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홍만선洪萬選의 ≪산림경제山林經濟≫를 많은 부분 그대로 옮겨놓은 것에 불과하며 그가 독창적 농서를 완성한 것은 그 뒤 14년만에 다시 엮은 이 ≪본사≫라고 할 수 있다.
[구성 및 내용]
이 책은 저자의 서문 ‘후서’목차에 이어 본문 그리고 서유구의 후발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은 “이 책은 농정의 본말과 종시終始를 기록한 것이다. 농정의 본말을 서술한 이유는 팔곡八穀이 식食의 근본이 되기 때문이며 소채와 과실도 없어서는 안 될 식품이다. 수목과 화훼는 동량棟樑과 주차舟車, 책상 등을 만드는 재료이고, 풀뿌리나 줄기와 잎은 생명을 보호하는 약초가 되기 때문에 기록하였다.”는 요지로 되어 있다.
제1권은 벼·기장·피·수수·옥수수·율무·보리·밀·콩·팥·녹두·완두·잠두·참깨·들깨 등 각종 작물에 대하여 본기적本紀的인 기록을 수록하고 있다.
제2권은 경종농업을 뒷받침하는 관련 농업기술에 대하여 논한 것이다.
제3권은 경운·파종·제초·수확·탈곡·도정 등 각종 농기구에 관하여 풀이한 다음 가색稼穡에서 천시天時와 지의地宜 그리고 경종농업의 일반적 내용인 경운·파종·시비 등에 대한 기초적 사항과 벼·기장·콩 등에 대한 각론적 풀이를 하고 있다.
제6권은 서두에서 밤·대추 등 5과果와 배·감·버찌·유자 등의 핵과核果를 설명하고, 연실蓮實 등 3종의 수과水果와 수박·포도·가지 등의 등과藤果에 대하여 설명을 하고, 끝으로 총과叢果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5종의 차茶종류와 그 밖에 대나무, 싸리나무 등의 경제수종이 포함되어 있다.
제7권은 소나무 등의 정목貞木, 계수나무 등의 향목香木, 오동나무 등의 교목喬木, 그리고 치자나무 등의 관목灌木 등을 풀이하고 있다.
제8권은 인삼·구기자·천문동 등의 향초香草와 두견화·영산홍 등의 방초芳草 등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제9권은 우슬·강활 등의 산초山草, 지황·황연·지모 등의 습초濕草, 박하·자소·호장虎杖 등의 야초野草를 기술하고 있다.
제12권은 잠기蠶紀·저기苧紀·면기棉紀 등을 기술하고 있다. 끝에 있는 서유구의 후발은 할아버지인 저자가 이 책을 엮은 참뜻을 밝히는 내용으로 되어 있는데 ‘본사’라는 말은 사기史記의 뜻을 적용, 절충한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의의]
이 책은 내용이 풍부하고 외국의 식물까지 소개, 외국의 지식을 도입하려고 노력하였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의 역사적 내력을 기록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서 이 책에는 저자의 농정관農政觀이 나타나 있으며 농학사와 농업기술사를 연구하는 데 좋은 참고가 되고 있다. 서울대학교·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韓國食經大典(李盛雨, 鄕文社, 1981)
≪참고문헌≫ 農林水産古文獻備要(金榮鎭, 韓國農村經濟硏究院,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