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1년(철종 12) 김형수金逈洙가 역저譯著한 월령식농서月令式農書. 1책 31장. 필사본. 김형수는 ≪농가십이월속시農家十二月俗詩≫를 같은 해에 엮기도 하였다.
[구성 및 내용]
이 책은 서문·범례·본문·발문·부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범례에서는 11개 항으로 나누어 수록, 내용의 정리방식을 설명하고 인용내용 등을 들고 있다. ≪월여농가≫는 정학유(丁學游)의 〈농가월령가〉를 한역漢譯한 것으로 믿어진다.
이를 원전과 비교하면, 첫째 ≪월여농가≫에는 〈농가월령가〉에 있는 서론 해당부분이 없으며, 둘째 1월에서 12월까지의 달마다 농시農時를 강조하고 농구農具의 다스림과 거름의 중요성, 그리고 전답·과목·양잠·양축·양봉·식품·방적 등의 다양한 내용을 든 것은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월여농가≫에서는 〈농가월령가〉의 한글표시를 한문으로 표시하고 일부를 삭제하였을 뿐만 아니라 삭제한 것 못지않게 많은 부분을 증보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부록으로 된 것 중 〈종저種藷〉에서는 중국과 우리 나라에서의 고구마 재배의 내력을 들고 그 재배법을 잘 정리하고 있으며, 〈전답잡록田畓雜錄〉에서는 전답에 관계되는 방언과 상식을 풀이하고 있다. 〈곡명穀名〉에서는 벼·콩 등의 품종명을 들고 있으며, 〈전가락田家樂〉에서는 양잠·종면種綿·의귀농擬歸農 등 여섯 수의 시가 곁들여져 있다. 부록 중 〈속언자해俗言字解〉는 농가에 나오는 한문표기 등을 쉽게 풀이한 것이다.
[의의]
≪월여농가≫는 쉽게 부를 수 있는 〈농가월령가〉를 다시 어려운 한문칠언시로 바꾸었다는 면에서, 농업기술 보급면에서는 당초의 효과를 감소시킨 감이다. 그러나 내용의 중복을 피하고 많은 부분을 증보하였다는 면에서 농서로서의 의미가 있다. 서울대학교 가람문고에 있다.
≪참고문헌≫ 韓國食經大典(李盛雨, 鄕文社, 1981)
≪참고문헌≫ 農林水産古文獻備要(金榮鎭, 韓國農村經濟硏究院, 1982)