(소의 고삐 28.8m<12尋>를 만듦), 자운영 5평(뿌리는 양 5홉, 씨앗 값은 1섬에 85원)

보리 밑거름 : 과인산석회 1가마니, 두엄 40지게

웃거름 : 사람 똥오줌 60장군

2. 강신량(カンシンリャン), 654m(6町), 6마지기(1마지기 200평), 소작, 1배미.

한머리닥(ハンモリタク―지게 다리) : 지게에 한가득 싣고 쉬지 않고 갈 수 있는 거리.

축축한 땅이기 때문에 뒷갈이를 하지 않는다. 그루 사이 21×24㎝(7×8寸)=64그루

못자리 150평, 뿌리는 양 3.5말(그 가운데 변경弁慶 2말, 은방주 1말 5되)

3. 오종평(オ―チョンピョン), 654m(6町), 500평, 자작, 1배미, 4년 전 430원에 사들임.

벼 뒷갈이 보리 400평‧자운영 100평.

4. 중오종(チュンオ―チョン), 1308m(12町), 440평, 자작, 1배미

논벼 은방주, 21×24㎝(7×8寸)=64그루

보리는 쌀보리.

5. 하오종(ハオチョン), 1962m(18町), 400평, 자작, 1배미, 품종 은방주, 21×24㎝(7×8寸).

쌀보리 뒷갈이.

6. 산배니(サンペニイ), 1962m(18町), 1200평, 소작, 1배미

앞갈이 벼, 뒷갈이 보리 500평, 못자리 300평(볍씨 5되).

7. 샛들(セッツル), 1962m(18町), 600평, 소작

벼 한그루짓기, 축축한 땅, 물잡이논.

8. 남지종 앞밭(ナムヂヂョンアッパ), 1308m(12町), 소작, 3마지기, 280평

정조定租 나락 1섬.

쌀보리 ― 콩(그루갈이) 140평

쌀보리 ― 목화(사이짓기) 140평. 280평에 배추‧무를 조금 짓는다.

쌀보리 ― 조, 들깨, 팥, 고추, 마늘, 녹두

농사짓는 방식

쌀보리‧콩 ― 쌀보리‧목화, 쌀보리‧목화 ― 쌀보리‧콩을 돌아가며 한다.


남새밭 : 집터 앞 약 40평, 소작료 나락 2말 5되

20일, 무 10평 가을배추 3평

봄배추 28평, 무 2평 ― 가을무 30평

상추, 시금치 7평

산림 : 3210평(1町7畝), 4㎞(1里) 남짓

작은 소나무 1.5m(5尺), 대나무 숲 없음.

소 1마리, 다른 집짐승 없음.

부업으로 무명, 집에서 쓰려고 한 해 5필을 짠다. 1필은 6m(20尺)다.

노동력 : 머슴, 계절머슴 없음.

한 해 놉 150명을 쓴다(모내기철 50~60일, 김매기철 50일, 벼베기철 3일).

모내기 품삯 : 남자 20명×세 끼+막걸리 20전+담배 5전

세 끼 ― 다섯 주발로 1되 5홉, 흰쌀 1되 32전(2주발은 놉이 집에 가지고 감).

때문에 남자의 품삯은 하루 93전 정도일 것 같다.

여자 30명×세 끼(5주발)…78전 정도 된다.

김매기철 품삯

남자 20명×한 끼+담배 5전+술 일정하지 않음

여자 김매기는 하지 않는다.

벼베기 품삯 : 남녀 모두 모내기철과 같다.

 

 

중오종논(チュンオ―チョン畓) 440평의 논벼 기르는 방법

 

앞갈이 쌀보리는 음력 5월 5일에 베어 거두고, 이튿날 쟁기질한다.

쟁기질은 자기가 한나절 걸려 하는데, 쟁기 말고도 삽 1개와 쇠스랑 1개를 쓴다. 쟁기질한 뒤 써린다.

쟁기질 방법 : 두그루짓기 하는 땅일 경우에는 ‘바타갈이(batagari)’를 한다. 바타갈이는 다른 이름으로 ‘타리갈이(tarigari)’ ‘익갈이(ikkari)’라고도 한다. 아래 그림처럼 보리의 두둑을 부순다.

 

 

 

한그루짓기 하는 땅을 쟁기질할 때는 아래와 같은 4가지 방법이 있다.

(1) 두둑갈이 ― 두둑 지으며 갈기 

(2) 게갈이(kekari) ― 째고 엎기

 

(3) 게갈이 ― 세 거웃 갈이     

(4) 네 거웃 갈이(펀펀하게 갈기)


거름내기 : 음력 4월 15일. 자기 혼자서 20지게를 나른다. 하루에 12번 나른다. 곧 나르는 데 약 이틀 걸린다.

땅고르기 : 쟁기질한 이삼 일 뒤, 물을 넣고서 써레를 끌어 삶는다. 자신과 소가 3시간.

두엄 뿌리기 : 땅고르기 전에 자기와 놉이 1시간 반에 뿌린다.

모내기철 : 음력 5월 13일쯤(자신은 음력 5월 8일부터 5월 20일쯤까지 끝냄).

모찌기 : 산배니논(サンペニイ畓) 못자리에서 8지게를 나른다. 모를 찌는 데 여자 두 사람(아내와 제수씨)이 아침 먹기 전에 4시간 걸리고, 남자 두 사람(자신과 동생)이 나르는 데 2시간 반 걸린다. 맏아들과 둘째 아들(16세, 12세)이 못줄을 띄우고, 모내기 일꾼 한 사람이 붙어서 오후 5시에 모내기를 끝낸다(점심 때 50분 쉼).

그루 수 : 18×24㎝(6×8寸)=64그루, 모는 6~7포기.

화학비료(밑거름) : 개자리 바로 다음에 황산암모늄(硫安) 1/3가마니를 자기가 20분 정도에 뿌리기를 마친다.

논두렁은 지나다니지 않아도 낫으로 풀을 베어서 정리한다. 모내는 날 아침에 약 1시간 정도 걸린다.

애벌매기 : 모내고 15일째 손으로, 자기 혼자서 한나절에 끝낸다.

두벌매기 : 5일 뒤, 자신과 놉 남자 한 사람이 오전에 3시간, 오후에 3시간 한다.

세벌매기 : 1주일 뒤, 자기 혼자서 손으로, 하루 반 걸린다(14시간).

네 번째 김매기 : 1주일 뒤, 자신이 손으로(13시간).

다섯 번째 김매기 : 10일 뒤, 자신이 손으로(13시간).

음력 8월 5일 피사리(이삭은 누렇게 되기 시작) 자기 혼자서 2번 한다. 3시간(피는 2단이고, 지름 15~18㎝<5~6寸>)

거두는 때 : 음력 8월 23일(음력 8월 25일~음력 9월 10일) 자신과 놉이 아침을 먹고 오후 4시까지 베기를 끝낸다. 땅에다 말리고 3일 뒤 작은 단으로 묶는다. 단 묶기는 아내와 제수씨가 이틀에, 한나절 걸려 단을 묶어서 쌓는다.

 쌓는 방법 : 이 마을은 아래 그림과 같다

 

 

 

자신과 맏아들 두 사람이 지게로 날라다 쌓기를 마친다.

1지게는 15단(1단 3.75㎏<1貫>쯤). 지난해는 1단에서 1되 5홉의 나락을 얻었다. 마당에 가지고 와서 쌓는다. 이것을 ‘비늘가리’라고 한다. 그 뜻은 비늘처럼 쌓는다는 뜻인데, 아래 그림과 같다. 보통은 ‘비늘가리’를 줄여서 ‘비늘’이라고 한다.

 

 

마당질 : 3일 뒤 나락을 떤다.

노동력 ― 아내‧어머니‧동생‧제수씨‧둘째 동생‧둘째 제수씨 6명이 저녁까지 떨기를 마치고 키 1개로 날려고르기를 하는데, 자신과 남자 놉 두 사람이 3시간 정도에 끝낸다.

나락 3섬 7말 5되, 쭉정이 3말.

삯방아 : 돈을 내고 발동기로 한다. 값은 나락 1섬을 찧는 데 흰쌀 1되 2홉 5작이다. 곧 흰쌀 4말 5되가 나오는 양에서 흰쌀 1되 2홉 5작을 낸다.

왕겨 3말, 쌀겨 1말 정도

나락 1섬 ― 16원, 왕겨 1가마니(5말들이) 4~6전(거름을 만듦), 쌀겨 1말 ― 10전(소 먹이).

흰쌀 1말 ― 3원 20전.

밥 : 하루에 흰쌀 5되다. 섞어 먹는 경우 흰쌀 2되 5홉, 보리쌀 2되 5홉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